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층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층운

층운(層雲, Stratus)은 마치 을 쌓은 듯한 모양의 구름으로서, 하층운의 하나다. 층운은 지평선과 나란히 층상(層狀)을 이루며, 높이 0~2km에 분포한다. 안개처럼 땅 위에 가장 가까이 층을 이루는데, 가 올 때의 산간지대나 맑은 날 이른 아침의 평야지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개요[편집]

층운은 하층운으로, 층구름 또는 안개와 비슷하여 안개구름이라고도 한다.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 근처 또는 낮은 고도에서 응결하여, 무정형의 흐릿한 형태의 층으로 형성되는 구름이다. 짐작하듯이 안개와 딱 잘라 나눌 만한 차이점은 없다. 그냥 높이 떠 있는 안개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층 모양의 구름인데 구름의 높이는 그다지 높지 않으며, 이 층운 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일 때도 있다. 층운으로부터는 가끔 안개비가 내리기도 하는데 이보다 강한 비는 기대할 수 없다. 지형성(地形性)인 것이 많고 국지적으로 발생하기 쉽다. 오랫동안 지속되는 예는 적고, 조각조각 찢기어 편층운이 되어 사라지며 맑은 날씨를 이룰 때가 많다.

층운의 어원은 라틴어 접두어 'strato-'에서 왔으며, 이는 층(層)이라는 뜻을 가진다. 층운은 보통 지표면에서 0~2km 정도의 고도에 나타나는 작은 물방울의 집합체이다. 안개가 공중으로 떠오른 것 같은 낮은 구름으로 여러 조각으로 나뉜 구름 조각이 되는 수도 있어, 구름 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일 때도 있다. 구름이 아주 엷은 때는 해무리나 달무리가 나타나기도 하며, 강수가 있을 때에는 이슬비가 되어 내리는 것이 보통이다. 지형의 영향으로 발생하므로 국지적으로 나타나며, 오랫동안 남아 있는 경우는 드물고 조각조각 흩어져 사라지며, 맑은 날씨를 이룰 때가 많다.

난층운, 층적운과 공존하고 있는 층운은 서로를 구별하는 일이 다소 어려우나 층운은 낮은 고도에서 균일한 파도모양을 갖는 반면 층적운은 더욱 선명한 모양을 갖는 차이를 가진다. 난층운은 층운과는 달리 보통 중층운하층운이 있는 상태에서 형성되며 구름이 좀 더 밀하고 습하며 난층운에 동반되는 바람은 층운에서 보다 더 강한 편이다. 층운을 관측할 경우 층운이 해를 통과할 때 층운의 윤곽선은 뚜렷하게 보이며, 광환 현상을 동반한 경우도 있다. 태양원의 중심 부근 인접지역에서 층운은 매우 하얗게 보인다. 태양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구름이 충분히 두꺼우면 약하고 균일한 휘도를 보인다. 또한 층운은 본래의 구름에서 파생된 토막구름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층운은 강수를 동반하지 않으나 이슬비, 빙정, 쌀알눈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충분한 수증기가 존재하고 상승운동이 활발한 경우에는 구름입자가 성장하여 강수입자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강수를 동반하는 층운에서는 약한 이슬비가 내리며,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약한 눈으로 내리게 된다. 빙정으로 이루어진 층운이 존재할 경우(하층에 있는 층운뿐 아니라 높이 떠 있는 고층운이나 권층운을 포함)에는 대기광학현상, 특히 다양한 무리 현상을 자주 발생시킨다. 이는 빙정입자를 통과하는 가시광선이 파장에 따라 다른 굴절계수를 가지기 때문에 나타나게 된다.[1][2][3]

생성과 특징[편집]

대류권 구름의 종류

절대 다수가 지형적이고 국지적인 원인이며, 수명이 상당히 짧다. 보통은 지표의 수증기가 점차 증발하면서 낮은 고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시간이 지나면 그 형태를 잃고 점차 파란 하늘이 드러나 보이면서 편운(조각구름)이 되어 사라진다.

