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상난동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상난동(異常暖冬)은 여느 해의 평균기온을 웃도는 따뜻한 겨울을 말한다.

개요[편집]

이상난동이란 겨울에 월평균기온의 정규분포에서 평균값으로부터 편차가 표준편차의 두 배 이상으로 높은 기온인 이상고온(異常高溫, Abnormally High Temperature) 현상이 나타나는 기상 현상을 말한다. 이상고온이란 여름이 아닌 시기, 대략 가을에서 에 이르는 시기에 기온이 평년보다 유난히 높게, 즉 평년 대비 90%를 초과하는 기온이 나타나는 현상을 뜻한다.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상저온이 있다. 특히 겨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면 이상난동(異常 暖冬)이라고도 한다. 1915~1916년, 1978~1979년, 2006~2007년, 2019~2020년 등이 이상난동이었다. 또한, 1998년, 2015년, 2016년, 2019년, 2021년, 2023년 등은 연 전체가 이상고온이었다. 또한, 4~5월이나 9~10월에 이상고온 현상이 나타나면 폭염과 다름없을 정도이다. 실제로 5월이나 9월에 폭염특보가 내려진 적도 있다.[1][2]

따뜻한 겨울 날씨가 이어지면서 얼어야 할 강이 얼지 않아, 내려야 할 눈이 내려 쌓이지 않아 지역 곳곳 축제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렇게 올 겨울이 따뜻한 이유는 크게 2가지 원인으로 분석된다. 먼저, 첫 번째는 추운 겨울의 찬 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강도가 평년보다 약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두 번째 이유가 겨울철 포근함을 더한다. 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1℃ 안팎으로 높아 대한민국 남동쪽에 따뜻하고 습한 고기압이 강도를 유지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북쪽의 찬 공기가 깊숙이 내려오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다. 2월까지 뚜렷한 한파가 올 가능성이 적어 올 겨울은 '이상난동(異常暖冬)', '이상할 정도로 따뜻한 겨울'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3]

원인[편집]

북쪽의 찬 공기로 대부분 발생하는 이상 저온과 달리 이상 고온의 경우 사례가 매우 다양하다. 21세기에 들어서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이상 고온이 잦아지고 있으며 그 밖에는 동태평양수온이 높은 엘니뇨 시기에는 특히 겨울을 중심으로 이상 고온이 잦다. 또한 2015년처럼 1년 내내 고온건조한 날씨가 계속 이어지기도 한다. 엘니뇨의 반대인 라니냐도 서태평양의 수온이 높기 때문에 이상 고온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여름철이나 9월, 10월은 라니냐가 오면 더위가 주로 나타난다. 겨울이라도 1998~1999년, 2021년 1월 중하순~2월처럼 따뜻할 수도 있다.

찬 공기 남하가 정체되어 시베리아 고기압이 내려오지 못해서 2019~2020년처럼 이상 고온이 나타나기도 한다. 기단의 영향으로는 여름철 폭염의 주범인 북태평양 기단과 티베트 기단이 있다. 기단이 변질되면 이상 고온이 나타나는데 시베리아 고기압이 내려오면서 봄철과 가을철에 한반도에 자주 오는 이동성 고기압으로 인해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고 겨울에 이 경우라면 이상 고온이 대부분이다. 이때 서풍이 주로 불어서 이상 고온이 나타난다.

기단의 변질로 가장 큰 영향은 다름 아닌 산맥을 넘는 푄 현상인데, 6월과 9월에 한반도에 자주 오는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으로 동풍이 자주 불어 서쪽 지역의 경우 고온건조한 날씨가 찾아오고 동서 지역 간의 기온차도 크다. 대표적인 사례로 2018년 폭염이 있으며, 2021년 1월의 이상 고온도 동풍의 영향이 크다. 즉 영동 지역을 제외한 곳에서 극단적인 이상 고온이 일어날 경우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으로 인한 동풍이 대부분이다.

