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볼린저밴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같이 보기)
1번째 줄: 1번째 줄:
 
'''볼린저밴드'''<!--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란 [[주식]]이나 [[암호화폐]] 등 투자자산의 가격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표준편차 범위 안에 드는 밴드를 설정한 [[그래프]]를 말한다. 간략히 '''볼밴'''이라고도 부른다.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하고, 2011년 상표권을 취득했다.
 
'''볼린저밴드'''<!--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란 [[주식]]이나 [[암호화폐]] 등 투자자산의 가격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표준편차 범위 안에 드는 밴드를 설정한 [[그래프]]를 말한다. 간략히 '''볼밴'''이라고도 부른다.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하고, 2011년 상표권을 취득했다.
  
일봉의 경우 대체로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2로 설정한다. 이 경우 약 95% 정도의 [[캔들]]이 이 밴드 안에서 움직이게 된다. 볼린저밴드의 상방을 이탈한 경우 과매수(overbought) 상태라서 가격 하락이 예상되므로 매도하고, 볼린저밴드의 하방을 이탈한 경우 과매도(oversold) 상태라서 가격 상승이 예상되므로 매수한다. 볼린저밴드는 가격 변동 추세에 대한 보조지표로서 항상 맞는 것은 아니므로, [[상대강도지수]](RSI) 등 다른 보조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판단해야 한다.
+
일본의 경우 대체로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2로 설정한다. 이 경우 약 95% 정도의 [[캔들]]이 이 밴드 안에서 움직이게 된다. 볼린저밴드의 상방을 이탈한 경우 과매수(overbought) 상태라서 가격 하락이 예상되므로 매도하고, 볼린저밴드의 하방을 이탈한 경우 과매도(oversold) 상태라서 가격 상승이 예상되므로 매수한다. 볼린저밴드는 가격 변동 추세에 대한 보조지표로서 항상 맞는 것은 아니므로, [[상대강도지수]](RSI) 등 다른 보조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판단해야 한다.
 +
 
 +
== 개요 ==
 +
지표 중 볼린저밴드는 시장 전체와 종목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추세지표이다. 특히 선물의 기술적 분석에서 추세분석의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볼린저밴드는 1980년,  볼린저밴드는 증권분석가인 페리카우프맨들이 처음 소개한 후 금융 분석가이자 트레이더인 존 볼린저가 발전시킨 개념이다. 볼린저밴드는 이동편균을 이용하는 가격대 분석이란 측면에서 이동평균 채널과 유사하지만 가격 변동성(price volatility)분석과 추세분석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점에서는 이동평균 채널보다 보다 더 발전된 개념이다. 밴드가 이동평균선이 일정간격이나 비율로 결정되는 반면 볼린저밴드는 가격변동성,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의 배수로 결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
이러한 볼린저밴드는 기술적 분석(TA)을 위한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는 시장의 변동성이 높고 낮음 및 과매수 또는 과매도 여부를 나타낸다. BB 지표의 주요 기능은 가격이 평균 값 주변으로 분산되는 방식을 강조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인디케이터는 상위 대역, 하위 대역 및 중간 이동 평균선(중간 대역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고, 두 가지 측면 밴드는 변동성이 높을 때 팽창하고(중간 라인에서 멀어짐) 변동성이 낮을 때 수축(중간 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시장 가격 이동에 반응한다. 표준 볼린저밴드 공식은 중간 선을 20일 '단순이동평균'(SMA)으로 설정하고, 상위 및 하위 대역은 단순이동평균과 관련하여 시장 변동성(표준편차)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표준 BB 설정은 20일의 기간을 확인하고 중간 및 아래쪽 밴드를 가운데 선에서 2 표준 편차(x2)으로 설정한다. 이것은 가격의 적어도 85%가 두 밴드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지만 서로 다른 필요와 거래 전략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
== 특징 ==
 +
=== 볼린저밴드 성질 ===
 +
=== 볼린저밴드 공식 ===
 +
=== 볼린저밴드 활용 기법 ===
 +
 
 +
{{각주}}
 +
 
 +
== 참고자료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7번째 줄: 20번째 줄:
 
* [[그래프]]
 
* [[그래프]]
 
* [[캔들]]
 
* [[캔들]]
* [[상대강도지수]](RSI)
+
* [[상대강도지수]]
 
* [[존 볼린저]]
 
* [[존 볼린저]]
  
 
{{암호화폐 거래|토막글}}
 
{{암호화폐 거래|토막글}}

2020년 7월 29일 (수) 17:52 판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란 주식이나 암호화폐 등 투자자산의 가격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표준편차 범위 안에 드는 밴드를 설정한 그래프를 말한다. 간략히 볼밴이라고도 부른다.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하고, 2011년 상표권을 취득했다.

일본의 경우 대체로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2로 설정한다. 이 경우 약 95% 정도의 캔들이 이 밴드 안에서 움직이게 된다. 볼린저밴드의 상방을 이탈한 경우 과매수(overbought) 상태라서 가격 하락이 예상되므로 매도하고, 볼린저밴드의 하방을 이탈한 경우 과매도(oversold) 상태라서 가격 상승이 예상되므로 매수한다. 볼린저밴드는 가격 변동 추세에 대한 보조지표로서 항상 맞는 것은 아니므로, 상대강도지수(RSI) 등 다른 보조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판단해야 한다.

개요

지표 중 볼린저밴드는 시장 전체와 종목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추세지표이다. 특히 선물의 기술적 분석에서 추세분석의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볼린저밴드는 1980년, 볼린저밴드는 증권분석가인 페리카우프맨들이 처음 소개한 후 금융 분석가이자 트레이더인 존 볼린저가 발전시킨 개념이다. 볼린저밴드는 이동편균을 이용하는 가격대 분석이란 측면에서 이동평균 채널과 유사하지만 가격 변동성(price volatility)분석과 추세분석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점에서는 이동평균 채널보다 보다 더 발전된 개념이다. 밴드가 이동평균선이 일정간격이나 비율로 결정되는 반면 볼린저밴드는 가격변동성,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의 배수로 결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볼린저밴드는 기술적 분석(TA)을 위한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는 시장의 변동성이 높고 낮음 및 과매수 또는 과매도 여부를 나타낸다. BB 지표의 주요 기능은 가격이 평균 값 주변으로 분산되는 방식을 강조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인디케이터는 상위 대역, 하위 대역 및 중간 이동 평균선(중간 대역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고, 두 가지 측면 밴드는 변동성이 높을 때 팽창하고(중간 라인에서 멀어짐) 변동성이 낮을 때 수축(중간 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시장 가격 이동에 반응한다. 표준 볼린저밴드 공식은 중간 선을 20일 '단순이동평균'(SMA)으로 설정하고, 상위 및 하위 대역은 단순이동평균과 관련하여 시장 변동성(표준편차)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표준 BB 설정은 20일의 기간을 확인하고 중간 및 아래쪽 밴드를 가운데 선에서 2 표준 편차(x2)으로 설정한다. 이것은 가격의 적어도 85%가 두 밴드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지만 서로 다른 필요와 거래 전략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특징

볼린저밴드 성질

볼린저밴드 공식

볼린저밴드 활용 기법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볼린저밴드 문서는 암호화폐 거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