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연안군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황해남도 위치
연안군 위치

연안군(延安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남동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연안군의 면적은 479.37km²이며 인구는 158,845명(2008)이다. 동쪽으로는 배천군, 서쪽으로는 청단군, 북쪽으로는 평산군과 접해있으며 남쪽으로는 황해와 접해있다. 동서(개안리~발산리) 간의 길이는 21km이고, 남북(염전노동자구~봉덕리) 간의 길이는 38km이며, 도 전체면적의 5.67%를 차지한다. 앞바다에는 10개의 섬이 있으며 해안선의 길이는 55.2km이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구 27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연안읍이다.

1309년에 목(牧)을 폐지하고 부제(府制)를 실시할 때 서해도(西海道) 온주목(溫州牧)을 고려 태조 왕건이 이 지역을 기반으로 건국 위업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하여 끝없이 안전한 고장으로 되었다는 뜻에서 연안부(延安府)라 하였다 한다.

8.15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의 연안군 지역은 대한민국의 실효영토였으며 경기도 연백군에 속해 있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와 거리상 매우 가깝다. 그래서 연백 출신 실향민들이 많이 정착하기도 했다. 통일 후에는 교동도와 다리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국토개발계획에 의하면 서해안고속도로가 교동도를 지나 연안군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자연환경[편집]

연안군은 북한의 주요 곡창지대의 하나인 연백벌 중심에 위치해 있다. 북부는 연백벌의 언덕성벌로 되어 있으며 남부지역인 강화만 연안에는 넓은 해하성충적벌과 간석지가 전개되어 있고 여기에 넓은 소금밭이 조성되어 있다. 북부는 대체로 해발 100m 안팎의 구릉 및 야산들이 있어 물결 모양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북동부 배천군과의 경계에 솟은 용각산(龍角山, 366m)이 가장 높고 그 밖에 군 경계를 따라 운두봉(雲頭峰, 287m), 목단산(牧丹山, 297m), 임해산(臨海山, 155m) 등의 산들이 솟아 있다. 지질은 시생대와 상부원생대의 변성암층들과 시생대 연화암군, 중부고생대 평강암군과 중생대 단천암군 관입체들이 발달되어 있다. 주요 기반암은 시생대의 화강편마암, 원생대의 석회암 등이다. 지하자원은 철, 연, 아연, 티탄, 금, 흑연, 석회석 등이 분포되어 있는데, 연안군의 논벌 아래에는 이탄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토양은 적갈색토양, 충적지토양, 논토양이 대부분이다. 그 기계적 조성은 질흙, 사양토, 질양토가 대부분이다.

기후는 해양성기후의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북반부에서 가장 따뜻한 지역에 속한다. 연평균기온은 10.3℃, 1월 평균기온은 -5.3℃, 8월 평균기온은 24.5℃, 최고극기온은 35℃(1959년 8월 3일), 최저극기온은 -21.5℃(1961년 1월 17일), 10℃이상 적산온도는 3,671℃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157mm이다. 연평균일조율은 56%이며 10월에 68%로서 가장 높다. 첫서리는 10월 17일경에, 마감서리는 4월 16일경에 내린다. 평균풍속은 2.6m/s이며 때때로 가을에 태풍이 불곤 한다.

수계는 길이가 5km 이상의 하천이 5개가 유입되어 있는데, 그 중 큰 하천은 화양천(華陽川), 도마포천(渡馬浦川), 나진포천(羅津浦川)이다. 북서부에는 화양천을 막아 건설한 구암호(鳩岩湖)가, 남서부에는 9.18저수지(九一八貯水池)가 있으며 그밖에 창덕저수지(彰德貯水池), 흥림저수지(興林貯水池), 장방저수지(長芳貯水池)가 있다.

산림은 연안군 전체면적의 17.6%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나무가 기본 수종을 이루고 있다. 이밖에 참나무, 잎갈나무, 굴피나무, 초피나무, 아까시나무, 밤나무가 자라고 있다. 이 일대는 북한 식물분포에서 온대북부식물구와 온대남부식물구의 점이지대로서 호두나무, 쉬나무, 동백나무, 고욤나무, 감나무 등 남방계통식물들도 분포되어 있다. 산림 속에는 황기, 삼지구엽초, 삽주, 고사리, 도라지 등 경제식물이 자라고 있다. 동물로는 노루, 꿩 등이 서식하고 있다. 앞바다에는 꽃게, 바지락, 숭어, 전어, 자루우렁쉥이가, 강과 강어귀에는 잉어, 메기, 뱀장어 등이 있다.[4]

역사[편집]

연안군에서 신석기시대의 유적유물이 발굴된 것은 이 시기부터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삼국시대에는 한때 백제의 손아귀에 들어 있다가, 후에 고구려의 판도로 되어 동음홀(冬音忽) · 동삼홀(冬彡忽) · 도랍현(刀臘縣)이라고 불렸고, 통일신라시대에는 신라의 영토로 되어 동음홀을 해고군(海皐郡)으로 개칭하고, 도랍현은 구택현(雊澤縣)으로 개칭하였다.