물론 한반도에서 일상적으로 부는 서풍 역시 변질되어서 지나치게 온난해지면 초이상 고온이 일어나는데 이때는 서풍 자체의 성질이 온난해서 동풍과 달리 백령도를 제외하고 이상 고온이나 영동 및 동해안 지역의 경우 태백산맥의 영향으로 이상 고온의 영향을 두 배로 받아 기온이 매우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4~5월에 영동 지방에서 뜬금없는 한여름 날씨를 보인다면 바로 이 경우이다. 심지어 그 서풍이 이동성 고기압이 아니라 1998년 4월처럼 북태평양 기단이라면 더욱 더 심각해진다.

반면 동풍의 경우 원래 찬 성질을 띄기 때문에 동해안 지역에 이상 저온이 올 때도 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동풍, 서풍 때는 맑고 건조해서 밤에는 복사냉각 등으로 크게 높지 않은 편이지만 서풍이 불 때 동해안의 경우 내륙과 달리 바다가 근처에 있어서 습도도 높고 한 번 높아지면 잘 식지 않아 열대야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동풍의 경우, 푄 현상의 영향을 받으면 일반적으로 14~15시 사이에 최고 기온이 기록되는 것과 달리 이 경우에는 시간이 좀 더 걸려서 최고 기온이 기록되는 시간이 15~17시 사이로 늦어지기도 한다. 심지어(특히 5~8월) 흐린 날 오후에 늦게 갠다면 17시는 물론 18시(오후 6시)에도 하루 중 최고 기온을 기록하는 현상이 가능하다.[1]

전 세계의 정책[편집]

다음은 기후 행동 추적기(climate action tracker)는 2013년부터 매년 전 세계적으로 2030년까지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실제 행동(policies & action)에 따라 2100년 지구 기온 상승 전망치를 나타낸다. 실제로 이 문서를 보는 사람들 중 기후 우울증에 시달리는 이들을 위해서 얼마나 전 세계의 감축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지 보여준다.

  • 2013년: 3.7°C
  • 2014년: 3.9°C
  • 2015년: 3.6°C
  • 2016년: 3.6°C
  • 2017년: 3.4°C
  • 2018년: 3.3°C
  • 2019년: 3.0°C
  • 2020년: 2.9°C
  • 2021년: 2.7°C
  • 2022년: 2.7°C[1]

사례[편집]

이 문서의 사례는 주로 가을~봄에 기온이 높게 나타난 경우에 대해서 다루며, 여름철(6월~8월)의 이상 고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폭염/사례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또한 전국 평균 기온은 본격적인 전국 기상관측을 시작한 1973년 이후를 기준으로 통계가 기록되어 있다. 평년대비 기온은 시대에 알맞는 평년값 자료를 사용한다. 옛 조선시대의 기록은 전부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한다.

  • 1991년~2000년 - 1961년~1990년 기준 평년값 사용
  • 2001년~2010년 - 1971년~2000년 기준 평년값 사용
  • 2011년~2020년 - 1981년~2010년 기준 평년값 사용
  • 2021년~2030년 - 1991년~2020년 기준 평년값 사용[4]

