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린산군

해시넷
Liqingli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4월 28일 (일) 12:10 판 (새 문서: {{동아시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북한''' 위치 썸네일|300픽셀|황해북도 위치 파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황해북도 위치
린산군 위치

린산군(麟山郡, 표준어: 인산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남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

린산군의 면적은 503.463km²이며 인구는 73,626명(2008)이다. 동쪽으로는 평산군, 서쪽으로는 은파군황해남도 신원군, 남쪽으로는 봉천군, 청단군, 북쪽으로는 서흥군, 봉산군에 접한다. 동서(주암리~진천리) 간의 길이는 31km이고, 남북(백천리~상하리) 간의 길이는 27km이며, 도 전체면적의 5.32%를 차지한다. 해발 98m이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9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인산읍이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황해도 평산군 일부 지역과 서흥군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신설되면서 이 지역의 중심지역에 속해 있는 인산면의 이름을 따서 인산군이라 하였다.

멸악산맥의 그 멸악산이 이곳에 있다.[3]

자연환경

인산군에서 가장 높은 멸악산(滅惡山, 818m)과 주지봉(主持峯, 713m), 각호산(却胡山, 612m)을 주봉으로 하는 멸악산줄기(滅惡山-)가 인산군의 거의 중심으로 뻗어 있다. 이 산줄기는 오랜 세월 풍화작용을 받아 봉우리들이 날카롭다. 인산군의 북서부에는 정두산(386m)이, 중부에는 동막산(430m)이, 남부에는 부아산(負兒山, 458m)과, 중골산(434m), 운달산(雲達山, 602m) 등이 솟아 있다. 지형은 멸악산줄기에서 북서쪽과 남동쪽으로 점차 낮아지면서 구릉들과 벌들이 엇갈려 있다. 은파천(銀波川)과 그 이북의 넓은 지역은 해발 100~200m의 구릉과 벌로 되어 있다.

인산군은 하부원생대 황주계, 상부원생대 상원계 및 구현계 층과 상부원생대 연산암군, 하부원생대 벽성암군과 옹진암군, 중생대의 단천암군의 관입암들이 분포되어 있다. 하부원생대 황해층군 암층은 수현리 남쪽의 수마동 밤나무골, 예골 등 비교적 제한된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상부원생대상원계퇴적층은 황해층군 및 옹진암군 위에 경사부정함으로 놓이는데 직현통퇴적층은 수현리, 연풍리, 백천리 일대에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인산읍 북쪽에도 안심령층 석회질견운모편암이 있다. 사당우통 석회암, 고회암층은 인산읍으로부터 대촌리를 잇는 선의 서쪽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인산군은 하부원생대와 상부원생대에 형성된 사리원-서흥요함대의 남쪽끝부분에 해당하는데 중생대구조운동과 화강암의 관입작용에 의하여 현재의 윤곽이 이루어졌다. 수현리 수마동에 하부원생대 관입암인 벽성암군의 각섬암관입체가 있으며 수련리, 백천리 남쪽지역에는 옹진암군의 큰 저반체형흑운모화강암관입체가 널리 분포되어 있다.

기린리, 대촌리, 냉정리 지역에는 상원계층을 관입한 상부원생대관입암인 휘록암, 휘장휘록암의 염기성관입체가 맥상으로 분포되어 있다. 백천리, 대촌리, 냉정리, 주암리 일대에는 단천암군의 큰 저반체형흑운모화강암관입체가 있다. 용석리, 동사리 일대에는 단천암군의 황반암, 섬장암이 얇은 맥상체로 분포되어 있다. 대촌리, 기린리, 안창리에 걸쳐 단층이 발달되어 있으며 그밖에도 크지 않은 단층들이 분산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인산군에는 철, 망간, 금, 동, 납-아연을 비롯한 금속자원과 석회석을 비롯한 비금속자원, 초무연탄 및 이탄 등 연료자원이 있다. 인산군의 하천연안에는 충적토가 발달되어 있고 그밖의 지역에는 갈색산림토양, 적갈색토양, 논토양이 있다. 연평균기온은 9.4℃, 1월 평균기온은 -7.3℃, 8월 평균기온은 24.1℃, 월평균최고기온은 15.7℃, 월평균최저기온은 4.0℃이다. 10℃이상 적산온도는 3,527℃이며 첫서리는 10월 7일에, 마감서리는 4월 30일에 내린다. 연평균강수량은 1,102.9mm이다.