고려왕조가 들어선 후 해고군은 염주(鹽州)로 개칭되었고, 구택현은 백주(白州)로 개칭되었다. 1309년에 서해도 연안부로 되었고, 1395년에는 풍해도(豊海道) 연안도호부(延安都護府)로, 1417년에는 황해도 연안도호부로 되었다. 1895년에는 해주부(海州府) 연안군으로, 1896년에는 황해도 연안군으로 개편되었다. 1912년에는 배천군이 연안군에 편입되면서 연백군(延白郡)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연안면(延安面), 호남면(湖南面), 해성면(海城面), 송봉면(松峰面), 해룡면(海龍面), 용도면(龍道面), 괘궁면(掛弓面), 목단면(牧丹面), 봉서면(鳳西面), 봉북면(鳳北面), 은천면(銀川面), 화성면(花城面), 금산면(金山面), 도촌면(道村面), 해월면(海月面), 온정면(溫井面), 유곡면(柳谷面), 운산면(雲山面), 석산면(石山面) 등 19개 면을 관할하였다. 1939년에는 연안면이 연안읍으로 개편되었다.

1945년에는 연백군이 황해도 연백군과 경기도 연백군으로 분리되면서 황해도 연백군은 운산면, 화성면, 금산면, 목단면, 괘궁면 등 5개 면을 관할하고 경기도 연백군은 연안면, 봉서면, 호동면, 호남면, 송봉면, 해성면, 해룡면, 용도면, 봉북면, 은천면, 도촌면, 온정면, 해월면, 유곡면, 석산면, 벽성군의 청룡면(靑龍面), 추화면(秋花面), 일신면(日新面), 내성면(來城面) 등 19개 면을 관할하였다. 1950년에는 평산군(平山郡) 적암면(積岩面)과 금천군(金川郡)의 산외면(山外面), 서북면(西北面)이 황해도 연백군에 편입되었고, 경기도 연백군이 해방되어 황해도 남연백군으로 개편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남연백군 용도면, 호남면, 봉서면, 해성면, 송봉면의 전체 리와 호동면의 3개 리, 봉북면의 7개 리, 연안면의 11개 리, 해룡면의 6개 리 그리고 연백군 괘궁면의 전체 리와 목단면의 8개 리를 병합하여 연안군을 다시 복귀하면서 남연백군 연안면의 연성리 · 산양리 · 봉남리 · 모정리 · 관천리를 병합하여 연안읍(延安邑)으로, 남연백군 연안면의 자양리 · 봉무리 · 단산리를 병합하여 자양리(紫陽里)로, 남연백군 송봉면의 청송리와 호남면의 자봉리 · 소정리를 병합하여 소정리(素井里)로, 남연백군 호남면의 석천리 · 송야리 · 개현리를 병합하여 호남리(湖南里)로, 남연백군 연안면의 오주리와 호동면의 남당리, 나진포리 일부를 병합하여 나진포리(羅津浦里)로, 남연백군 연안면의 미산리와 호동면의 개안리를 병합하여 개안리(開安里)로, 남연백군 연안면의 장곡리와 봉북면 풍양리를 병합하여 장곡리(長谷里)로, 남연백군 봉북면의 소성리 · 용남리 · 원동리를 병합하여 용호리(龍虎里)로, 남연백군 봉북면의 산정리 · 오현리 · 송전리를 병합하여 해월리(海月里)로, 남연백군 봉서면의 월파리 · 명천리 · 소아리 · 반계리를 병합하여 소아리(小雅里)로, 연백군 괘궁면의 고포리 · 관동리를 병합하여 고포리(古浦里)로, 연백군 목단면의 봉덕리 · 덕양리 · 동운리를 병합하여 봉덕리(鳳德里)로, 연백군 목단면의 탁영리 · 아현리 · 의현리를 병합하여 아현리(雅峴里)로, 연백군 괘궁면의 한정리와 목단면의 창덕리 · 정동리를 병합하여 창덕리(彰德里)로, 연백군 괘궁면의 우번리 · 도성리 · 갈암리를 병합하여 도남리(桃南里)로, 남연백군 용도면의 송학리 · 옥야리 · 천태리를 병합하여 천태리(天台里)로, 남연백군 용도면의 발산리 · 현암리 · 난계리를 병합하여 발산리(鉢山里)로, 남연백군 해룡면의 부토리 · 맹산리 · 흥운리를 병합하여 부흥리(富興里)로, 남연백군 해룡면의 금산리 · 금천리 · 용남리를 병합하여 풍천리(楓川里)로, 남연백군 봉서면의 현죽리 · 봉황리 · 오성리 · 미산리 · 정촌리를 병합하여 정촌리(鼎村里)로, 남연백군 송봉면의 노정리 · 도룡리 · 대룡리를 병합하여 와룡리(臥龍里)로, 남연백군 송봉면의 증산리 · 청계리 · 운계리를 병합하여 청화리(淸華里)로, 남연백군 송봉면의 송현리와 호남면의 호서리 · 읍동리를 병합하여 호서리(湖西里)로, 남연백군 해성면의 화양리 · 매정리와 호남면의 읍항리를 병합하여 화양리(華陽里)로, 남연백군 해성면의 일신리 · 초양리를 병합하여 신양리(新陽里)로, 남연백군 해성면의 무릉리 · 해남리 · 구룡리를 병합하여 해남리(海南里)로, 연백군 괘궁면의 산두리 · 구암리 · 봉현리 · 생금리 · 화천리를 병합하여 흥산리(興山里)로, 연백군 용도면의 대평리 · 안정리 · 심계리 · 운중리 · 청계리를 병합하여 청정리(淸井里)로 각각 개편하여 1개 읍, 27개 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남도 연안군으로 되었다. 1956년 9월에는 정촌리 일부를 분리하여 오현리(梧玄里)를, 호서리 일부와 호남리 일부를 통합하여 송호리(松湖里)를, 청정리 일부를 분리하여 심평리(深坪里)를 각각 신설하였고, 1958년 6월에 해남리 일부로 염전노동자구(鹽田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1974년 5월에 흥산리, 심평리, 청정리가 청단군에 편입되었고, 1991년 11월에 고포리를 동산리(東山里)로 개칭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연안읍), 1구(염전노동자구), 27리(개안리, 도남리, 동산리, 나진포리, 용호리, 발산리, 봉덕리, 부흥리, 소아리, 소정리, 송호리, 신양리, 아현리, 오현리, 와룡리, 자양리, 장곡리, 정촌리, 창덕리, 천태리, 청화리, 풍천리, 해남리, 해월리, 호남리, 호서리, 화양리)로 구성되어 있다. 연안군 소재지는 연안읍이다.[5]

