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요덕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동아시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북한''' 위치 썸네일|300픽셀|함경남도 위치 '''요...)
 
(차이 없음)

2024년 5월 11일 (토) 11:53 기준 최신판

북한 위치
함경남도 위치

요덕군(耀德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남서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요덕군의 면적은 1,304.37km²이며 인구는 40,839명(2008)이다. 서쪽은 평안남도 맹산군신양군, 북쪽은 평안남도 대흥군, 동쪽은 정평군, 남쪽은 금야군, 고원군이다. 북동~남서 간의 길이는 76km(문암리~관평리)이고, 북서~남동 간의 길이는 40km(입석리~인화리)이며, 도 면적의 7.04%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21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요덕읍이다.

1023년에 이 고장에 성을 축조하고 요덕진이라 명명하면서 요덕이란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요덕은 밝은 덕 즉 해가 잘 드는 덕이 진 곳이라는 뜻으로 되었다. 일명 현덕이라고도 하였는데 현덕의 '현'자는 요덕의 '요'자와 마찬가지로 밝다는 뜻을 나타냈다.

요덕 정치범수용소로 유명한 군이다.[3]

자연환경[편집]

요덕군은 바다로부터 약 30km 상거해 있는 전형적인 내륙 산간지대 군이다. 주변은 중산성산줄기들로 둘러서 있고 그 안에 금야강지류들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골짜기와 산간분지가 분포되어 있다. 평안남도와의 경계에 있는 북대봉산줄기에는 사수산(泗水山, 1,746m) · 모도봉(毛道峯, 1,833m) · 백산(白山, 1,724m) · 병풍산(屛風山, 1,548m) · 민봉산(閔峯山, 1,133m), 정평군과의 경계를 이루면서 남쪽으로 뻗어 있는 만풍산줄기에는 구름덕산(1,296m) · 절마봉(截馬峯, 1,055m) · 만세봉(萬歲峯, 794m) · 만풍산(萬風山, 734m), 모도봉에서 남쪽으로 뻗은 요덕산줄기에는 장재산(1,504m) · 낙안봉(落鴈峯, 1,325m) 등 산이 솟아 있다.

요덕군의 지형은 마이오세에 전반적 지역이 평탄화작용을 받아 준평원이 형성된 후 마이오세 말부터 일어난 칠보산 구조운동시기에 남북방향의 신흥~고원지구대를 경계로 그 서쪽지괴에 해당하는 지역이 융기되어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산지가 대부분 지역을 차지한다. 요덕군에는 해발 800m 이하의 낮은 이 많지만 입석천(立石川), 단속천(斷俗川) 및 그 지류들의 침식작용으로 깊은 골짜기들이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25° 이상의 급경사지는 군면적의 70%를 초과한다.

요덕군 내의 산지들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북대봉산줄기의 병풍산(1,548m), 요덕산줄기의 장재산과 그리고 단속산(斷俗山, 1,382m), 이북지역 낙안봉(1,325m), 오봉산(五峯山, 1,274m)일대는 골짜기가 깊고 경사가 급한 중산들로 이루어져 있다. 요덕군의 중부에는 월왕령(越王嶺, 529m)이 있고 금야강골짜기를 따라서 지대는 점점 낮아져 있다.

요덕군내의 계곡들에는 석회암, 화강암이 노출되어 있다. 요덕군일대의 기반암은 북부에 굳은 시생대 화강암, 읍을 비롯한 중부와 남부는 고생대 황주계석회암, 점판암으로 조성되어 있다. 미삼리, 요덕읍, 천흥리를 비롯한 모든 곳에서 점판암과 질 좋은 천연지붕재를 많이 채취하여 지방건재로 쓰고 있다. 이밖에 군에는 금, 사금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요덕군은 대륙성기후의 특성을 나타낸다. 요덕산줄기를 경계로 동부지역은 금야강을 따라서 바다의 영향을 얼마간 받지만 서부 지역은 바다의 영향을 거의 받지 못한다. 연평균기온은 8.9℃, 1월 평균기온은 -5.9℃, 8월 평균기온은 22.2℃이다. 0℃이상 적산온도는 3,644℃, 5℃이상 적산온도는 3,559℃, 10℃이상 적산온도는 3,286℃, 15℃이상 적산온도는 2,633℃이다. 첫 서리는 9월 28일경에, 마감서리는 4월 22일경에 내린다.

