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백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백금'''(白金, Platinum)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Pt''', 원자 번호는 78이다. '''플래티나'''(platina)라고도 한다. 무겁고, 가단성과 연성이 있는...)
(차이 없음)

2021년 7월 8일 (목) 11:06 판

백금(白金, Platinum)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Pt, 원자 번호는 78이다. 플래티나(platina)라고도 한다. 무겁고, 가단성과 연성이 있는 귀금속으로, 전이 금속에 속한다. 니켈 광석이나 구리 광석, 또는 자연 금속 상태로 산출된다. 또한 백금은 훌륭한 촉매이다. 장신구나 실험 장비, 전기 콘센트, 의료 기기, 자동차 배출 가스 제어 장치 등에 사용된다. 백금은 가치가 아주 높은 금속이다. 내부식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클라크수 0.0000005(5×10-7)(제74위)이다.

백금은 (Au)과는 전혀 다르며 금에 합금을 한 화이트골드와는 달리 천연적으로 하얀 색깔을 띤 희귀한 금속이다. 백금의 이름은 '작은 은'을 뜻하는 스페인어 플라티나(platina)에서 유래됐다. 스페인의 군인이자 천문학자인 안토니오 데 울로아가 1748년 그의 저서 <남미의 서해안 탐험기>에서 백금을 '핀토의 작은 은(Platina del Pinto)'이라고 명명했다. 당시 유럽인들은 백금을 녹일 수 없어서 '미지의 금속'이라고 불렀다. 백금은 융점(섭씨 1768도)이 상당히 높아 19세기에 들어서야 비로소 용해시켜 다룰 수 있었다.

백금은 '귀금속의 다이아몬드'라고도 불릴 정도로 고급 보석으로 사용된다. 지구상에서 백금이 발견되는 곳은 아주 적으며 금보다 35배나 더 희귀하기 때문이다. 백금은 이처럼 금과 같은 귀금속으로 분류되지만 대부분 산업용으로 쓰인다. 연간 생산량 중 60%가 산업용으로 쓰이기 때문에 '실물경제의 바로미터'라고 불린다.

백금을 가장 많이 쓰는 곳은 자동차 회사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촉매제의 원자재로 사용된다. 특히 백금은 에서 수소를 끌어내는 전기분해 과정과 연료전지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료전지는 수소 등을 투입해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만드는 장치인데 이를 만들려면 백금이 꼭 필요하다. 게다가 수소를 얻기 위해 물을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도 백금이 사용된다. 이렇게 주로 백금을 수소 산화 반응용 음극 촉매로 사용하는 기존 수소연료전지는 희소성과 높은 가격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 내 물 범람, 반응 기체 공급 이상 등이 발생해 촉매의 안정성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그리하여 이리듐-루테늄 합금 비율을 최적화하여 수소 산화 반응과 산소 발생 반응에서 모두 우수한 촉매를 개발해 연료전지 음극에서 백금 촉매를 대체하는 연구가 국내에서 이루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2020년 11월 백금 가격은 14%나 올라 트로이온스당(트로이온스는 31g) 964.90달러를 기록했다.[1] [2]

각주

  1. 이장훈 국제문제 애널리스트, 〈백금과 구리 전성시대 도래〉, 《매거진한경》, 2020-12-23
  2. 김지완 기자, 〈수소차 배터리 성능 향상시키는 합금촉매 개발〉, 《뉴스핌》, 2020-07-22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백금 문서는 배터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