하천망이 비교적 발달한 인산군으로서 여기에는 길이 5km 이상인 하천만도 12개나 있다. 멸악산줄기 동쪽 경사면의 국수봉에서 예성강의 제1지류인 누천(漏川)이 흐르기 시작하는데, 인산군 영역으로 흐르는 누천의 길이는 약 22.3km이다. 재령강(載寧江)의 제1지류인 곡천(曲川)이 주지봉의 북서쪽 경사면에서 흐르기 시작하여 인산군의 서쪽경계지역을 따라 은파호(銀波湖)로 흘러든다.

재령강의 지류인 은파천은 멸악산에서 시작하여 인산을 거쳐 군의 중부를 관류하고 있는데, 인산군 영역으로 흐르는 은파천의 길이는 약 27km이다. 저수지는 주로 전후에 건설한 상월저수지(上月貯水池), 안창저수지(安昌貯水池), 대동저수지(垈洞貯水池), 주암저수지(舟岩貯水池), 대촌저수지(大村貯水池), 지택저수지(池澤貯水池) 등이 있다.

산림은 인산군 전체면적의 69%를 차지하는데, 그 가운데서 해발 200m 이하에 55%가 분포되어 있다. 산림에서 침엽수림은 57.4%, 활엽수림은 42.6%이며 그 가운데서 소나무숲은 20.8%, 잣나무숲은 13.6%, 참나무숲은 30.5%, 밤나무숲은 5%이다. 주요 수종으로는 참나무, 소나무, 잣나무,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잎갈나무, 상수리나무, 고로쇠나무, 피나무, 밤나무, 박달나무, 오리나무, 느릅나무, 호두나무, 가래나무, 사스래나무, 돌배나무, 싸리나무, 산초나무, 진달래, 개암나무, 생강나무 등이 있다.

멸악산 일대는 식물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5,000여 정보의 잣나무숲, 수백여 정보의 호두나무숲, 300여 정보의 가래나무숲, 160여 정보의 산초나무숲이 조성되어 있다. 산에는 돌배, 머루, 다래, 고사리, 두릅, 삽주, 산삼, 천남성을 비롯한 여러 가지 경제식물들이 많이 자라고 있다. 인산군의 상하리, 다전리 일대에는 노루와 꿩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4]

역사

인산군 지역은 본래 황해도 평산군서흥군의 지역이었다. 1952년 12월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황해도 평산군의 신암면(新岩面) · 인산면(麟山面) · 상월면(上月面)의 전체 리와 문무면(文武面)의 13개 리 그리고 서흥군의 내덕면(內德面)을 병합하여 인산군으로 개편하였는데, 이때 평산군 인산면의 허사리 · 기린리 · 낙촌리를 병합하여 인산읍(麟山邑)으로, 신암면의 남산리 · 월봉리 · 문림리 · 백천리를 병합하여 백천리(白川里)로, 신암면의 청룡리 · 재동리 · 성북리를 병합하여 상암리(象岩里)로, 신암면의 장동리 · 원전리 · 주상리를 병합하여 주암리(舟岩里)로, 신암면의 반월리 · 가정리 · 당평리를 병합하여 냉정리(冷井里)로, 신암면의 대촌리 · 수회리 · 검현리 · 태봉리를 병합하여 대촌리(大村里)로, 인산면의 대미리 · 평촌리 · 진천리를 병합하여 진천리(眞川里)로, 인산면의 주련리 · 건천리 · 망도리를 병합하여 연풍리(輦豊里)로, 인산면의 수마리 · 진석리 · 토옥리를 병합하여 수현리(水峴里)로, 상월면의 계동리 · 신촌리를 병합하여 상월리(上月里)로, 상월면의 사탄리 · 동막리를 병합하여 동사리(東絲里)로, 상월면의 대촌리 · 하월리를 병합하여 기춘리(基春里)로, 상월면의 석교리 · 용수리를 병합하여 용석리(龍石里)로, 문무면의 미로리 · 물안리 · 자창리를 병합하여 안창리(安昌里)로, 문무면의 화원리 · 창평리를 병합하여 화창리(花昌里)로, 문무면의 구손리 · 양어리 · 고산리를 병합하여 평화리(平和里)로, 문무면의 금은리 · 지당리 · 대택리를 병합하여 지택리(池澤里)로, 문무면의 문구리 · 재명리를 병합하여 문구리(文區里)로, 서흥군 내덕면의 유판리 · 신촌리를 병합하여 신촌리(新村里)로, 내덕면의 대화리 · 감당리를 병합하여 대화리(大和里)로, 내덕면의 석련리 · 장포리를 병합하여 석련리(石蓮里)로, 내덕면의 다전리 · 상금리를 병합하여 다전리(多田里)로, 내덕면의 하석리 · 상석리를 병합하여 상하리(上下里)로, 내덕면의 덕성리 · 냉정리를 병합하여 석교리(石橋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3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인산읍을 기린리(麒麟里)로 강등하고, 화창리와 문구리를 병합하여 인산읍과 화명리(花明里)로 개편하였다. 1954년에 황해북도 인산군으로 되면서 수현리 일부를 신원군 수원리에 편입하고, 백천리 일부와 대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검현리(劍峴里)로, 백천리 일부와 황해남도 봉천군 은동리 일부 · 간평리 일부를 병합하여 도천리(道川里)로 각각 개편하였다.