21세기 겨울 이상난동 사례

  • 2002년 12월 : 기온변화가 컸지만 고온이 강했다. 12월 4일 서울 최고기온 15.9 °C를 기록했다. 이후 기온이 8일부터 급격하게 떨어져 10일에는 -9.1 °C의 한파가 찾아왔지만 14일부터 금세 기온이 올랐다. 이후 21일에는 서울의 최고기온이 11.7 °C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12월 말에도 크리스마스부터 시작된 한파가 있긴 했지만 이도 8~13일의 한파랑 큰 차이가 없었다. 결국 서울의 12월 평균기온이 1.7 °C로 평년보다 높은 기록을 보였으며 초이상 저온이 찾아온 전달과 큰 차이가 없었다.
  • 2003년 12월 : 12월 하순 전 해와 비슷한 고온 현상을 보였으며 7~10일, 18~21일의 작은 한파를 제외하면 별로 큰 한파가 없었다. 그래도 상순과 중순은 서울 기준 평년수준이었고 하순이 고온인 바람에 결국 서울 월평균기온은 0.7 °C로 평년보다 0.5°C 높았다.(1971~2000년 12월 서울 평균기온 0.2°C) 이 고온현상은 다음 해 1월 중순까지 이어지다가 20일부터 한파가 시작되어 22일에 -16.7 °C를 기록하면서 다시 추워지나 싶었지만 29일부터 다시 기온이 올라가며 한파가 사실상 끝났다.
  • 2004년 12월 : 11월 서울은 기상 관측 최초로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지 않았다. 11월 26일에 잠시 눈발이 날린 이후로 12월에도 이상 고온이 심해서 서울은 기압골이 통과할 때도 영상의 기온을 유지하면서 눈 대신 비만 왔으며 기상 관측 최초로 12월 적설량이 기록되지 않았다. 그리고 12월 3일 서울에서는 16.2 °C까지 올랐다. 12월 중순까지는 한파가 적다 보니 2019~2020년 겨울과 맞먹을 정도였다. 기상학적 겨울도 12월 하순에 시작되었다. 결국 2004년 3월 초 폭설 이후 10여 달만인 2005년 1월 16일이 되어서야 서울에 눈이 쌓였다.
  • 2005년 12월 : 30~31일 한 달 내내 강력한 한파가 기승을 부렸지만 한해의 마지막 만큼은 포근하게 보내게 하려는 듯 30일에 평년보다 고온으로 올라가더니 31일에는 서울 최고기온이 5.5°C까지 올랐다.
  • 2006년 12월 : 11월에도 큰 추위 없이 4년 연속으로 포근했다.[61] 그러나 전년도처럼 12월이 되자 바로 한파가 왔으나 이는 반짝 현상으로 그치고 다시 이상 고온이 찾아왔다. 12월 15~17일에 폭설이 와서 잠시 이상 저온이 왔지만 이후 크게 올라서 12월 25일에는 서울에서 최저기온 0.6 °C에 최고기온이 12.5 °C였다. 이 정도면 3월과 맞먹는 기온이다. 그리고 28~30일에는 2006~2007년 겨울 중 가장 강력한 한파가 오기는 했지만 고온현상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결국 서울 평균기온 1.4℃로 평년보다 높았다.
  • 2007년 12월 : 5~8일 작은 한파를 제외하면 꽤 따뜻했고, 크리스마스 무렵에는 전년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봄 날씨가 이어졌다. 그러나 말일에는 세밑 한파가 찾아왔다. 서울 평균기온은 1.8 °C를 기록해서 2015년이랑 맞먹는다.
  • 2008년 12월 : 11월은 18~20일 추위가 강했지만 고온이 잦이서 당시 평년보다 서울기준 0.7°C 높았다. 11월 하순의 고온이 12월에도 이어져 3년 연속 12월 고온이 찾아왔다. 평균기온 역시 높은 편이였다. 이후 12월 하순부터 추위가 찾아왔지만 그래도 크게 춥지는 않은 편이며 1월 말부터 2월 둘째주까지는 초이상 고온을 기록했다.
