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금속화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특징)
1번째 줄: 1번째 줄:
'''금속화폐'''(metallic money / coin, 金屬貨幣)는 금속이나 귀금속으로 주조된 화폐를 말하며, 보통 영어로 '''코인'''(coin)이라 한다.
+
'''금속화폐'''(metallic money / coin, 金屬貨幣)는 금속이나 귀금속으로 주조된 [[화폐]]를 말하며, 보통 영어로 '''코인'''(coin)이라 한다.
  
 
== 개요 ==
 
== 개요 ==
8번째 줄: 8번째 줄:
 
* 메소포타미아 : 메소포타미아의 은(銀)은 칭량화폐(秤量貨幣)의 하나에 속한다. 메소포타미아는 은(銀)이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아나톨리아 반도의 토로스 산맥 등에서 은을 운반해왔다. 기원전 22세기 우르남무 왕의 시대에는 은 1긴(약 8.3g)이 보리 1구루(약 300L)라는 공정비율이 정해졌었다. 아카드에서 바빌로니아 제1왕조 시기에 걸쳐 할이라는 나선형의 칭량화폐가 제작되었는데, 휴대가 가능하고 필요한만큼 잘라서 지불하는 것이 가능했다. 기원전 18세기의 함무라비 법전에는 이자의 상한으로써 은은 20%, 보리는 33.33%로 규정되었다.
 
* 메소포타미아 : 메소포타미아의 은(銀)은 칭량화폐(秤量貨幣)의 하나에 속한다. 메소포타미아는 은(銀)이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아나톨리아 반도의 토로스 산맥 등에서 은을 운반해왔다. 기원전 22세기 우르남무 왕의 시대에는 은 1긴(약 8.3g)이 보리 1구루(약 300L)라는 공정비율이 정해졌었다. 아카드에서 바빌로니아 제1왕조 시기에 걸쳐 할이라는 나선형의 칭량화폐가 제작되었는데, 휴대가 가능하고 필요한만큼 잘라서 지불하는 것이 가능했다. 기원전 18세기의 함무라비 법전에는 이자의 상한으로써 은은 20%, 보리는 33.33%로 규정되었다.
 
* 이집트 : 고대 이집트에서는 나일강의 사금이나 푼트 왕국과의 교역을 통해 금(金)을 모아 궁전이나 신전에 저장했다. 금은 국내 거래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칭량화폐로써 무역의 결제로만 사용했다. 본격적으로 주화가 유입된 것은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한 정복으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성립된 이후이다.
 
* 이집트 : 고대 이집트에서는 나일강의 사금이나 푼트 왕국과의 교역을 통해 금(金)을 모아 궁전이나 신전에 저장했다. 금은 국내 거래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칭량화폐로써 무역의 결제로만 사용했다. 본격적으로 주화가 유입된 것은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한 정복으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성립된 이후이다.
* 인도 : 기원전 7세기 경부터 칭량화폐가 사용되어 기원전 5세기에는 타인화폐(打印貨幣)인 은화가 등장했다. 이후 마우리아 왕조에서는 경화가 사용되었는데, 1바나 은화가 16마사카 동화로 교환되었다. 기원전 2세기부터 그리스인에 의해 그리스 양식의 경화가 발행되고 인도의  
+
* 인도 : 기원전 7세기 경부터 칭량화폐가 사용되어 기원전 5세기에는 타인화폐(打印貨幣)인 은화가 등장했다. 이후 마우리아 왕조에서는 경화가 사용되었는데, 1바나 은화가 16마사카 동화로 교환되었다. 기원전 2세기부터 그리스인에 의해 그리스 양식의 경화가 발행되고 인도의 경화에 영향을 주게되고, 이후 쿠샨 제국의 카니슈카는 로마 아우레우스 금화 양식의 금화를 만들기도 했다.
 +
* 중국 : 상나라와 주나라 때 조개나 귀갑(龜甲)이 화폐로써 사용되었고, 춘추 시대에는 이를 본딴 모양의 동패(銅貝), 도전(刀錢), 포화(布貨)가 만들어졌다. 전국 시대에는 주화(鑄貨 : 쇠붙이를 녹여 만든 화폐)가 보급되었고
  