1965년에 신촌리가 상하리와 석련리에, 대화리가 석련리 · 동사리 · 상월리에, 도천리가 백천리에, 검현리가 대촌리에 각각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1967년에 화명리가 인산읍에 편입되고 상암리가 평산군에 이관되었으며, 1982년에 기춘리를 대풍리로 개칭하였다. 1985년에 은파군 금대리 일부와 봉산군 청룡리 일부가 상하리에 흡수되었다. 2002년 10월 현재 행정구역은 1읍(인산읍), 19리(기린리, 다전리, 대촌리, 대풍리, 동사리, 냉정리, 연풍리, 용석리, 백천리, 상월리, 상하리, 석교리, 석련리, 수현리, 안창리, 주암리, 지택리, 진천리, 평화리)로 구성되어 있다. 인산군 소재지는 인산읍이다.[5]

산업

인산군의 경제는 지방공업과 농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방공업은 식료품, 일용품, 종이, 건재, 화학, 기계, 제약 공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에서 식료품공업은 공업 총생산액의 31.7%를 차지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인산군에서 생산되는 구럭, 꽃자리 등 초물제품은 질이 좋아 인산군 내에서는 물론 다른 나라에도 수출한다. 이밖에 인산군에서는 이 지역의 널리 분포되어 있는 약초자원에 기초하여 제약공업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농경지는 군 전체면적의 24.6%로서 황해북도 농경지 비율과 거의 같다. 인산군은 현재 북한에서 약초생산을 기본으로 하는 군으로 되어 있다. 인산군은 기후가 비교적 선선하고 대기누기가 적합하여 약초재배에 유리하다. 농경지 면적에서 밭(약초밭 포함)이 63.8%, 이 19.1%, 과일 및 호두 밭이 9.8%, 뽕밭이 7.1%, 나무모밭이 0.2%이다. 약초밭은 석련리를 비롯한 모든 리들에 골고루 배치되어 있다. 특히 상하리는 약초재배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함박꽃, 도라지, 당귀, 돌외, 두충, 목향, 엉겅퀴, 산수유, 마, 미나리, 율무, 지황, 택사, 황기 등을 비롯한 약초들을 많이 생산하여 전국의 제약공장들에 공급하고 있으며 외국에도 수출한다.

농경지 면적의 23%가 인산분지(麟山盆地)지역과 평화리 · 동사리 · 지택리에, 20%가 누천 상류연안의 주암리 · 냉정리 · 대촌리 · 백천리에, 14%가 은파천 상류연안의 대풍리 · 기린리 · 상월리에, 19.2%가 서흥강 상류연안의 상하리 · 다전리, 석교리 · 석련리에 분포되어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옥수수, 벼, 콩, 담배 등이 있다. 벼는 주로 은파천, 누천 연안 지역에서, 옥수수는 그밖의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인산군에서는 예로부터 널리 알려진 담배(황색초)가 많이 산출되고 있는데 주로 안창리, 평화리, 인산읍, 대촌리, 석련리, 동사리 등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다.

과수업에서는 사과와 배, 복숭아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밖에 포도, 감, 자두, 살구, 대추, 단버찌 등도 산출되고 있다. 기린리 등판에는 500여 정보의 호두나무밭이 조성되어 있다. 축산업도 발달되어 있는데, 멸악산줄기의 꽃동재골짜기를 비롯하여 곳곳에 있는 방목지를 이용하여 소, 염소, 양 등 가축들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인산군은 밀원식물이 풍부하여 황해북도에서 꿀을 많이 생산하는 지대로 알려져 있다.[6]

교통

도로 교통이 기본을 이룬다. 평부선의 서흥역과 연결되는 서흥~인산 간 도로가 중심도로로 되어 있으며 이밖에 평산, 은파, 신원, 봉천 방면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인산~서흥, 인산~평산, 인산~은파, 인산~신원, 인산~평천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인산읍에서 황해북도 소재지인 사리원시까지는 약 57km, 서흥까지는 18km, 평산까지는 44km, 은파까지는 65km, 대촌까지는 20km이다.[7]

지도

동영상

각주

  1. 린산군〉, 《위키백과》
  2. 린산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인산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인산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인산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인산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인산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동아시아 같이 보기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린산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