산업[편집]

연안군은 비옥한 토지와 농업생산에 유리한 기후조건, 그리고 완벽한 수리시설로 하여 북한에서 손꼽히는 농업지대로 발전하였다. 농경지 면적에서 이 73%, 이 19%, 과수밭이 4%, 뽕밭이 1%, 호두밭이 2%를 차지하고 있는데, 곡물생산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벼는 주로 남부바닷가지대인 개안리, 나진포리, 호남리, 송호리, 신양리, 해남리, 화양리, 호서리, 청화리, 와룡리, 풍천리, 천태리, 발산리, 부흥리 등 지역에서 산출된다. 옥수수는 주로 봉덕리, 동산리를 비롯한 군의 북부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연안군에서는 밀, 보리를 앞그루로 하는 이모작도 행해지고 있다. 채소업에서는 배추, 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공예작물에서 기본은 들깨이며 이밖에 박하, 담배, 역삼도 재배하고 있다. 과수밭은 주로 군의 북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사과, 배, 복숭아, 자두, 감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사과는 용호리, 동산리, 아현리, 창덕리, 봉덕리에, 배는 용호리, 소정리, 호남리, 동산리, 자양리, 오현리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감은 연안읍과 봉덕리, 천태리에서 많이 산출된다.

축산업에서는 소, 돼지, 닭, 오리, 토끼, 양, 염소 등 가축을 많이 사육하고 있으며 개안리에는 젖소목장이 있다. 양잠업에서는 고치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연안군의 소금생산은 전국적인 의의를 가진다. 지방의 원료원천에 의거한 지방공업은 방직 및 피복, 식료, 일용품, 기계, 화학, 건재, 수재, 제약 공업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에서 식료품공업이 첫자리를 차지한다. 이밖에 돗자리, 방석, 구럭, 부채 등 초물제품과 부엌세간, 천과 옷, 종이류, 가구류, 도자기류, 의약품들이 생산된다.[6]

교통[편집]

교통은 중부로 배천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천태, 풍천, 오현, 연안 역이 설치되어 있다.

철도는 토해선이 지나갔으나 북한에 의해 배천선으로 바뀌었다. 연안역이 있다.

도로는 해주~배천, 연안~봉천 간 2급 도로가 통과하고 있다. 연안~청단, 연안~배천, 연안~봉천, 연안~염전, 연안~청화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봉천까지는 40km, 염전까지 16km, 청단까지는 23.7km, 배천까지는 16.9km, 황해남도 소재지인 해주시까지는 44.5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연안군〉, 《위키백과》
  2. 연안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연안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연안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연안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연안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연안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연안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