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금속화폐

해시넷
skek151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7월 12일 (금) 16:4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금속화폐(metallic money / coin, 金屬貨幣)는 금속이나 귀금속으로 주조된 화폐를 말하며, 보통 영어로 코인(coin)이라 한다.

개요

금속화폐는 금화·은화·동화·철화 등이 만들어졌다. 고대에서 중세에 걸쳐 금속화폐는 금속 자원의 채굴량에 따라 좌우되는 경향이 있어 광산이 고갈되면 화폐제도 자체가 위협을 받기도 했다. 금속화폐의 부족 현상은 수표·환전어음·지폐 등의 발생에 영향을 주었다. 처음에는 지금(地金 : 제품으로 만들거나 세공하지 않은 황금)을 계량하여 사용했는데, 이를 '칭량화폐'(秤量貨幣 : 중량을 재서 그 교환 가치를 헤아려 쓰던 화폐)라 한다. 이후 이것이 주조화폐(鑄造貨幣)가 되었다. 이처럼 일정한 형상이나 중량을 가진 화폐를 계수화폐(計數貨幣)라 한다. 지중해나 서유럽에서는 주로 금속을 사용했으나,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동(銅)을 주로 활용하였다. 서유럽에서는 영주나 상인의 교역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중국에서는 농민의 지역시장에서의 교환 용도로 쓰였다.

역사

고대

  • 메소포타미아 : 메소포타미아의 은(銀)은 칭량화폐(秤量貨幣)의 하나에 속한다. 메소포타미아는 은(銀)이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아나톨리아 반도의 토로스산맥 등에서 은을 운반해왔다. 기원전 22세기 우르남무 왕의 시대에는 은 1긴(약 8.3g)이 보리 1구루(약 300L)라는 공정비율이 정해졌었다. 아카드에서 바빌로니아 제1왕조 시기에 걸쳐 할이라는 나선형의 칭량화폐가 제작되었는데, 휴대가 가능하고 필요한 만큼 잘라서 지불하는 것이 가능했다. 기원전 18세기의 함무라비 법전에는 이자의 상한으로써 은은 20%, 보리는 33.33%로 규정되었다.
  • 이집트 : 고대 이집트에서는 나일강의 사금이나 푼트 왕국과의 교역을 통해 금(金)을 모아 궁전이나 신전에 저장했다. 금은 국내 거래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칭량화폐로써 무역의 결제로만 사용했다. 본격적으로 주화가 유입된 것은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한 정복으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성립된 이후이다.
  • 인도 : 기원전 7세기경부터 칭량화폐가 사용되어 기원전 5세기에는 타인화폐(打印貨幣)인 은화가 등장했다. 이후 마우리아 왕조에서는 경화가 사용되었는데, 1바나 은화가 16마사카 동화로 교환되었다. 기원전 2세기부터 그리스인에 의해 그리스 양식의 경화가 발행되고 인도의 경화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후 쿠샨 제국의 카니슈카는 로마 아우레우스 금화 양식의 금화를 만들기도 했다.
  • 중국 : 상나라와 주나라 때 조개나 귀갑(龜甲)이 화폐로써 사용되었고, 춘추 시대에는 이를 본뜬 모양의 동패(銅貝), 도전(刀錢), 포화(布貨)가 만들어졌다. 전국 시대에는 주화(鑄貨 : 쇠붙이를 녹여 만든 화폐)가 보급되었고,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한 뒤에는 도량형이 통일되어 동전인 반냥전(半兩錢)을 경화로 사용했다. 진한교체기에는 금화나 동화, 포백(布帛)이 화폐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전한이 건국된 뒤에는 오수전(五銖錢)이 발행되었다. 신나라 때 동이 부족해 화폐경제가 혼란해졌는데, 이를 수습하기 위해 보화제(寶貨制)를 실시했으나 실패하고 곡물의 가격만 급등하였다. 후한 말기에 동탁은 오수전을 동탁소전(董卓小錢)으로 개주(改鑄)했는데 명문(銘文)이나 연마(硏磨)가 되어있지 않은 악화였고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후 오수전이 계속 발행되었지만 동의 부족은 해소되지 않아 동전이 부족해지게 되어 철편(鐵片)이나 종이를 겹치는 등 화폐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당나라가 개원통보(開元通宝)를 발행하기까지 지속되었다.
  • 고대 그리스 :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에는 경화가 급속도로 퍼졌다.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경화는 아나톨리아 반도의 리디아 왕국에서 사용한 호박금으로 이는 그리스에도 영향을 주어 기원전 650년경 아르고스에서 은화가 만들어졌으며, 기원전 550년경에는 리디아 호박금에서 분리된 금화를 바탕으로 타소스섬에서 금화가 만들어졌다. 이 외에도 스파르타나 아르고스에서 철화가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6세기가 되면 경화가 에게해(Aegean Sea) 일대에서 널리 이용하게 되었다. 폴리스들은 각각 상이한 화폐를 발행했기 때문에 환율이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이로 인해 환전상들은 재산을 축적해 나갔으며, 이것을 대부에 활용했는데 이것이 은행의 기원이다. 기원전 5세기, 아테나이를 중심으로 해상무역이 번성하여 드라크마를 비롯한 그리스의 은화가 아케메네스 왕조의 다릭, 키지코스의 호박금과 함께 거래에 사용되었다.
  • 로마 제국

성질

  1. 보조성
  2. 등질성
  3. 분할성
  4. 운반성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금속화폐 문서는 금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