연 강수량은 1,200~1,300mm로서 비교적 많으며 연강수일수는 117일 정도이고 연강수량의 60% 이상이 6~8월 사이에 내린다. 바람은 대부분의 경우에 골짜기를 따라 분다. 한해에 주풍은 북서풍이며 장마철(7~8월)에는 남동풍이 자주 분다. 연평균풍속은 1.5m/s로서 함경남도 내에서 약한 편이다. 가을부터 다음해 봄 사이에 입석천과 단속천, 금야강 본류를 따라서 내기바람이 분다. 대륙고기압권 범위 내에 놓여 개인날에는 골바람이 올리 불고 밤에는 찬 산바람이 내리 분다.

요덕군 내의 하천들은 산악하천의 특성을 많이 띠고 있으며 길이가 짧고 물매가 급하다. 기본하계는 금야강상류부의 지류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금야강은 요덕산줄기에 의하여 단속천, 입석천으로 갈라져 흐르다가 금야군의 용천리 부근에서 합류한다. 요덕군내에는 미삼천(美三川), 입석천(立石川), 대숙천(大淑川), 소숙천(小淑川), 방동천, 양재천(陽-川), 용평천(龍坪川), 인흥천(仁興川), 단속천(斷俗川), 인화천(仁和川) 등 금야강지류들이 흐르고 있다.

요덕군 내에서 제일 긴 하천은 단속천이며 하천류량은 강수량에 따라 좌우되고 있다. 금야강과 그 지류들은 유량이 많고 수력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유리한 지점들이 많다. 강에는 열목어, 산천어 등 민물고기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인화리에는 자연샘물을 이용하여 칠색송어를 양식하는 양어장이 있으며 평원리에는 단순유황천 약수가 솟는다.

요덕군은 군 전체면적의 약 90%가 산림으로 되어 있으며 도에서 산림이 가장 많은 요덕군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군의 전반적 지역은 소나무, 잎갈나무, 잣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등의 침엽수들과 참나무, 황철나무, 피나무, 엄나무, 자작나무, 가래나무, 단풍나무 등의 활엽수들로 숲을 이루고 있다. 침엽수에서는 잎갈나무 · 잣나무 · 삼송류, 활엽수에서는 참나무 · 황철나무 · 피나무 · 자작나무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요덕군식물상에서는 수직적 분포가 명확히 나타나고 있다.

해발 800~900m에는 소나무 · 잣나무, 해발 900~1,000m 사이에는 참나무를 비롯하여 황철나무, 피나무, 엄나무, 자작나무 등이 분포되어 있다. 해발 1,000~1,200m 간에는 분비나무, 가문비나무를 주로 하여 참나무, 사스래나무가 혼성림을 이루고 있으며 해발 1,200~1,500m 계선에는 눈잣나무, 눈측백나무들이 분포되어 있다.

요덕군에서는 수천 정보의 창성잎갈 나무림과 1,500여 정보의 잣나무림, 호두나무림을 기본으로 하는 기름원료림을 마련하여 놓았다. 구읍리의 산기슭들의 호두나무림은 전망이 매우 좋은 기름원료 림으로 되고 있다. 산에는 머루, 다래, 돌배, 가래 등의 산과와 고사리, 도라지, 두릅, 참나물 등 산채, 만삼, 창출, 당귀와 같은 약초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곰, 사향노루, 노루, 산양, 수달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산짐승과 밀화부리, 꿩, 딱따구리 등 익조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요덕군 내의 여러 곳에는 수천 여 정보에 달하는 방목지가 전개되어 있다. 요덕군에는 또한 싸리나무, 피나무, 아까시나무, 밤나무와 같은 풀원천식물도 풍부하다.

요덕군의 토양은 북한 온대북부 갈색산림토양지대의 동해안 중부토양지역에 속한다. 대부분 지역에 갈색산림토양이, 높은 곳에는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기계적 조성에서는 석회암의 용식풍화물인 잔적에 흙, 질메흙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밖에 요덕군의 북부지역에는 운전사양토가, 강골지대에는 충적토가 분포되어 있다.[4]

역사[편집]

