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현대 유니시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본사양)
(제원)
118번째 줄: 118번째 줄:
  
 
==제원==
 
==제원==
:{|class=wikitable width=600
+
:{|class=wikitable width=1000
 
!align=center|모델명
 
!align=center|모델명
|align=center|유니시티 디젤
+
!align=center|유니시티 디젤
|align=center|유니시티 CNG
+
!align=center|유니시티 CNG
 
|-
 
|-
!align=center|용도
+
|align=center|용도
 
|align=center|자가용/관광/시외직행
 
|align=center|자가용/관광/시외직행
 
|align=center|자가용/관광/시외직행
 
|align=center|자가용/관광/시외직행
 
|-
 
|-
!align=center|승차인원
+
|align=center|승차인원
 
|align=center|41+1 / 45+1(선택)
 
|align=center|41+1 / 45+1(선택)
 
|align=center|41+1 / 45+1(선택)
 
|align=center|41+1 / 45+1(선택)
 
|-
 
|-
!align=center|전장(mm)
+
|align=center|엔진형식
|align=center|10,955
+
|align=center|I6
|align=center|10,955
+
|align=center|I6
 
|-
 
|-
!align=center|전폭(mm)
+
|align=center|과급방식
|align=center|2,490
+
|align=center| -
|align=center|2,490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
!align=center|전고(mm)
+
|align=center|배기량
|align=center|3,210
+
|align=center|10ℓ
|align=center|3,210
+
|align=center|11.7ℓ
 
|-
 
|-
!align=center|축거(mm)
+
|align=center|연료
|align=center|5,400
+
|align=center|디젤
|align=center|5,400
+
|align=center|디젤
|-
 
!align=center|엔진명
 
|align=center|H310(H325)
 
|align=center|Q290 CNG
 
 
|-
 
|-
!align=center|엔진 형식
+
|align=center|최대출력
|align=center|I6
+
|align=center|310hp(325hp)
|align=center|I6
+
|align=center|290hp
 
|-
 
|-
!align=center|배기량(ℓ)
+
|align=center|최대토크
|align=center|10
+
|align=center|130kg.m
|align=center|11.7
+
|align=center|120kg.m
 
|-
 
|-
!align=center|최고 출력(ps/rpm)
+
|align=center|연비
|align=center|310(325)
+
|align=center| -
|align=center|290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
!align=center|최대 토크(kg.m/rpm)
+
|align=center|구동방식
|align=center|130
+
|align=center| -
|align=center|120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
!align=center|변속기
+
|align=center|변속기
|align=center|트랜시스 수동 전진 5단 후진 1단,<br>수동 전진 6단 후진 1단
+
|align=center|트랜시스 수동 전진 5단 후진 1단<br>수동 전진 6단 후진 1단
|align=center|다시모스 수동 전진 5단 후진 1단
+
|align=center|다이모스 수동 전진 5단 후진 1단
|-
 
!align=center|연료탱크 용량(ℓ)
 
|align=center|300(200)
 
|align=center|876 / 1004
 
|-
 
!align=center|사용연료
 
|align=center|디젤
 
|align=center|CNG
 
 
|}<ref>유니시티 CNG 장축, 상용차DB 공식 홈페이지 - http://db.cvinfo.co.kr/kr/bus/detail.php?idx=24</ref>
 
|}<ref>유니시티 CNG 장축, 상용차DB 공식 홈페이지 - http://db.cvinfo.co.kr/kr/bus/detail.php?idx=24</ref>
  

2020년 11월 3일 (화) 11:24 판

유니시티(Unicity)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
현대상용차 (Hyundai Truck & Bus)

유니시티(Unicity)는 현대자동차㈜가 제조 및 판매하는 프리미엄 준대형 버스이다. 2011년 처음으로 등장하였으며,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한층 고급화 시킨 프리미엄 준대형 버스로 알려져 있다. 고속버스 차종에 적합한 최첨단 에어 서스펜션(일체형) 시스템을 적용하여 최상의 승차감을 구현하였다.[1] 경쟁 차종으로는 현대자동차㈜의 유니버스, 뉴 슈퍼 에어로시티 자일대우상용차㈜의 자일대우 BS, 자일대우 FX 모델과, 기아자동차㈜그랜버드가 있다.

