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홍원군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함경남도 위치

홍원군(洪原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중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홍원군의 면적은 874.64km²이며 인구는 142,910명(2008)이다. 남쪽으로 동해와 접하고, 북쪽은 함경산맥이 뻗어 있다. 동쪽으로 신포시·북청군, 북쪽으로 을 사이에 두고 덕성군, 서쪽으로 신흥군·함흥시, 서남쪽으로 락원군과 접한다. 북동~남서(운하리~관흥리) 간 길이는 43km이고, 북서~남동(구룡리~경포노동자구) 간 길이는 231km이며, 도 면적의 약 4.72%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4구 27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홍원읍이다.

홍원은 크고 넓은 평야라는 뜻으로서 이 고장의 지대적 특성을 반영하여 홍원군이라 하였다. 고려 전에는 홍긍(洪肯)이라 하였고 고려시기에는 홍헌(洪獻)이라 하였다. 그 유래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한자를 풀이해 보면 '크게 즐기다', '크게 착하다', '크게 좋다'는 뜻으로, 평야가 크고 넓어 살기 좋은 고장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지은 이름들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성계가 조선 건국 전에 원나라 장수 나하추와 싸워 이겼던 달단동 전적지가 있다.[3]

자연환경[편집]

홍원군은 거두봉산 줄기와 함관령산 줄기에 의하여 동 · 서 · 북쪽이 막혀 있고 남쪽은 바다와 면해 있으며 남서부에는 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홍원군의 북부에는 해발 1,000m 이상되는 높은 들이 솟아 있고, 서부에는 함관령(咸關嶺, 462m), 웅봉(熊峰, 722m), 동부에는 종산(鐘山, 703m), 쌍가령(雙佳嶺, 350m) 등의 산지가 솟아 있다. 홍원군의 팔봉(八峰, 1,682m), 구절봉(九節峯, 973m), 묵방산(墨方山, 1,009m)을 연결하는 산줄기는 서대천(西大川 · 홍원)과 동대천(東大川 · 신포)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으며 군의 서부와 동부의 자연적 경계로 되고 있다.

지형상의 중요한 특징은 25° 이상의 급경사지가 많이 분포된 것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기복량이 큰 것, 즉 해안지역에 위치해 있는 군이면서 해발이 높고 동대천(東大川 · 신포)과 서대천(홍원)의 골짜기들이 분수령 밑까지 깊이 침투되어 있는데 그 원인이 있다. 서대천(홍원)과 동대천(신포)의 하류 및 그 사이에 있는 소하천의 중, 하류 지대들과 해안지역에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달된 평야가 전개되어 있다. 해안에는 송도(松島), 까치섬, 솔섬, 대섬 등 작은 섬들이 있다. 해안선의 길이는 43.4km이며 굴곡이 비교적 심하다. 서대천어귀에는 범포를 비롯한 석호들이 있으며 운포노동자구에는 운포동굴이 있다.

지질은 대부분이 화강편마암, 석회암 등으로 되었으며 석회석자원이 풍부하다. 홍원군은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해양성기후를 나타내며 동해안에서 비교적 따뜻한 지역의 하나로 되어 있다. 연평균기온은 9.4℃, 1월 평균기온은 -5.3℃, 8월 평균기온은 22.4℃이다. 0℃이상 적산온도는 3,792℃, 5℃이상 적산온도는 3,692℃, 10℃이상 적산온도는 3,342℃, 15℃이상 적산온도는 2,670℃이다. 연평균강수량은 783.2mm이며 6~7월에 비가 비교적 많이 내린다. 첫 서리는 대체로 10월 하순경에, 마감서리는 그 다음해 4월 하순경에 내린다. 바람은 비교적 약한 편이다. 여름에는 주로 남동풍이, 가을, 겨울, 봄에는 북서풍이 자주 분다.

연평균풍속은 2.8m/s밖에 되지 않으며 안개가 끼는 횟수는 년간 30~40회 정도, 일조율은 52.8%이다. 홍원군의 기본하천망은 서대천(홍원)과 동대천(신포)이다. 서대천(홍원)의 지류로는 구룡천(九龍川), 동상천(東上川), 남풍천(南豊川), 장풍천(壯豊川) 등이 있으며 동대천(신포)의 지류로는 송평천, 외상천(外上川), 송동천(松洞川), 경포천(景浦川) 등이 있다.