광복 전에 영흥군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전 영흥군 선흥면 · 요덕면의 전체 리와 횡천면의 23개 리를 통합하여 요덕군을 구성하였는데, 요덕면(耀德面)의 상신리 · 중신리 · 하신리를 병합하여 요덕읍(耀德邑)을, 횡천면(橫川面)의 남평리 · 봉산리를 병합하여 동산리(東山里)를, 횡천면의 회소리 · 담동리 · 상평리를 병합하여 회평리(回坪里)를, 횡천면의 율평리 · 초평리 · 하평리를 병합하여 삼평리(三坪里)를, 횡천면의 사평리 · 원흥리를 병합하여 평원리(坪原里)를, 횡천면의 덕평리 · 도내리를 병합하여 송도리(松島里)를, 횡천면의 미자아리 · 미로리 · 신흥리를 병합하여 미삼리(美三里)를, 요덕면의 인상리 · 인하리 · 인흥리를 병합하여 흥상리(興上里)를, 요덕면의 평원리 · 상평리를 병합하여 평전리(坪田里)를, 선흥면의 평천리 · 삼성리를 병합하여 성천리(城川里)를, 선흥면의 인풍리 · 평화리 · 태화리를 병합하여 인화리(仁和里)를, 선흥면의 신흥리 · 검산리 · 완문리를 병합하여 완산리(完山里)를 각각 신설하고, 횡천면의 자아리 · 운흥리를 병합하여 운흥리(雲興里)로, 횡천면의 당재리 · 천흥리를 병합하여 천흥리(泉興里)로, 횡천면의 하동산리 · 대평리와 요덕면의 화전리를 병합하여 대평리(大坪里)로, 요덕면의 입석리 · 소숙리를 병합하여 입석리(立石里)로, 요덕면의 용남리 · 성백리 · 용평리를 병합하여 용평리(龍坪里)로, 선흥면(宣興面)의 용남리 · 서상리 · 세류리를 병합하여 용남리(龍南里)로, 선흥면의 문상리(文上里) · 대흥리 · 문흥리를 병합하여 문암리(文岩里)로, 선흥면의 향봉리 · 향산리 · 남흥리를 병합하여 향봉리(香峯里)로, 선흥면의 용신리 · 용천리 · 용늪리 · 늪상리를 병합하여 용천리(龍川里)로, 선흥면의 자산리 · 성리 · 증하리를 병합하여 성리(城里)로, 선흥면의 용상리 · 용반리를 병합하여 용상리(龍上里)로, 횡천면의 율가리 · 양수리를 병합하여 양수리(兩水里)로, 선흥면의 용암리 · 용동리를 병합하여 용암리(龍巖里)로, 요덕면의 대숙리 일부를 요덕군 대숙리(大淑里)로, 요덕면의 백산리를 요덕군 백산리(白山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6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백산리를 대숙리에 편입하였고, 흥상리 일부를 분리하여 인흥리(仁興里)를 복귀하였으며, 1958년 6월에 삼평리, 회평리를 수동군(水洞郡)에 이관하였다. 1967년 10월에 요덕군 소재지를 대평리에 천이하면서 원 요덕읍이 구읍리(舊邑里)로 강등되었으며, 1986년 5월에 용남리, 용암리, 용천리, 용상리 등 4리를 금야군(金野郡)에 이관하였고, 8월에 고원군 관평리를 흡수하였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요덕읍), 21리(관평리, 구읍리, 대숙리, 동산리, 양수리, 용평리, 입석리, 문암리, 미삼리, 성리, 성천리, 송도리, 완산리, 운흥리, 인화리, 인흥리, 천흥리, 평원리, 평전리, 향봉리, 흥상리)로 구성되어 있다. 요덕군 소재지는 요덕읍이다.[5]

산업[편집]

광복 전 요덕군은 순수 화전지역으로서 원시적인 광업과 임업이 있었다. 광복 후 놀라운 경제성장을 보여주었는바 산이 군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역적 특성에 맞게 종합 이용하여 지방공업과 농업을 발전시켜 생활을 높이기 위한 투쟁을 힘 있게 벌여 큰 성과를 이룩하였다. 요덕군 공업의 기본은 임산업이며 도적으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통나무생산의 중심지는 성리와 흥상리이다. 요덕군은 갱목을 생산하는 사업소가 있다.

요덕군에서는 동력원천의 기본인 수력자원을 합리적으로 개발 이용하여 금야강발전소(金野江發電所), 요덕발전소(耀德發電所), 미삼발전소(美三發電所), 평원발전소(坪原發電所)들을 건설하여 많은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요덕군의 공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지방공업이다. 요덕군에서는 풍부한 자연연료원천에 의거하여 지방산업공장들을 건설하고 갖가지 일용품과 식료품을 생산하여 군 내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요덕군에는 종이공장, 식료공장, 악기공장, 기계수리공장, 가구공장, 피복공장, 직물공장 등 지방산업공장들이 있다.

지난 날 주머니칼 하나도 만들지 못하던 군에서는 구백 여 종의 질 좋은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요덕군에서는 이불장, 찬장, 밥상, 책상 등 가구류들과 교구비품들, 여러 가지 목재일용품과 초물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군에서는 황철나무를 비롯한 목재원료와 옥수수짚을 원료로 하여 질 좋은 종이와 장판지, 도배지, 각종 학습장들을 생산하고 있다. 식료품공업에서는 간장, 된장 생산을 비롯하여 고기가공품, 사탕, 과자들과 산과 및 산채를 이용하여 술, 단물, 과일즙과 같은 청량음료들을 만들며 고사리, 도라지, 참나물을 비롯한 맛있고 영양가 높은 산나물가공품을 생산한다. 또한 기름생산기지를 설치하고 해마다 많은 기름을 생산하여 주민들의 기름수요를 보장하고 있다.

