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이전블록해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이전블록해시'''<!--이전 블록 해시, 이전블록 해시, 이전 블록해시-->(previous block hash)는 이전 블록의 주솟값을 알려주는 [[해시]]이다. [[블록헤더]]에 속한다. 이전블록해시 값으로 블록간의 연결이 이뤄진다.
 
'''이전블록해시'''<!--이전 블록 해시, 이전블록 해시, 이전 블록해시-->(previous block hash)는 이전 블록의 주솟값을 알려주는 [[해시]]이다. [[블록헤더]]에 속한다. 이전블록해시 값으로 블록간의 연결이 이뤄진다.
 +
 +
== 개요 ==
 +
체인(Chain)은 블록들이 [[이전 블록 해시]]값을 이용하여 서로 연관되는 형태로 블록들을 연결시킨다. 이로써 데이터 변조도 방지된다. [[블록체인]]에서 '블록'은 '헤드(Head)'와 '바디(Body)'로 나뉜다. [[블록 바디]]엔 여러 거래 기록이 [[머클트리]](Merkle Tree)로 불리는 구조로 구성된 후 저장된다. 이렇게 하면 블록 바디 전체를 대표하는 암호 해시가 만들어 진다. [[블록 헤드]]엔 블록 바디 암호 해시 등 여러 가지 정보가 기록된다. 블록 헤드 또한 하나의 문서와 같은 만큼 암호 해시를 구할 수 있다. 이 블록 헤드 암호 해시는 다음에 만들어지는 블록에 전달되는데, 다음 블록 입장에서 보면 이는 앞서 주의 깊게 봐둔 이전 블록 헤드 암호 해시다. 즉, 다음 블록 입장에서 보면 내 블록 헤드의 암호 해시가 다음 블록 헤드에 저장되는 이전 블록 헤드 암호 해시가 되는 것이다. 블록체인이란 명칭은 이처럼 "이전 블록 헤드 암호 해시가 다음 블록에 저장되는 행태의 반복"이란 뜻에서 붙여졌다.<ref>박용범, 〈[https://news.samsung.com/kr/author/park-yongbeom 블록체인 기술의 핵(核), ‘암호 해시’ 파헤치기]〉, 《삼성뉴스룸》, 2018-08-09</ref> 각 블록이 이전 블록의 해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블록이 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
  
 
{{각주}}
 
{{각주}}

2019년 8월 7일 (수) 09:33 판

이전블록해시(previous block hash)는 이전 블록의 주솟값을 알려주는 해시이다. 블록헤더에 속한다. 이전블록해시 값으로 블록간의 연결이 이뤄진다.

개요

체인(Chain)은 블록들이 이전 블록 해시값을 이용하여 서로 연관되는 형태로 블록들을 연결시킨다. 이로써 데이터 변조도 방지된다. 블록체인에서 '블록'은 '헤드(Head)'와 '바디(Body)'로 나뉜다. 블록 바디엔 여러 거래 기록이 머클트리(Merkle Tree)로 불리는 구조로 구성된 후 저장된다. 이렇게 하면 블록 바디 전체를 대표하는 암호 해시가 만들어 진다. 블록 헤드엔 블록 바디 암호 해시 등 여러 가지 정보가 기록된다. 블록 헤드 또한 하나의 문서와 같은 만큼 암호 해시를 구할 수 있다. 이 블록 헤드 암호 해시는 다음에 만들어지는 블록에 전달되는데, 다음 블록 입장에서 보면 이는 앞서 주의 깊게 봐둔 이전 블록 헤드 암호 해시다. 즉, 다음 블록 입장에서 보면 내 블록 헤드의 암호 해시가 다음 블록 헤드에 저장되는 이전 블록 헤드 암호 해시가 되는 것이다. 블록체인이란 명칭은 이처럼 "이전 블록 헤드 암호 해시가 다음 블록에 저장되는 행태의 반복"이란 뜻에서 붙여졌다.[1] 각 블록이 이전 블록의 해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블록이 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각주

  1. 박용범, 〈블록체인 기술의 핵(核), ‘암호 해시’ 파헤치기〉, 《삼성뉴스룸》, 2018-08-09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이전블록해시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