홍원군에는 관흥저수지(關興貯水池), 보현저수지(普賢貯水池), 광명저수지(光明貯水池), 경흥저수지(景興貯水池), 운상저수지(雲上貯水池), 경포저수지(景浦貯水池), 용호저수지(龍湖貯水池) 등이 있다. 산림은 군 전체 면적의 약 76%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지역에 소나무가 분포되어 있다. 해발 1,000m 이상 되는 북부 지역에서는 잎갈나무, 분비나무, 참나무, 잣나무 등 나무가 적지 않게 자라고 있다.

바닷가의 넓은 지역에는 사취가 전개되어 있다. 이곳 소나무는 방풍림을 형성하여 이 일대의 경치를 더욱 아름답게 해 준다. 그 외 잣나무, 산초나무 등을 많이 재배하여 해마다 잣, 분지 등을 많이 수확하고 있다. 산에는 삽주, 삼지구엽초, 당귀, 족도리풀, 함박꽃, 고사리, 도라지, 참나물, 고비, 두릅, 머루, 다래, 도토리, 송이버섯 등 약초, 산나물, 산열매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양, 충적토, 논토양이고 기계적 조성은 모래질메흙이 대부분이며 그 외는 양토, 모래흙이다.[4]

역사[편집]

홍원군 지역과 주변 지역에서 청동기시대의 유물유적이 다량으로 발굴됨으로써 홍원군 지역에 청동기시대 내지는 그 이전시기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계급사회가 형성되면서 남옥저에 속해 있었고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판도로 되었다. 고구려가 패망한 뒤 한때 신라의 땅이 되었으며 698년에 발해가 건립되면서 남경남해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고려왕조가 세워진 후 홍원군 지역은 오랫동안 여진족의 손아귀에 들어 있었다. 그 후 금나라가 망하면서 몽골의 지배하에 들어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의 관하에 있었다. 그러다가 1356년에 공민왕이 북진정책을 실시하여 다시 고려의 영토로 수복되어 홍원군 지역은 함주의 관하에 있었고 그뒤에 함주에서 분리되어 홍원현(洪原縣)으로 되었다. 그 후 조선이 건립되면서 1398년(태조 7년)에 홍원이라 하여 함흥부에 예속되었으며 1402년에 홍원현으로 독립되었다가 함흥부에 예속되었다. 1433년에 또다시 독립되어 현감을 두었다.

1759년에 관하에 신익사(新翼社), 노동사(蘆洞社), 부민사(富民社), 호현사(好賢社), 경포사(景浦社), 용원사(龍源社) 등 6개 사가 설치되었다. 1872년에 신익사, 경포사, 부민사, 호현사, 용전사(龍田社), 요원사(要原社), 용호사(龍湖社), 용연사(龍淵社), 학천사(鶴川社) 등 9개 사를 관할하였다.

1895년에 홍원군으로 개편되면서 함흥군의 원천사를 흡수 분리하여 산하에 동퇴조사(東退雕社), 상원천사(上元川社), 하원천사(下元川社), 주남사(州南社), 신익사(新翼社), 상신익사(上新翼社), 경포사(景浦社), 운룡사(雲龍社), 염포사(廉浦社), 용원사(龍源社), 용천사(龍川社), 동천사(東川社), 희현사(希賢社), 신흥사(新興社), 호현사(好賢社), 학산사(鶴山社), 학천사(鶴泉社), 용운사(龍雲社), 용연사(龍淵社), 호남사(湖南社), 동보청사(東甫靑社), 서보청사(西甫靑社) 등 22개 사를 두고 관할하였으며, 1년 후 사 전체가 면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북청군의 평포면을 흡수하는 동시에 상원천면과 하원천면을 신흥군에 편입하였으며, 주남면 · 신익면 · 상신익면을 병합하여 주익면(州翼面)을, 운룡면과 염포면을 병합하여 운포면(雲浦面)을, 동보청면과 서보청면을 병합하여 보청면(甫靑面)을 각각 신설하고 용연면 · 호남면을 용운면(龍雲面)에, 동천면을 용천면(龍川面)에, 신흥면을 희현면(希賢面)에, 학산면을 학천면(鶴泉面)에 각각 편입하여 12개 면을 관할하였다.

1935년에 주익면과 용운면 각 일부를 병합하여 홍원면(洪原面)을, 용운면 · 학천면과 주익면의 하양리 · 풍곡리를 통합하여 운학면(雲鶴面)을, 희현면과 호현면을 병합하여 보현면(普賢面)을, 경포면과 운포면을 병합하여 경운면(景雲面)을, 용천면과 평포면을 병합하여 용포면(龍浦面)을 각각 신설하고 동퇴조면을 보청면에 편입하여 용원면 등 7개 면을 관할하다가, 광복 직후에 보청면을 삼호면(三湖面)으로 개칭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전 홍원군의 용포면과 용원면은 신설되는 신포군에, 삼호면은 신설되는 퇴조군(현재 낙원군)에 각각 편입되었다.

