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분산 클라우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자료)
53번째 줄: 53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김도현, 김윤곤,〈[http://networking.khu.ac.kr/layouts/net/publications/data/KSC2017/%EB%B6%84%EC%82%B0%20%ED%81%B4%EB%9D%BC%EC%9A%B0%EB%93%9C%20%ED%99%98%EA%B2%BD%EC%97%90%EC%84%9C%20%EC%97%90%EC%A7%80%20%ED%81%B4%EB%9D%BC%EC%9A%B0%EB%93%9C%20%ED%99%9C%EC%9A%A9%EC%9D%84%20%EC%9C%84%ED%95%9C%20%EC%84%9C%EB%B9%84%EC%8A%A4%20%EC%9D%B8%EC%A7%80%20%EB%9D%BC%EC%9A%B0%ED%8C%85%20%EB%AA%A8%EB%93%88%20%EA%B5%AC%ED%98%84.pdf 분산 클라우드 환경에서
+
* 김도현, 김윤곤,〈[http://networking.khu.ac.kr/layouts/net/publications/data/KSC2017/%EB%B6%84%EC%82%B0%20%ED%81%B4%EB%9D%BC%EC%9A%B0%EB%93%9C%20%ED%99%98%EA%B2%BD%EC%97%90%EC%84%9C%20%EC%97%90%EC%A7%80%20%ED%81%B4%EB%9D%BC%EC%9A%B0%EB%93%9C%20%ED%99%9C%EC%9A%A9%EC%9D%84%20%EC%9C%84%ED%95%9C%20%EC%84%9C%EB%B9%84%EC%8A%A4%20%EC%9D%B8%EC%A7%80%20%EB%9D%BC%EC%9A%B0%ED%8C%85%20%EB%AA%A8%EB%93%88%20%EA%B5%AC%ED%98%84.pdf 분산 클라우드 환경에서에지 클라우드 활용을 위한 서비스 인지 라우팅 모듈 구현]〉, 《pdf》
에지 클라우드 활용을 위한 서비스 인지 라우팅 모듈 구현]〉, 《pdf》
 
 
* 노원구토쟁이,〈[https://blog.naver.com/golbangsaram/221229838236 시스템구조 분산클라우드]〉, 《pdf》,2018-03-15
 
* 노원구토쟁이,〈[https://blog.naver.com/golbangsaram/221229838236 시스템구조 분산클라우드]〉, 《pdf》,2018-03-1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9년 8월 7일 (수) 10:03 판

분산 클라우드(distributed cloud) 또는 분산 클라우드 서비스(distributed cloud service)는 기존의 중앙집중형 클라우드 서비스와 달리,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 가정, 회사 등에서 미사용 중인 컴퓨터 자원을 활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탈중앙화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을 추구하는 이 시도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작동하며, 암호화폐를 발행한다.

개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네트워크 서비스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생겨남에 따라 실시 간, 저 지연 등의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점차 중앙 집중형 방식에서 분산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분산화 방식의 경우, 사용자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클라우드 환경을 Core 클라우드, 사용자에 보다 가까이 위치해 있는 클라우드를 에지 클라우드로 구분할 수 있다. 탈중앙화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을 추구하는 이 시도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작동하며, 암호화폐를 발행한다. 분산 클라우드는 탈중앙화된 분산형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decentralized distributed cloud network system)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간략히 디클라우드(dcloud)라고 할 수 있다.

특징

활용

종류

분산형 클라우드 서비스로는 골렘, 디피니티, 메이드세이프코인, 비트토렌트토큰, 소늠, 스토리지코인, 시아코인, 유토큰, 파일코인, 홀로체인 등이 있다.

골렘 로고.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골렘
디피니티 로고.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디피니티
메이드세이프코인 로고.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메이드세이프
코인
비트토렌트 로고.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비트토렌트
토큰
Sonm-logo-png.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소늠
스토리지코인 로고.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스토리지코인
시아코인 로고.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시아코인
앵커 로고.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앵커
유토큰 로고.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유토큰
파일코인 로고.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파일코인
홀로체인 로고.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홀로체인
  • 골렘(Golem) :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 자원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빌려줌으로써, 탈중앙화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암호화폐이다.
  • 디피니티(Dfinity) : 전 세계 여러 컴퓨터를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암호화폐이다.
  • 소늠(SONM) : 블록체인 기반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암호화폐이다.
  • 메이드세이프코인(MaidSafe Coin) : 개인이 가진 중요한 문서 파일을 잘게 조각내어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 비트토렌트토큰(BitTorrent Token) : 인터넷 파일 공유 서비스인 비트토렌트(BitTorrent)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 스토리지코인(Storjcoin) :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남는 하드디스크 공간을 활용해 파일을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는 분산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 시아코인(Siacoin) :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 앵커(Ankr) : 플라즈마(plasma) 기술을 바탕으로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구현할 수 있는 탈중앙화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이다.
  • 유토큰(You Token) : 가정용 소형 데이터 저장장치인 유비박스(Ubbey Box)를 연결하여 만든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 파일코인(Filecoin) : IPFS 기술을 사용하여 탈중앙화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암호화폐이다.
  • 홀로체인(Holochain) : 에이전트(agent)와 분산해시테이블(DHT)을 이용한 분산원장 기술이다. 홀로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인 홀로코인(Holocoin)을 발행한다.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분산 클라우드 문서는 암호화폐 분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