개요

현대 유니시티(Hyundai Unicity)는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하여 시판하는 준 고급형 버스 차종으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버스 기반으로 제작된 차종이다. 고속버스 차종에 적합한 최첨단 일체형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적용하여 최상의 승차감을 구현하여 도시형 버스와 고속형 버스의 중간단계를 채우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주로 관광·전세·광역버스 등으로 운용되고 있다.[2]

주요 모델

유니시티 디젤
유니시티 CNG

2011년 11월부터 생산하기 시작한 유니시티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상급 모델이자 유니버스의 하급 모델이다. 이 차량의 특징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과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으며, 에어 서스펜션을 기본 옵션으로 적용한다. 전면부에 루프 스포일러, 블랙 베젤 헤드 램프, 블랙 아이 섀도우 측면부에 통유리 타입 글래스, 블랙 이미지 라인 후면부에 블랙 아이섀도, 가니시 등 고급 디자인 사양을 대거 채택해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과 전혀 다른 새로운 느낌의 준고속 버스로 탄생했다. 외관뿐만 아니라, 시트커버, 운전석 멀티펑션시트 등 고급 시트 사양 레드 컬러의 바닥 매트 고급 형광등 등 ‘유니시티’만의 품격과 멋을 돋보이게 하는 다양한 사양을 적용했다. 300마력 H 엔진 디젤 모델을 기본으로 적용하며, 290마력 천연가스 모델은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5단 수동변속기 및 자동변속기도 적용된다. 2013년식부터는 중문이 옵션으로 적용되었고, 뒷면이 약간 변경되었고, 리어 스포일러가 추가 장착되었으며, 2015년 출시 차량은 유로 6 환경규제로 요소수 탱크 장착과 동시에 기존 300마력에서 310마력으로 상승했으며, 사이드 마커 램프가 장착되어 출시된다. 2016년식부터는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가 두꺼워졌고,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연료명과 요소수를 각각 표기하였다. 2018년에는 개선형이라 불리는 2018년식이 출시되었다. 계기판 조명이 연두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으며, 내부 창틀 부분이 검정색에서 베이지색으로 변경되었다. 하차벨은 일렉시티에 들어간 것과 같은 원형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12월에는 2020년식이 선보였는데, 카오디오가 1단 2개에서 2단 1개로 변경과 동시에 블루투스도 지원된다. 법 개정에 따라 2020년 7월 비상구가 추가된 2021년식 전비형이 선보였다.[2]

특징

가격

에어 서스펜션을 기본 탑재한 유니시티는 두 가지 출력의 10리터 디젤, 11.7리터 CNG 엔진을 탑재한 세 가지 트림으로 판매된다. 최고출력 310마력 버전은 1억 2,854만 원, 325마력 버전은 1억 3,134만 원이고, CNG 모델은 1억 5,396만 원이다. 승객 인원 및 연비형, 파워형 리어 액슬을 차량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옵션은 18가지로 모든 옵션을 적용한 유니시티 CNG 버스의 가격은 1억 6,645만 5000원이다.[3] [4]

안전

  • 비상문 및 조작레버 : 내부 조작 시 앞쪽 시트를 전방으로 틸팅하고 상단 커버를 탈거한 후 손잡이를 조작하여 오픈한다. 외부 조작 시 커버 제거 (1회용) 후 노출된 손잡이를 아래 화살표 방향으로 조작하여 오픈한다.
  • 전방 충돌 방지 보조(FCA) : 전방의 레이더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선행하는 차량과 추돌 발생 직전에 운전자의 별도 조작 없이 자동으로 긴급 제동한다.
  • 차선이탈 경고(LDW) : 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행 중 졸음 등으로 차선 이탈 발생 시 운전자에게 시그널을 경고하고 전달한다.
  • 아연도금 강판 적용 : 국내 염화칼슘 사용 증가에 따라, 차량 전착도장에 더하여 아연도금 강판을 차체 주요 부분에 적용하여 녹 발생을 억제한다. 이를 통해 최고 수준의 차체 내부식성을 확보한다.
  • 전문 비상 개폐 스위치 : 비상시 수동으로 문 외부 개폐가 가능하여 피해를 방지하며 실내 스위치로 잠금 여부 설정이 가능하다.
  • 전문 안전센서 : 전문에 초음파 센서를 설치하여 승객의 승, 하차 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 일체형 에어 서스펜션 : 전륜에 2Bag 에어 서스펜션과 후륜에 4Bag 와이드 에어 서스펜션을 장착하여 고속버스 차종에 적합한 최첨단 에어 서스펜션(일체형) 시스템을 적용하여 최상의 승차감을 구현하였다.
  • 차량 하부 보호망 : 디젤 차량과 동일한 지상고를 유지하며, 차량 하부 충격으로부터 용기를 보호해 주는 보호망까지 설치하여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 기타 : 그 외 PRB 밸프(압력해제 밸브), 가스 충전구 사이드 임팩트 바, 전-중문 안전센서, 각종 안전 조작 스위치 등을 통해 안전을 향상시켰다.[4]