  • 2009년 12월 : 12월 초에도 최저기온이 높은 이상 고온을 보였다. 6~7일의 반짝 추위를 빼면 고온다습한 엘리뇨의 날씨를 보였다. 특히 11일에는 최저 기온이 5°C 이상으로 2019년 12월 이맘 때와 맞먹는 초이상 고온을 보였다. 그러나 14일부터 한랭건조한 한파가 찾아오면서 고온현상은 끝났다. 그리하여 이해 12월은 평년보다 낮았다.
  • 2010년 12월 : 특히 2일에는 초겨울답지 않은 폭우와 이상 고온으로 4월에나 볼 법한 날씨를 보였다. 서울에서 최저 기온이 5°C를 넘었고, 최고 기온도 13.5°C를 기록하였다. 이후에도 가끔 씩 최고기온이 10°C까지 오르는 기온을 보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달 성탄절 전후로 추위가 찾아와 2011년 1월까지 이어지면서 낮 기온이 영상으로 거의 오르지 않는 강력한 한파가 기승을 부렸다. 그 결과 이해 12월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낮았다. 전반적으로 2009년 12월과 양상이 비슷하기도 했다.
  • 2013년 12월 : 31일 서울에서 9일까지 12월 6일의 최저기온 -0.7도를 제외하고 최저기온이 전부 영상이였으며 최고기온도 6~10도까지 올랐다. 10일에도 최저기온 -2도로 그닥 춥지 않았으나 11일부터 29일까지 평년보다 다소 낮은 날씨가 계속 이어졌고 31일에 다시 최저기온이 영상으로 올리서 이 해 12월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았다. 서울은 -0.2도로 평년보다 조금 낮았다. 포근한 달은 아니었으나 지난 4년에 비해 매우 따뜻해서 이상 고온으로 느껴진 사람도 있을 정도였다.
  • 2014년 11월 : 10월 말부터 기온이 다시 올라 수능 전후를 제외하면 고온이 심했다. 11월 초순은 3일과 7일을 제외하면 높았다. 중순에는 수능날에 한파가 찾아왔고 그 다음날 첫눈이 내렸다. 14일 이후에는 평년 수준을 보이다가 20일부터 난기로 인하여 초이상 고온이 나타났다. 서울의 하순 평균 기온은 무려 9.9°C로 역대 2위이다. 월 평균도 9.0°C를 기록해 다음해보다도 더 높았다. 전국 평균기온도 8.6°C로 2019년, 2020년처럼 다소 높았다. 다만 12월이 되는 순간 기온이 수직으로 내려가 이른 한파가 찾아왔다. 그리하여 11월과 12월 평균기온차가 약 12도나 차이가 났다.
  • 2015년 11월 : 11월은 엘니뇨의 영향으로 기온도 높고 11월답지 않게 비도 자주 내렸다. 11월 전국 평균 기온은 9.9 °C로 역대 2위였고, 11월 강수 일수는 한 달의 절반 정도인 14.9일로 1973년 이후 최다, 강수량도 127.8mm로 1973년 이후 2위이며 서울에서도 14일이나 비가 왔고 일조량도 109시간으로 매우 낮았고 운량은 매우 높았다.
  • 2016년 12월 : 겨울이 오는가 싶더니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봄 날씨가 찾아왔다. 서울은 20일 최고 기온이 13.6˚C로 12월 중순 기온 최고치를 기록했다. 21~22일에는 전국에 평년의 4~10배에 달하는 유례 없는 폭우가 내렸다. 심지어 경남지방에서는 호우주의보까지 발령되었고, 부산은 기상 관측 사상 12월 말 강수량 최고치를 기록했다. 따라서 전국의 월 강수량이 63.1mm로 1973년 기상관측 이래 이어 최다 2위, 월 평균 기온도 2.9°C로 역대 3위로 기록되었다.
  • 2017년 11월 : 9월 하순 갑작스런 늦더위 이후 급락해서 설악산에 첫 얼음이 들 정도로 기온이 크게 급락했지만 10월이 되자 다시 올랐다. 특히 서울에서는 2일에 29.4˚C를 기록해서 역대 3위를 기록했고 이후 다시 내려가서 추석날에는 5년만에 완전한 가을 날씨를 맞이했으나 이후 아열대고기압이 장악하면서 서울에서는 7일과 8일에 28.7~28.8 °C를 기록했다.