이와 동시에 전 홍원군의 홍원면 · 경운면 · 보현면 · 운학면을 통합하여 홍원군을 구성하고, 홍원면의 성서리 · 성중리 · 성남리와 기양리 · 성동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홍원읍(洪原邑)을, 홍원면의 남흥리 · 장정리 · 천중리와 용천리 일부를 병합하여 전진리(前津里)를, 홍원면의 남원리와 용천리 일부를 병합하여 남천리(南川里)를, 홍원면의 암내리 · 용수리 · 신풍리 · 삼성리를 병합하여 용운리(龍雲里)를, 경운면의 동좌리 · 좌덕리 · 남포리를 병합하여 경포리(景浦里)를, 경운면의 송양리 · 남학리 · 장송리를 병합하여 학송리(鶴松里)를, 경운면의 우양리 · 송중리 · 중흥리를 병합하여 경흥리(景興里)를, 경운면의 관하리와 용풍리를 병합하여 광명리(光明里)를, 경운면의 운흥리 · 동흥리 · 용삼리를 병합하여 운상리(雲上里)를, 경운면의 남풍리 · 동중리 · 원동리를 병합하여 운포리(雲浦里)를, 보현면의 동흥리 일부와 동호리 · 직동리를 병합하여 동상리(東上里)를, 보현면의 신흥리 · 용삼리 · 용곡리를 병합하여 구룡리(九龍里)를, 보현면의 어삼리와 원풍리를 병합하여 보현리(普賢里)를, 보현면의 은택리 · 연풍리 · 신풍리를 병합하여 원덕리(元imagefont里)를, 운학면의 장흥리 · 관상리 · 함동리를 병합하여 관흥리(關興里)를, 운학면의 풍택리 · 풍남리 · 호달리를 병합하여 남풍리(南豊里)를 각각 신설하고, 홍원면의 방동리와 성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홍원군 방동리(方東里)로, 홍원면의 남산리 · 회흥리와 기양리 일부를 병합하여 홍원군 남산리(南山里)로, 홍원면의 고읍리 · 풍양리 · 풍촌리를 병합하여 홍원군 고읍리(古邑里)로, 홍원면의 호남리 · 문상리 · 신호리를 병합하여 홍원군 호남리(湖南里)로, 보현면의 방평리와 동흥리 일부를 병합하여 홍원군 방평리(芳坪里)로, 운학면의 용덕리와 용전리를 병합하여 홍원군 용덕리(龍德里)로, 운학면의 흥상리 · 은행리 · 장풍리를 병합하여 홍원군 장풍리(壯豊里)로, 운학면의 부상리와 신풍리 일부를 병합하여 홍원군 부상리(富上里)로, 운학면의 산양리와 신풍리 일부를 병합하여 홍원군 산양리(山陽里)로, 경운면의 흥사리를 홍원군 신성리(新成里)로 각각 개편하여 산하에 1읍 24리를 두고 관할하였다.

1953년에 전진리를 노동자구로 승격하고, 1954년에 남산리 · 방동리의 각 일부를 홍원읍에, 남산리 · 호남리의 각 일부를 용운리에, 용덕리의 일부를 고읍리에 각각 편입하였으며, 1960년 12월에 신포군의 운하리 · 용삼리 · 삼성리 · 동중리 · 중서리 · 중은리 · 용신리 · 용포리 등 8개 리를 흡수하는 동시에 남천리와 전진노동자구를 홍원읍에, 신포군 용중리의 일부를 운포리에, 신포군 용성리의 일부를 삼성리에 각각 편입하여 1읍 30리를 관할하였다. 1967년 10월에 운포리를 노동자구로 승격하였고, 1988년 7월에 경흥리와 신성리를 경포리에 편입하는 동시에 경포리를 노동자구로 승격하였다.