직물 및 피복공업에서는 작업복감과 양복천안감을 생산하면서 봄, 여름, 가을 편직물을 생산하고 있다. 이밖에 비누, 화장품, 시계, 악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갖가지 약초들과 꿀을 원료로 하여 만삼고, 창출고 등 보약들과 효능이 높은 한약품을 많이 생산한다. 자체의 풍부한 점토와 석회석을 원료로 하는 토기공장에서는 해마다 질 좋은 토기류와 많은 토기와를 생산하고 있다. 화전농사에 매달려 있던 요덕군에서는 오늘 농산업과 함께 농촌경리의 모든 부문이 다같이 발전하고 있다. 요덕군의 농업에서 기본은 곡물생산을 위주로 하는 농산업과 잠업이다. 이밖에 과수업도 발전하고 있다.

농경지에서 이 7%, 밭이 66%, 뽕밭이 18%, 과수밭이 7%를 차지한다. 농산업에서 기본은 곡물생산이며 이밖에 채소류, 감자류, 공예작물, 가축먹이작물 등을 재배하고 있다. 곡물 가운데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옥수수이며 도적으로 옥수수밭 면적이 가장 많은 군들 중의 하나이다. 옥수수의 주요 재배지역은 성리, 구읍리, 요덕읍 일대이다.

콩은 요덕군 내의 전반적 지역들에서 비교적 골고루 배치되어 있으나 특히 구읍리, 성리, 성천리, 평원리에서 보다 많이 생산하고 있다. 요덕군에서는 산간지대의 기후풍토적 특성에 맞는 품종과 재배방법을 널리 받아들여 채소생산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주요 채소는 무, 배추, 양배추, 시금치, 고추 등이다. 특히 고추는 요덕군의 특산물로 알려져 있다.

요덕군은 함경남도에서 잠업이 가장 발전된 군의 하나이다. 요덕군에서는 김일성 주석이 요덕군과 같이 밭이 많으면서 뽕나무가 많은 지대에서는 잠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한 지시에 따라 이미 조성한 뽕나무를 최대한 이용하면서 산기슭 경사지에 뽕나무를 더 많이 조성하고 지대적 특성에 맞게 잠업을 합리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요덕군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 살구, 자두와 같은 과일을 많이 생산하여 주민들의 수요를 보장하고 있다. 소, 돼지, 염소, 양, 토끼, 닭 등을 많이 사육하여 축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광복 전 요덕군은 도에서 교통운수가 가장 불편한 지역의 하나로 되어 있었다. 광복 후 국가에서는 함경남도 철도로부터 멀리 상거한 요덕군에서 자동차운수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큰 배려를 돌려주었다. 교통은 금야~요덕~맹산 간 2급도로가 통과하고 있다. 이 도로들은 동해안지방과 서해안지방을 연결하는 데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도 소재지인 함흥까지는 123km이다.[6]

교통[편집]

광복 후 철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요덕군 지역은 도로 교통을 집중적으로 발전시켰다. 주요 도로로는 금야~요덕, 요덕~맹산, 요덕~고원, 요덕~관평 간 2급 도로가 달리고 있다.

이 도로들은 동해안 지방과 서해안지방을 연결하는 데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요덕~용남동(금야), 요덕~관평, 요덕~평원, 요덕~구읍 간에는 정기 버스가 운행된다. 함경남도 소재지인 함흥시까지는 123km이다.[7]

요덕 정치범수용소[편집]

요덕 정치범수용소(耀德 政治犯收容所)는 함경남도 요덕군에 위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범수용소이다. 정식 명칭은 15호 관리소(十五號管理所)이다. 이 영역은 대체로 광복 당시의, 또 대한민국에서 발행한 지도에 표기된 함경남도 영흥군 요덕면 일대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요덕수용소 이외에도 정치범 수용소가 몇 군데가 더 있지만 대외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요덕 정치범수용소이다. 그 이유는 규모가 큰 것 이외에도, 다른 지역의 수용소에는 석방이 불가능한 완전통제구역(完全統制區域)만이 있지만 이 요덕수용소에는 '완전통제구역' 외에도 간혹 석방되기도 하는 혁명화구역(革命化區域)이 있기 때문에, 요덕 정치범수용소에서 풀려난 사람들의 증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8]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요덕군〉, 《위키백과》
  2. 요덕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요덕군 개요 〉,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요덕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요덕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요덕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요덕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8. 요덕 정치범수용소〉,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요덕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