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RSS.png|500픽셀|섬네일|'''RSS ''']]
+
[[파일:RSS.png|250픽셀|섬네일|'''RSS ''']]
  
 
'''RSS'''는 Rich Site Summary 또는 Really Simple Syndication이라 불리며, 사이트 내 정보를 외부 채널에 전달하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RSS'''는 Rich Site Summary 또는 Really Simple Syndication이라 불리며, 사이트 내 정보를 외부 채널에 전달하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 개요 ==
 
== 개요 ==
RSS는 웹사이트의 정보를 쉽게 주고받을 수 있게 만들어진 마크업 언어이다.<ref>달새(이영민), 〈[https://medium.com/@birdmoon/rss-%ED%99% 9C%EC% 9A%A9% ED%95% 98% EA%B8% B0-atoz-e7A5C85A1cbd RSS 활용하기 AtoZ]〉, 《미디엄》, 2019-05-17</ref> 과거 넷스케이프(Netscape)의 넷센터에서 기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개발된 포맷으로 뉴스, 블로그 등 업데이트가 빈번한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단순하고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웹을 기반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서비스형 블로그나 워드프레스 같은 설치형 미디어 블로그에도 하나같이 RSS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블로그라는 툴이 단순히 게시판이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가 업데이트되었을 때 누군가에게 배달이 가능한, 하나의 미디어 채널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ref>김종기, 〈[https://blog.hsad.co.kr/2377 정보력이라 쓰고 전투력이라 읽다, RSS를 활용한 정보 구축법]〉, 《HS애드》, 2017-05-12</ref>
+
RSS는 웹사이트의 정보를 쉽게 주고받을 수 있게 만들어진 [[마크업 언어]]이다.<ref>달새(이영민), 〈[https://medium.com/@birdmoon/rss-%ED%99% 9C%EC% 9A%A9% ED%95% 98% EA%B8% B0-atoz-e7A5C85A1cbd RSS 활용하기 AtoZ]〉, 《미디엄》, 2019-05-17</ref> 과거 넷스케이프(Netscape)의 넷센터에서 기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개발된 포맷으로 뉴스, 블로그 등 업데이트가 빈번한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단순하고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웹을 기반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서비스형 블로그나 워드프레스 같은 설치형 미디어 블로그에도 하나같이 RSS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블로그라는 툴이 단순히 게시판이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가 업데이트되었을 때 누군가에게 배달이 가능한, 하나의 미디어 채널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ref>김종기, 〈[https://blog.hsad.co.kr/2377 정보력이라 쓰고 전투력이라 읽다, RSS를 활용한 정보 구축법]〉, 《HS애드》, 2017-05-12</ref>
  
 
== 역사 ==
 
== 역사 ==
17번째 줄: 17번째 줄:
  
 
== 분류 ==
 
== 분류 ==
 +
[[파일:RSSFEEDLY.png|100픽셀|섬네일|'''RSS FEEDLY ''']]
 +
[[파일:RSSINOREADER.jpg|100픽셀|섬네일|'''RSS INOREADER ''']]
 +
[[파일:RSSNEWSIFY.jpg|100픽셀|섬네일|'''RSS NEWSIFY ''']]
 
=== RSS Feed ===
 
=== RSS Feed ===
 
RSS Feed는 정보를 제공하는 주최를 말하며, 정보를 특정 단위별로 구분하여 RSS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산업별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가 있다면 철강, 경영, 발간물 등 구분별로 RSS 형태로 정보를 담은 주소를 제공하는 곳을 말한다. 정보를 제공하는 구분 단위는 정보 제공자 임의 형태로 구성되지만 RSS 형식은 정해진 RSS 규약에 맞춰서 작성되어야 한다.<ref name="블로그">모그니,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ogni&logNo=220675152008&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RSS의 의미와 활용]〉, 《네이버블로그》, 2016-04-07</ref> RSS Feed는 방문자가 RSS Reader 프로그램에 관심 사이트의 RSS Feed 주소를 등록해놓으면, 새 소식이 올라올 때마다 리더 프로그램이 소식을 알려주는 식으로 사용된다. 또한, 각 검색엔진의 수집봇이 내 블로그에 방문했을 때, 어떤 최신 글이 있는지 알려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ref>외할아버지, 〈[https://maternalgrandfather.tistory.com/entry/%ED%8B%B0%EC%8A%A4%ED%86%A0%EB%A6%AC-RSS-%ED%94%BC%EB%93%9C-%EB%9C%BB-%EC%84%A4%EC%A0%95%EB%B0%A9%EB%B2%95 티스토리 RSS : RSS 피드의 뜻과 설정방법]〉, 《티스토리》, 2020-03-14</ref>
 
