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스마트기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종류)
6번째 줄: 6번째 줄:
 
* '''[[스마트밴드]]'''(smart band) : 걸음 수, 심장박동, 수면 등을 체크하기 위해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 기기이다. [[액티비티 트래커]](activity tracker)라고도 부른다.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의 일종이다. 가속도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걸음 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이키]](Nike), [[핏빗]](Fitbit), 삼성 [[기어핏]](Gear Fit), 화웨이 [[토크밴드]], 샤오미 [[미밴드]] 등의 제품이 있다.
 
* '''[[스마트밴드]]'''(smart band) : 걸음 수, 심장박동, 수면 등을 체크하기 위해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 기기이다. [[액티비티 트래커]](activity tracker)라고도 부른다.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의 일종이다. 가속도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걸음 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이키]](Nike), [[핏빗]](Fitbit), 삼성 [[기어핏]](Gear Fit), 화웨이 [[토크밴드]], 샤오미 [[미밴드]] 등의 제품이 있다.
 
* '''[[스마트체중계]]'''(smart scale) : 사람의 몸무게를 측정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저장하고 스마트폰과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체중계를 말한다. 중국 [[윈마이]](雲麥, 운맥, Yunmai)의 스마트 체중계, [[샤오미]](Xiaomi)의 [[미 스마트 스케일]](Mi Smart Scale) 등이 있다.
 
* '''[[스마트체중계]]'''(smart scale) : 사람의 몸무게를 측정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저장하고 스마트폰과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체중계를 말한다. 중국 [[윈마이]](雲麥, 운맥, Yunmai)의 스마트 체중계, [[샤오미]](Xiaomi)의 [[미 스마트 스케일]](Mi Smart Scale) 등이 있다.
* '''[[스마트 카드]]'''(smart card) : 기존의 [[신용카드]]에 소형 [[IC]] 칩을 부착한 전자식 카드를 말한다. IC 칩 안에는 소형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운영체제]] 및 [[저장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
* '''[[스마트카드]]'''(smart card) : 기존의 [[신용카드]]에 소형 [[IC]] 칩을 부착한 전자식 카드를 말한다. IC 칩 안에는 소형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운영체제]] 및 [[저장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 '''[[스마트안경]]'''(smart glasses) : 안경처럼 눈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이다. 눈에 보이는 모든 장면을 촬영 또는 녹화할 수 있으며, 안경 화면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증강현실]](AR) 기기이다. 스마트 글래스라고도 한다. 구글 글래스(Google Glas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홀로렌즈]](HoloLens), [[소니]] 스마트 글래스(SONY Smart Glass), 삼성 [[기어 블링크]](Gear Blink) 등이 있다.
 
* '''[[스마트안경]]'''(smart glasses) : 안경처럼 눈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이다. 눈에 보이는 모든 장면을 촬영 또는 녹화할 수 있으며, 안경 화면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증강현실]](AR) 기기이다. 스마트 글래스라고도 한다. 구글 글래스(Google Glas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홀로렌즈]](HoloLens), [[소니]] 스마트 글래스(SONY Smart Glass), 삼성 [[기어 블링크]](Gear Blink) 등이 있다.
 
* '''[[스마트 콘택트렌즈]]'''(smart contact lens) : 눈에 삽입하는 [[콘택트 렌즈]]에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건강상태 체크, 정보제공 등의 기능을 구현한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이다. 스마트 글래스와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직접 눈에 삽입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스마트 콘택트 렌즈를 이용해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을 구현할 수 있다. [[삼성]], [[소니]] 등이 연구 개발 중이다.
 
* '''[[스마트 콘택트렌즈]]'''(smart contact lens) : 눈에 삽입하는 [[콘택트 렌즈]]에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건강상태 체크, 정보제공 등의 기능을 구현한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이다. 스마트 글래스와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직접 눈에 삽입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스마트 콘택트 렌즈를 이용해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을 구현할 수 있다. [[삼성]], [[소니]] 등이 연구 개발 중이다.

2019년 7월 27일 (토) 23:49 판

스마트 기기(smart device)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자율적 또는 상호의존적으로 작동하는 전자기기이다. 스마트 디바이스, 스마트 장치, 스마트 장비라고도 한다. 사물인터넷(IoT) 기능이 적용된다. 스마트 기기 중에서 이동 중에 사용하는 소형 컴퓨터 기기를 모바일기기(mobile device)라고 한다.

종류

활용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농장, 스마트 공장,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도시 등을 구현할 수 있다.

  • 스마트홈(smart home) : 스마트폰에 설치된 을 이용해 가정용 IP 카메라,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보일러, 조명, 도어락 등 다양한 기기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이다. 삼성전자㈜스마트싱스(SmartThings), LG전자㈜스마트씽큐(Smart ThinQ) 등의 서비스가 있다.
  • 스마트빌딩(smart building) : 컴퓨터, CCTV, 네트워크 장비 등을 사용하여 건물의 냉난방, 조명, 전력, 네트워크, 보안경비, 화재경보 등을 자동화한 건물을 말한다. 인텔리전트 빌딩(intelligent building) 또는 첨단정보 빌딩이라고도 한다.
  • 스마트농장(smart farm) :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해 비닐하우스 등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습도, 햇볕량, 토양 등을 측정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장치를 구동하여 최적의 상태를 만들어 줌으로써 농업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농장을 말한다. 스마트 팜이라고도 한다.
  •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 :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해 제품개발, 공급망관리, 자원관리 등 중요한 의사 결정을 스스로 내릴 수 있는 공장을 말한다. 스마트 팩토리라고도 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개념이다.
  •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 전기의 생산, 송전, 소비의 전 과정에 걸쳐 전력회사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불필요한 전기 사용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이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사용해 지능형 수요관리, 신재생 에너지 연계, 전기자동차 충전 등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 스마트시티(smart city) : 정보통신기술(ICT)과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하여 도로, 건물, 교통, 학교, 병원, 발전소, 상하수도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시를 말한다. 스마트 시티 또는 유시티(U-City)라고도 한다.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스마트기기 문서는 모바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