인테리어

외부

프론트 스포일러, 프론트 가니쉬, 블랙베젤 헤드램프
리어 스포일러, 리어 가니쉬, 엔드아웃 마커램프, 3D엠블램
통유리 타입 사이드 글래스, 3D엠블럼
전륜 알루미늄 휠
후륜 알루미늄 휠
  • 프론트 스포일러 / 프론트 가니쉬 / 블랙베젤 헤드램프
  • 리어 스포일러 / 리어 가니쉬 / 엔드아웃 마커램프 / 3D엠블램
  • 통유리 타입 사이드 글래스 / 3D엠블램
  • 전륜·후륜 알루미늄 휠(선택)[4]

내부

와이드 헤드라이닝
냉·온장고
사이드 트림
출입문 스텝
전동식 환풍기
조절식 에어컨 루버
운전자 눈부심 방지 출입문 등
최고급 형광등
디지털 시계
고급 타라 매트

쾌적하고 편안한 실내공간 관광버스로 신공법 인체공학시트로 더욱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며, 승객 이동시 불편함을 해소한 실내장치와 각종 편의사양 등 쾌적한 실내공간을 선사한다.

  • 와이드 헤드라이닝(32″ TV 장착가능)
  • 냉·온장고(선택)
  • 사이드 트림(인조가죽)
  • 출입문 스텝 LED램프(전문)
  • 전동식 환풍기
  • 조절식 에어컨 루버
  • 운전자 눈부심 방지 출입문 등
  • 최고급 형광등
  • 디지털 시계
  • 고급 타라 매트(선택)[4]

운전공간

멀티펑션 시트, 통풍 시트(선택, 항균기능 포함)
작동스위치
연비게이지 기능 멀티디스플레이(디젤 기본, CNG 선택), 배출가스 자기진단 장치(OBD)
표준형 디지털 타코그라프
실내등, 에어컨, 히터 스위치, 자동 변속기(디젤엔진시 선택가능)
오디오, 출입문, 환기장치 스위치
  • 멀티펑션 시트, 통풍 시트(선택, 항균기능 포함) 작동스위치
  • 연비게이지 기능 멀티디스플레이(디젤 기본, CNG 선택), 배출가스 자기진단 장치(OBD)
  • 표준형 디지털 타코그라프(선택)
  • 실내등, 에어컨, 히터 스위치, 자동 변속기(디젤엔진시 선택가능)
  • 오디오, 출입문, 환기장치 스위치[4]

디젤 엔진룸 / CNG 엔진룸

디젤 엔진룸, CNG 엔진룸
오토슬랙 어저스터
오토드레인 밸브
브레이크슈 리턴스프링
PRD 밸브(압력해제 밸브)
가스 충전구
사이드 임팩트바
  • 오토슬랙 어저스터
  • 오토드레인 밸브
  • 브레이크슈 리턴스프링
  • PRD 밸브(압력해제 밸브)
  • 가스 충전구
  • 사이드 임팩트바[4]

제원

모델명 유니시티 디젤 유니시티 CNG
용도 자가용/관광/시외직행 자가용/관광/시외직행
승차인원 41+1 / 45+1(선택) 41+1 / 45+1(선택)
엔진형식 I6 I6
과급방식 - - -
배기량 10ℓ 11.7ℓ
연료 디젤 디젤
최대출력 310hp(325hp) 290hp
최대토크 130kg.m 120kg.m
연비 - - -
구동방식 - - -
변속기 트랜시스 수동 전진 5단 후진 1단
수동 전진 6단 후진 1단
다이모스 수동 전진 5단 후진 1단
[5]

