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심상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심상원'''은 '''[[㈜디지털존]]'''(Digital Zone)의 각자대표이다. ㈜디지털존은 전자문서사업과 영상사업, 전략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심상원'''은 '''[[㈜디지털존]]'''(Digital Zone)의 각자대표이다. ㈜디지털존은 전자문서사업과 영상사업, 전략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
 +
== 특징 ==
 +
=== ㈜디지털존의 배경 ===
 +
㈜디지털존 심상원 대표는 전자회사 직원이었다. 하지만 1997년 외환위기 때 모든 정열을 쏟았던 회사가 무너지면서 개인사업을 결심하게 된다. 심 대표는 “진짜 모든 것을 다 바쳤던 회사가 한순간에 무너지는 것을 보면서 새롭게 직장 생활을 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후 심 대표는 서울 용산에서 전자기기 유통사업을 시작했다. 조립컴퓨터도 팔고 전 직장에서 팔았던 전자기기 애프터서비스(AS)도 하면서 유통사업에 자신이 생겼다. 7년여간 유통회사를 운영하면서 심 대표는 매출 40억원대의 회사로 키웠다. 하지만 한계가 있었다. 심 대표는 “유통업은 경쟁이 치열하고 큰 이익을 남길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심 대표는 결국 서울 구로 디지털단지에 제조업을 기반으로 하는 회사를 세웠다. 전 직장 연구소 직원과 마케팅 담당직원을 뽑아 본격적인 제조업에 뛰어들었다. 심 대표는 “좋은 아이템과 기술력이 있었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었다”고 말했다. 결국 심 대표의 자신감처럼 디지털존은 승승장구했다. 현재는 본사에만 37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심상원은 회사가 투명하지 않고 사장이 투명하지 않으면 직원들이 마음 편하게 근무할 수 없다는 철학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심 대표는 분기마다 디지털존의 모든 정보를 직원들에게 공개한다. 직원들 월급은 얼마고 사장의 접대비 지출은 얼마인지 모든 직원이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심상원은 "디지털존을 세우기 전에 전자회사를 다녔는데 직원들이 회사를 믿고 다닐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느꼈다”고 말한다. 심 대표는 “회사 정보를 직원들과 공유하고 나니 직원들의 회사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기업의 주인은 모든 직원이기 때문에 직원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디지털존을 만들겠다고 했다.<ref>파이낸셜뉴스, 〈[https://m.fnnews.com/news/200812071614237555 심상원 디지털존 대표]〉, 《파이낸셜 뉴스》, 2008-12-07</ref>
  
 
{{각주}}
 
{{각주}}
  
 
== 참고 자료==
 
== 참고 자료==
 
+
* 파이낸셜뉴스, 〈[https://m.fnnews.com/news/200812071614237555 심상원 디지털존 대표]〉, 《파이낸셜 뉴스》, 2008-12-07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블록체인 관계자|토막글}}
 
{{블록체인 관계자|토막글}}

2020년 3월 20일 (금) 13:57 판

심상원㈜디지털존(Digital Zone)의 각자대표이다. ㈜디지털존은 전자문서사업과 영상사업, 전략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특징

㈜디지털존의 배경

㈜디지털존 심상원 대표는 전자회사 직원이었다. 하지만 1997년 외환위기 때 모든 정열을 쏟았던 회사가 무너지면서 개인사업을 결심하게 된다. 심 대표는 “진짜 모든 것을 다 바쳤던 회사가 한순간에 무너지는 것을 보면서 새롭게 직장 생활을 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후 심 대표는 서울 용산에서 전자기기 유통사업을 시작했다. 조립컴퓨터도 팔고 전 직장에서 팔았던 전자기기 애프터서비스(AS)도 하면서 유통사업에 자신이 생겼다. 7년여간 유통회사를 운영하면서 심 대표는 매출 40억원대의 회사로 키웠다. 하지만 한계가 있었다. 심 대표는 “유통업은 경쟁이 치열하고 큰 이익을 남길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심 대표는 결국 서울 구로 디지털단지에 제조업을 기반으로 하는 회사를 세웠다. 전 직장 연구소 직원과 마케팅 담당직원을 뽑아 본격적인 제조업에 뛰어들었다. 심 대표는 “좋은 아이템과 기술력이 있었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었다”고 말했다. 결국 심 대표의 자신감처럼 디지털존은 승승장구했다. 현재는 본사에만 37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심상원은 회사가 투명하지 않고 사장이 투명하지 않으면 직원들이 마음 편하게 근무할 수 없다는 철학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심 대표는 분기마다 디지털존의 모든 정보를 직원들에게 공개한다. 직원들 월급은 얼마고 사장의 접대비 지출은 얼마인지 모든 직원이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심상원은 "디지털존을 세우기 전에 전자회사를 다녔는데 직원들이 회사를 믿고 다닐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느꼈다”고 말한다. 심 대표는 “회사 정보를 직원들과 공유하고 나니 직원들의 회사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기업의 주인은 모든 직원이기 때문에 직원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디지털존을 만들겠다고 했다.[1]

각주

  1. 파이낸셜뉴스, 〈심상원 디지털존 대표〉, 《파이낸셜 뉴스》, 2008-12-07

참고 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심상원 문서는 블록체인 관계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