1993년 12월에 용운리를 봉화리로 개칭하고, 1997년 5월에 정령으로 홍원읍 일부를 분리하여 전진노동자구와 남천노동자구를 다시 복귀하였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홍원읍), 4구(경포노동자구, 남천노동자구, 운포노동자구, 전진노동자구), 27리(고읍리, 관흥리, 광명리, 구룡리, 남산리, 남풍리, 동상리, 동중리, 용덕리, 용삼리, 용신리, 용포리, 방동리, 방평리, 보현리, 봉화리, 부상리, 산양리, 삼성리, 운상리, 운하리, 원덕리, 장풍리, 중서리, 중은리, 학송리, 호남리)로 되어 있다. 홍원군 소재지는 홍원읍이다.[5]

산업[편집]

홍원군은 광복 전까지 아주 낙후한 반 농반어업 지대였다. 광복 후 발전된 공업, 수산업, 농업을 가진 군으로 부상되기 시작하였다. 공업은 채취공업, 선박공업을 비롯한 현대적인 중앙공업과 여러 가지 부문으로 구성된 지방공업으로 되어 있다. 채취공업에서 석회석생산이 큰 의의를 가진다. 홍원군에서는 화학공업과 건재공업 발전에 수요되는 석회석을 더 많이 채취하기 위하여 운포광산(雲浦鑛山)의 생산능력을 늘리는 한편 기술혁신운동을 힘차게 진행하여 이 일대를 함경남도의 주요 석회생산기지로 전변시켰다.

홍원군의 원료 원천에 기초한 운포 시멘트공장을 건설하여 대량의 시멘트를 생산하고 있다. 홍원군에는 함경남도수산업 발전의 의의가 있는 선박수리공장도 있다. 홍원군 지방공업은 군 공업에서 아주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지방공업은 식료품, 일용피복, 직물, 종이, 화학, 건재 공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료품공업은 지방공업에서 큰 자리를 차지한다. 홍원군에 풍부한 농산물, 수산물 등을 기본원료로 하여 간장, 된장, 기름, 청량음료, 수산물가공품을 비롯한 수십 종의 식료가공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중 명란젓은 국외에까지 수출하고 있다.

일용품공업에서는 이불장, 옷장, 밥상, 가정가위, 주머니칼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가위, 주머니칼 생산은 전국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시멘트, 소석회, 벽돌 등을 생산하여 함경남도내 수요를 보장하고 있다. 그 외 남자옷, 여자옷, 학생옷, 인견천, 비누 등 여러 가지 제품들도 생산하고 있다. 홍원군은 원해어렵으로부터 물고기가공, 천해양식, 배무이에 이르기까지 수산업발전에 필요한 여건을 대량 구비한 종합적인 수산업기지로 전변되었다.

수산사업소, 천해양식사업소 및 수산협동조합 수산작업반이 있다. 홍원군에서는 원해어렵을 위주로 근해어렵과 세소어업을 배합하여 여러 가지 수산물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 수산물은 명태, 가자미, 도루묵, 까나리, 오징어, 멸치, 고등어, 꽁치, 임연수어, 털게 등이 있다. 홍원 앞바다는 예로부터 가리비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생산된 수산물은 전국 각지에 공급되고 있다. 홍원군에는 현대적인 대규모를 가진 냉동공장이 있으며 수산물가공 생산시설도 잘 구비되어 있다.

농업은 농산업, 과수업, 축산업, 양잠업 등 여러 부문이 동보 발전하고 있다. 농경지에서 논이 26%, 밭이 60%, 과수밭이 11%, 뽕밭이 2%를 차지하며, 주요 농산물로는 옥수수, 벼, 콩, 수수 등이 있다. 옥수수는 서대천(홍원) 연안일대의 광흥리, 남풍리, 원덕리와 동대천(신포) 연안일대의 삼성리, 운하리, 용신리 등지에서 생산되고, 벼는 홍원읍, 남산리, 봉화리, 호남리, 부상리, 용덕리, 보현리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채소기지들을 만들고 분수식 관수체계를 받아들여 채소생산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여러 가지 채소에 대한 주민들의 수요를 보장하고 있다. 채소업에서는 배추, 무, 오이, 가지, 시금치, 고추, 파 등을, 과수업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 자두 등을 재배하고 있다. 홍원군에서는 닭, 토끼, 염소, 소, 돼지, 양, 오리 등을 많이 사육하여 고기, 모피, 젖, 알 생산을 늘리고 있다. 양잠업에서는 누에치기도 많이 하고 있다.[6]

교통[편집]

평라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홍원역(洪原驛), 경포역(景浦驛), 운포역(雲浦驛)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 교통은 원산~우암 간 1급도로와 홍원~북청, 홍원~신포~북청, 홍원~낙원~함흥 간 1급 도로가 통과하고 있다. 홍원군 내의 교통으로는 송해(낙원)~중호역, 봉화~함관령, 운상~운하, 용덕~구용, 동중~용삼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된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홍원군〉, 《위키백과》
  2. 홍원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홍원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홍원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홍원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홍원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홍원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홍원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