현황

2017년 현대자동차㈜가 사당역에서 KTX 광명역을 잇는 코레일의 KTX 셔틀버스 사업에 유니시티 11대를 공급하였다. 이를 통해 유니시티는 노선번호 8507번으로 오전 5시부터 밤 12시까지 1일 270회 운영되었다.[6]

2018년까지만 해도 현대자동차㈜와 자일 대우상용차㈜의 2파전 구도였던 시내버스(도심형 버스) 시장은 국산 5개사, 수입 7개사 구도로 확대되었다. 2019년에만 전기 시내버스의 인기로 중국 버스 업체인 포톤, 안 카이, 중통 등이 국내에 진출했다. 전기버스의 높은 인기와 달리 중대형 도심형 버스의 지난해 신규 등록은 4,392대로, 시내버스 주요 2개 사인 현대자동차㈜와 자일대우상용차㈜의 판매 저하로 인해 2018년 4,843대보다 9.3% 줄었다. 반면, 에디슨 모터스는 눈에 띌 만큼 신차 판매가 늘었다. 업체별 신규 등록 현황을 보면, 지난해 현대자동차㈜는 3,129대로 전년에 비해 12%, 자일대우상용차㈜는 788대로 21% 각각 감소했으나, 에디슨모터스는 220대로 무려 129% 증가했다. 이들 3개사가 전체 도심형 버스의 94%를 차지했다. 이 밖에 국산 버스 업체인 우진산전 47대, 제이제이모터스㈜ 15대가 등록됐다. 전기 시내버스가 주력인 중국 버스 업체의 경우 포톤 40대, 하이거 39대, 중통 10대, 안 카이 3대 등을 기록했으며, 2층 버스 중심인 유럽 업체 볼보 버스만트럭버스는 각각 48대, 39대가 등록됐다.[7]

현대자동차㈜의 유니버스·유니시티, 기아자동차㈜ 그랜버드, 자일대우상용차㈜의 하이데거· FX 시리즈 등으로 구성된 고속형 버스 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인해 장거리 여행객 또는 단체 관광객이 크게 줄어듦에 따라 시장이 침체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신차 판매가 증가하였다. 2020년 1분기 고속형 버스의 신규 등록은 902대로 지난해 동기(1,079대) 대비 16.4% 감소했으나, 전분기(691대)에 비해서는 30 .7%나 크게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는 CNG 모델 보다 경유버스 모델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19년 4분기는 전세버스 총량제 및 수급조절 등의 악재로 신차 판매가 크게 줄었으나, 최근 일부 차종의 대 폐차가 이뤄지며, 평년 수준을 회복했다.[8]

각주

  1.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 버스, 유니시티부터 유니버스까지 한눈에 보기〉, 《네이버 포스트》, 2015-07-27
  2. 2.0 2.1 현대 유니시티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98%84%EB%8C%80_%EC%9C%A0%EB%8B%88%EC%8B%9C%ED%8B%B0#cite_ref-3
  3. 오토트리뷴, 〈도로 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버스, 가격은 얼마일까?〉, 《네이버 포스트》, 2020-03-06
  4. 4.0 4.1 4.2 4.3 4.4 4.5 현대상용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trucknbus.hyundai.com/kr/products/bus/uni-city#brochure
  5. 유니시티 CNG 장축, 상용차DB 공식 홈페이지 - http://db.cvinfo.co.kr/kr/bus/detail.php?idx=24
  6. 박상우 기자, 〈현대차, KTX 셔틀버스 사업에 유니시티 버스 11대 공급〉, 《엠오토데일리》, 207-01-10
  7. 박현욱 기자, 〈(중대형 버스 등록 7,921대…전년比 4.8%↓)버스시장 부진 속 국산 일부·수입산 호조〉, 《상용차신문》, 2020-02-14
  8. 박현욱 기자, 〈(1분기 중대형급 버스시장 분석)도심형 버스는 부진, 고속형 버스는 반등〉, 《상용차신문》, 2020-05-15

참고자료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현대 유니시티 문서는 한국 자동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