일단 이 구름이 생성되면 하늘은 뿌연 우윳빛 안개와 같은 구름의 막에 의해 가려지고, 특히 가시거리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비가 내릴 가능성은 낮지만, 가끔 비가 내리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사실상 이슬비나 안개비 수준으로, 총 강수량이 1mm 이하에 불과하여 의미있는 기상학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겨울에는 간간이 눈송이가 흩날리는 정도이며, 눈이건 비건 간에 우산 없이도 얼마든지 야외활동이 가능한 수준이다.

산간 지역에서는 안개와도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착륙을 준비하는 항공기에게는 계기착륙장치를 통한 착륙이 요구된다. 층적운도 그렇지만 이 구름도 산꼭대기나 비행기와 같이 높은 곳에서 바라보면 마치 파도치는 바다와 같은 장관을 연출하는데, 이 때문에 "운해(雲海)"라는 표현이 붙기도 한다. 다른 큰 구름의 하부에 함께 나타나기도 하며, 특히 바람에 약하다.[3]

바리에이션[편집]

층운 중에서 특히 안개처럼 보이는 것이 전형적인 것인데, 이를 "Stratus Nebulosus" 라고 부른다. 또한, 층운의 수명이 다할 무렵에 조각조각 갈라지며 발생하는 것은 편층운(Stratus Fractus)이라고 부른다. 그 외에도 하늘을 두껍게 가리는 층운을 "Stratus Opacus", 강수현상을 보이는 층운을 "Stratus praecipitatio" 라고 한다.[3]

구름의 종류[편집]

일반형[편집]

상층운

  • 권운(새털구름, 卷雲, Cirrus, Cirrus fib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높고 푸른 맑은 하늘에 나타나는 새털 같은 구름이다. 어디서나 볼 수 있으며, 사실상 거의 대부분이 빙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원은 cirro- 인데, 그 뜻은 대략 곱슬곱슬한 털 같다는 것으로, 권운의 모양이 새털이나 명주실 모양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그럴싸한 이름이다. 한국어 이름의 권(卷) 역시도 '(둥글게) 말다'라는 의미가 있는데 마치 길게 늘어져 끝이 갈고리처럼 말려 있는 외형상의 특징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새털구름이 있고, 실제로 민간에서도 많이 쓰이는 이름이기도 하다.[4]
  • 권적운(조개구름, 卷積雲, Cirro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높은 하늘에서 희고 작은 비늘 같은 모습으로 찬란하게 피어오르는 구름. 대부분은 빙정(얼음 알갱이), 나머지는 과냉각된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다. 다소 엉뚱하지만 그 이름의 권(卷)은 책 또는 종이를 뜻하는 단어다. 영어에서 cirro- 는 곱슬곱슬한 털 같다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뒷부분의 -cumulus 부분은 쌓여 있다는 뜻을 갖고 있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털쌘구름 또는 조개구름이라고도 한다.[5]
  • 권층운(베일구름, 卷層雲, Cirrostratus, Cirrostratus Nebulos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높은 하늘에서 흰색 내지는 옅은 회색의 빛으로 얇게 덮이는 베일 같은 구름. 주로 빙정, 즉 얼음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어서 어찌 보면 약간 복슬복슬한 털 같은 느낌도 있다. 쉽게 말하면, 높은 하늘에 끼는 안개(층운)라고 보면 된다. 그 이름에서 권(卷)은 보통 책 또는 종이를 뜻하는데 어째서 이런 단어가 붙었는지는 옛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대나무 조각에 글을 썼는데 그 죽편들을 엮어서 책을 만들었고 그 책을 둘둘 말아서 보관했다. 영어에서 stratus는 넓게 퍼진 층을 뜻하며, 이는 권층운의 모습과도 상통한다. 한편 cirro- 접두사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는데, 영어로 직역하면 곱슬곱슬한 것(curl)이라고 한다. 마치 털과도 같은 구름의 질감에서 붙은 이름이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햇무리구름이라고 한다. 태양이 이 구름에 가려지게 되면 햇무리(halo)가 나타나기 때문이다.[6]