  • 2018년 11월 : 기온변화가 상당히 커서 한파도 강했지만 고온도 강하게 나타났던 12월이다. 12월 1~4일에 이상 고온이 심하게 찾아왔다. 특히 12월 2~4일에는 서귀포 낮 기온이 3일 연속으로 20 °C를 넘겼고, 서울도 3일에 일평균기온 11°C를 넘겼고, 최저기온 9 °C, 최고기온 13.5 °C까지 올라 고온이 심했다. 최저기온과 일평균기온은 순위권이고 최고기온도 높은 편이었다. 이때 그 밖의 지역에도 이상 고온이 찾아왔다. 그러나 5일에 바짝 한파가 찾아오고 6일에 올라갔으나 7일부터 한파 및 저온이 찾아오지만 다시 16~17일부터 기온이 올라 19일에는 서울의 최고 기온이 9.5 °C, 20일에는 10.4 °C, 21일에는 9.8 °C, 22일에는 12.4 °C라는 3월 중하순의 날씨와 맞먹는 날씨가 찾아왔다.
  • 2019년 12월 : 심각하게 높아보이진 않지만 중하순은 상당히 높았다. 12월 1일까지 높았다가 차츰 내려가 12월 5~6일에는 강한 한파가 찾아왔지만 반짝 현상에 그쳤다. 7일에 눈이 오기는 했지만 눈발이 날리는 정도여서 쌓이지 않았다. 게다가 12월 8일부터 기온도 오르고 차츰 미세먼지가 유입되면서 특히 12월 10일, 중국의 미세먼지 유입, 국내 미세먼지와 대기 정체로 인해 중부지방 대부분의 미세먼지가 나쁨 수준, 경기 북부는 매우 나쁨까지 올라갔다.
  • 2020년 12월 : 12월 상순에는 5~7일을 제외하고는 다소 추웠으나 서울 기준 -3~-5°C로 심하지는 않았고 10~11일에는 날씨가 풀려 최저 기온이 1~5°C, 낮 기온이 9~12°C를 넘는 다시 늦가을 날씨를 보였다. 서울도 10일 최저 기온이 3.2°C, 최고기온이 9.3°C로 평년보다 약 5°C 높았다. 게다가 미세 먼지 농도도 높았던 편이다.
  • 2021년 12월 : 1~2일에는 평년보다 조금 낮았고 3~5일에도 평년 수준의 기온이 지속되었지만 6일부터는 서귀포시의 아침 최저기온과 서울의 최고기온이 각각 10°C 이상으로 올랐고 서울에서 12.1°C까지 올랐으며 7~8일에는 특히 최저기온까지 높은데다가 13.3°C를 연속으로 기록해서 강력한 고온을 보였다. 9일에도 최저기온 영상에 최고기온 10°C 안팎을 보였다. 특히 10일에는 서울의 아침 최저기온이 무려 5°C, 최고 기온은 11°C로 평년 11월 초중순 날씨로 예보했고 실제로는 비가 와서 서울의 낮 기온은 8°C였으나 아침최저기온이 6.6°C로 예보보다 높았고 평년보다 10도 가까이 높았다. 그리고 3년 연속으로 12월 10일에 이상 고온이 찾아왔다.
  • 2022년 12월 : 맞먹는 평년보다 매우 낮은 2022년 12월이었으나 12월 7~12일에는 추위가 풀린 후 평년 수준으로 회복할 것이었으나 특히 열섬이 있는 서울은 예보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날씨가 나타나서 작년 이맘때보다는 기간이 짧고 약하지만 고온 현상이 찾아왔다. 서울은 이 기간동안 최저 기온이 영상이었고 최고 기온도 9~10℃ 이상이었다. 9일에 최고 기온 10.2℃를 기록하여 또다시 10℃ 이상으로 올랐고 12월 9일까지 전국 대부분이 최저 기온이 -3℃ 이상, 최고 기온이 6~15℃까지 올랐다.
  • 2023년 12월 : 슈퍼 엘니뇨로 인하여 뜨겁고 습한 남풍의 다량유입으로 5~15일의 고온이 관측사상 역대급으로 강했다. 11월 중하순의 때이른 추위가 풀린 후, 12월 5일에는 서울의 최고기온이 12.6°C, 7일에는 11.4°C까지 오르는 상당히 역대급으로 강한 이상 고온이 찾아왔고 전국적으로 천둥, 번개가 쳤으며 8일부터 고온이 더 강해져 특히 8일에는 12월에는 절대 나타날 수 없는 4월 중하순 수준의 최저기온 5.1°C, 최고기온 서울 16.8°C, 제주 22.2°C를 찍어 관측사상 역대급 매우 강력한 초고온을 기록했다. 이 영향으로 일부 지역에선 강풍이 불기도 했다.[5]