 
== 성질 ==
 
== 성질 ==

2019년 7월 12일 (금) 11:54 판

금속화폐(metallic money / coin, 金屬貨幣)는 금속이나 귀금속으로 주조된 화폐를 말하며, 보통 영어로 코인(coin)이라 한다.

개요

금속은 금화·은화·동화·철화 등이 만들어졌다. 고대에서 중세에 걸쳐 금속화폐는 금속자원의 채굴량에 따라 좌우되는 경향이 있어 광산이 고갈되면 화폐제도 자체가 위협을 받기도 했다. 금속화폐의 부족 현상은 수표·환전어음·지폐 등의 발생에 영향을 주었다. 처음에는 지금(地金 : 제품으로 만들거나 세공하지 않은 황금)을 계량하여 사용했는데, 이를 '칭량화폐'(秤量貨幣 : 중량을 재서 그 교환 가치를 헤아려 쓰던 화폐)라 한다. 이후 이것이 주조화폐(鑄造貨幣)가 되었다. 이처럼 일정한 형상이나 중량을 가진 화폐를 계수화폐(計數貨幣)라 한다. 지중해나 서유럽에서는 주로 금속을 사용했으나,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동(銅)을 주로 활용하였다. 서유럽에서는 영주나 상인의 교역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중국에서는 농민의 지역시장에서의 교환용도로 쓰였다.

역사

고대

  • 메소포타미아 : 메소포타미아의 은(銀)은 칭량화폐(秤量貨幣)의 하나에 속한다. 메소포타미아는 은(銀)이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아나톨리아 반도의 토로스 산맥 등에서 은을 운반해왔다. 기원전 22세기 우르남무 왕의 시대에는 은 1긴(약 8.3g)이 보리 1구루(약 300L)라는 공정비율이 정해졌었다. 아카드에서 바빌로니아 제1왕조 시기에 걸쳐 할이라는 나선형의 칭량화폐가 제작되었는데, 휴대가 가능하고 필요한만큼 잘라서 지불하는 것이 가능했다. 기원전 18세기의 함무라비 법전에는 이자의 상한으로써 은은 20%, 보리는 33.33%로 규정되었다.
  • 이집트 : 고대 이집트에서는 나일강의 사금이나 푼트 왕국과의 교역을 통해 금(金)을 모아 궁전이나 신전에 저장했다. 금은 국내 거래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칭량화폐로써 무역의 결제로만 사용했다. 본격적으로 주화가 유입된 것은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한 정복으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성립된 이후이다.
  • 인도 : 기원전 7세기 경부터 칭량화폐가 사용되어 기원전 5세기에는 타인화폐(打印貨幣)인 은화가 등장했다. 이후 마우리아 왕조에서는 경화가 사용되었는데, 1바나 은화가 16마사카 동화로 교환되었다. 기원전 2세기부터 그리스인에 의해 그리스 양식의 경화가 발행되고 인도의 경화에 영향을 주게되고, 이후 쿠샨 제국의 카니슈카는 로마 아우레우스 금화 양식의 금화를 만들기도 했다.
  • 중국 : 상나라와 주나라 때 조개나 귀갑(龜甲)이 화폐로써 사용되었고, 춘추 시대에는 이를 본딴 모양의 동패(銅貝), 도전(刀錢), 포화(布貨)가 만들어졌다. 전국 시대에는 주화(鑄貨 : 쇠붙이를 녹여 만든 화폐)가 보급되었고

성질

  1. 보조성
  2. 등질성
  3. 분할성
  4. 운반성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금속화폐 문서는 금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