중층운

  • 고층운(회색차일구름, 高層雲, Altost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흔히 보는 흐린 날씨의 주범. 하늘 전체를 덮는 옅은 회색의 장막이나 베일 같은 구름. 중간 정도 높이의 하늘에서 발생한다. 때로는 온대저기압의 온난전선의 접근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 순우리말 이름은 높층구름 또는 차일구름. 영어 이름에서 Alto-는 높다는 뜻이며, stratus는 층 형태를 의미한다. 한자어 이름인 "고층운" 과 그대로 통하는 뜻이다.[7]
  • 고적운(양떼구름, 高積雲, Alto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중간 정도의 높은 하늘에서 웅장하게 나타나는, 다수의 구름 덩어리들이 모여 이루어진 구름이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높쌘구름" 이라고 하는데, 한자어 "고적운" 이나 영어 "Altocumulus" 셋 다 모두 "높은 곳에서 수직으로 쌓여 있다" 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외에도 그 모양을 따서 "양떼구름" 이라고도 하고, 영어에서는 고등어의 비늘 같다는 표현을 즐겨 쓴다.[8]

하층운

  • 층운(안개구름, 層雲, St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 근처 또는 낮은 고도에서 응결하여, 무정형의 흐릿한 형태의 층으로 형성되는 구름. 짐작하듯이 안개와 딱 잘라 나눌 만한 차이점은 없다. 그냥 높이 떠 있는 안개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층구름 또는 안개구름이라고도 한다. 영어 이름인 Stratus와 마찬가지로, 지표와 수평 방향의 층의 형태로 만들어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간혹 안개구름이라고 하기도 한다.[3]
  • 층적운(두루마리구름, 層積雲, Strato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적운과 함께 하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름이다. 다양한 이유로 인해 형성된다. 외견상 낮은 고도에서 회색빛의 두터운 구름이 담요처럼 둘둘 말리면서 헝클어진 모양을 하고 있다. "층쌘구름" 이라는 이름도 있는데,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두루마리구름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층 형태이며 이와 동시에 쌓인 형태를 가졌다는 뜻을 지녔다.[9]
  • 난층운(비구름, 亂層雲, Nimbost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쉽게 말해서 흔한 비구름이다. 단, 소나기를 내리는 그런 구름이 아니라는 점에서 웅대적운과 적란운과는 구별된다. 외견상 하늘을 가득 채운 짙은 회색빛 먹구름의 형태를 하고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비층구름" 이라고도 한다. 영어에서 "Nimbo-" 역시 비를 뿌리는 구름이라는 뜻. 당연히 대한민국에서는 적란운만큼이나 여름에 자주 볼 수 있다.[10]

수직형

  • 적운(뭉게구름, 積雲, 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이자, 일상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구름이다. 수증기가 상승기류에 의해 솟구치면서 수직으로 만들어지는 구름.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쌘구름이라고 한다. 물론 이 이름의 뜻은 "쌓여 있는 구름"이라는 뜻이다. 한자어 이름이나 영어 이름이나 다 똑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그냥 뭉게구름이라고 한다. 수증기와 웬만큼 강한 상승기류가 있는 곳이라면 전 세계 어디서든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실제로 매우 흔한 구름이다. 넓은 평원이나 산간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바다 위에서도 볼 수 있다. 온대저기압의 한랭전선의 전선면에서 형성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적란운의 전조이다.[11]
  • 적란운(소나기구름, 積亂雲, Cumulonimbus) : 적란운은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이다. 적란운은 권운의 높이까지 치솟는 크기가 엄청나게 큰 구름이다.[12]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층운〉, 《위키백과》
  2. 층운〉, 《두산백과》
  3. 3.0 3.1 3.2 3.3 층운〉, 《나무위키》
  4. 권운〉, 《나무위키》
  5. 권적운〉, 《나무위키》
  6. 권층운〉, 《나무위키》
  7. 고층운〉, 《나무위키》
  8. 고적운〉, 《나무위키》
  9. 층적운〉, 《나무위키》
  10. 난층운〉, 《나무위키》
  11. 적운(구름)〉, 《나무위키》
  12. 적란운〉,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층운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