지구온난화[편집]

지구온난화(地球溫暖化, Global Warming)는 좁은 의미로는 인간 활동으로 인해 19세기 말부터 지구의 평균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넓은 의미로는 지구의 기온이 어떠한 이유에서든 평균 이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뜻하며, 인류와 지구 생태계의 존속과 미래를 위해 인류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지구온난화 또는 기후온난화는 온실효과로 인하여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전 세계적인 바다와 지표 부근 공기의 기온 상승을 의미한다. 21세기 초부터 2018년까지 지구 표면의 평균 온도는 1980년에 비해 약 3분의 2가 넘는 0.93 ± 0.07 °C 정도 기온이 상승했다. 기후 온난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애매하나,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90% 이상의 온실 기체 농도의 증가와 화석 연료의 사용과 같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측하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모든 주요 산업 국가의 과학 연구 센터에서 인정받고 있다.

기후 모델의 예측은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에서 2007년 발표된 IPCC 제4차 평가 보고서에서 요약되었다. 이 보고서에서는, 21세기 동안 지구의 평균 온도는 최하 1.1 - 2.9 °C 상승에서 최대 2.4 - 6.4 °C 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고했다. 이러한 예상 수치의 오차는 모델마다 서로 다른 기후 민감도 때문에 발생한다.

제4차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의 온난화로 인해 지역적 영향이 발생한다고 발표했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지구 기온이 증가함과 함께 해수면 상승 및 강수량과 패턴의 변화, 아열대 사막 지방의 확장 등이 있다. 또한, 지구 온난화로 북극의 축소와 지속적인 빙하, 영구 동토층, 해빙의 감소 등이 나타난다. 지구 온난화의 다른 영향으로는 극한 기후와 폭염의 증가, 가뭄과 폭우, 해양 산성화와 종의 멸종도 있다. 인간 생활에서는 농업 수확량의 감소와 기후변화 난민의 발생이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제안된 정책들에서는 탄소 배출 감소로 온난화를 완화시키고 지구공학을 통해 적응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이 모인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 협약(UNFCCC)에서는 궁극적인 목표로 인간에 의한 위험 기후 변화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UNFCCC의 가입국들은 온실 기체를 줄이기 위한 정책을 채택했으며, 지구 온난화의 적응을 지원하고 있다. UNFCCC 참여국들은 탄소 배출량의 큰 감소 필요성에 동의하며] 미래의 지구 온난화에 대하여 2.0 °C 내외로 국한해야 한다. 2011년 국제 연합 환경 계획의 보고서와 국제 에너지 기구에 따르면, 21세기 현재 UNFCCC의 2 °C 감소 목표는 불충분할 수 있으며 좀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가기.png 지구온난화에 대해 자세히 보기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1.0 1.1 1.2 이상 고온〉, 《나무위키》
  2. 이상고온〉, 《네이버 국어사전》
  3. 맹소영 날씨칼럼니스트, 〈맹소영의 날씨 이야기 - 이상난동(異常暖冬)〉, 《전북일보》, 2020-01-28
  4. 이상 고온/사례〉, 《나무위키》
  5. 이상 고온/사례/대한민국/21세기〉,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이상난동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