RSS Feed는 정보를 제공하는 주최를 말하며, 정보를 특정 단위별로 구분하여 RSS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산업별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가 있다면 철강, 경영, 발간물 등 구분별로 RSS 형태로 정보를 담은 주소를 제공하는 곳을 말한다. 정보를 제공하는 구분 단위는 정보 제공자 임의 형태로 구성되지만 RSS 형식은 정해진 RSS 규약에 맞춰서 작성되어야 한다.<ref name="블로그">모그니,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ogni&logNo=220675152008&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RSS의 의미와 활용]〉, 《네이버블로그》, 2016-04-07</ref> RSS Feed는 방문자가 RSS Reader 프로그램에 관심 사이트의 RSS Feed 주소를 등록해놓으면, 새 소식이 올라올 때마다 리더 프로그램이 소식을 알려주는 식으로 사용된다. 또한, 각 검색엔진의 수집봇이 내 블로그에 방문했을 때, 어떤 최신 글이 있는지 알려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ref>외할아버지, 〈[https://maternalgrandfather.tistory.com/entry/%ED%8B%B0%EC%8A%A4%ED%86%A0%EB%A6%AC-RSS-%ED%94%BC%EB%93%9C-%EB%9C%BB-%EC%84%A4%EC%A0%95%EB%B0%A9%EB%B2%95 티스토리 RSS : RSS 피드의 뜻과 설정방법]〉, 《티스토리》, 2020-03-14</ref>
23번째 줄: 26번째 줄:
 
RSS Reader는 RSS Feed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표현해 주는 도구이다. 이러한 Reader를 활용하면, 다양한 사이트의 정보를 해당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최신으로 올라오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RSS Reader는 과거에 위젯 형태로 많이 제공되었지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제공하는 사항들이 많이 있다.<ref name="블로그"/>  
 
RSS Reader는 RSS Feed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표현해 주는 도구이다. 이러한 Reader를 활용하면, 다양한 사이트의 정보를 해당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최신으로 올라오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RSS Reader는 과거에 위젯 형태로 많이 제공되었지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제공하는 사항들이 많이 있다.<ref name="블로그"/>  
  
[[파일:RSSFEEDLY.png|500픽셀|섬네일|'''RSS FEEDLY ''']]
 
 
; FEEDLY
 
; FEEDLY
 
: RSS Reader 종류 중 하나로 깔끔한 UI를 자랑하며, 웹, 모바일 모두 제공이 가능하다. '콘텐츠 추가' 기능을 통해 구독하고 싶은 콘텐츠 소스를 제공하며, 한 달에 $5로 에버노트와 드롭박스 앱과 연동이 가능하다. 구글 리더의 단축키를 그대로 사용 가능하여 편리하지만 무로 RSS 링크 개수에 제한이 있으며 유료라는 단점이 있다.<ref name="RSSReader">과학자 로얄블루, 〈[https://biotech-lab.tistory.com/entry/01-RSS-%EC%A0%95%EC%9D%98-%EB%B0%8F-%EB%A6%AC%EB%8D%94-%EC%A2%85%EB%A5%98 (01)-RSS 정의 및 리더 종류]〉, 《티스토리》, 2019-10-23</ref>
 
: RSS Reader 종류 중 하나로 깔끔한 UI를 자랑하며, 웹, 모바일 모두 제공이 가능하다. '콘텐츠 추가' 기능을 통해 구독하고 싶은 콘텐츠 소스를 제공하며, 한 달에 $5로 에버노트와 드롭박스 앱과 연동이 가능하다. 구글 리더의 단축키를 그대로 사용 가능하여 편리하지만 무로 RSS 링크 개수에 제한이 있으며 유료라는 단점이 있다.<ref name="RSSReader">과학자 로얄블루, 〈[https://biotech-lab.tistory.com/entry/01-RSS-%EC%A0%95%EC%9D%98-%EB%B0%8F-%EB%A6%AC%EB%8D%94-%EC%A2%85%EB%A5%98 (01)-RSS 정의 및 리더 종류]〉, 《티스토리》, 2019-10-23</ref>
  
[[파일:RSSINOREADER.png|500픽셀|섬네일|'''RSS INOREADER ''']]
 
 
; INOREADER
 
; INOREADER
 
: REEDLY와 마찬가지로 깔끔한 UI를 자랑하는 RSS Reader의 종류 중 하나이다. 구글 리더와 유사하고, 직관적으로 폴더 수정이 가능하다. 웹앱, 모바일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며, 무료이다. 하지만 속도가 느리고 콘텐츠를 추가하는 기능이 비약하다는 단점이 있다.<ref name="RSSReader"/>
 
: REEDLY와 마찬가지로 깔끔한 UI를 자랑하는 RSS Reader의 종류 중 하나이다. 구글 리더와 유사하고, 직관적으로 폴더 수정이 가능하다. 웹앱, 모바일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며, 무료이다. 하지만 속도가 느리고 콘텐츠를 추가하는 기능이 비약하다는 단점이 있다.<ref name="RSSReader"/>
  
[[파일:RSSNEWSIFY.png|500픽셀|섬네일|'''RSS NEWSIFY ''']]
 
 
; NEWSIFY
 
; NEWSIFY
 
: RSS Reader의 종류 중 하나이며, 깔끔한 UI를 가지고 있다. 웹앱, 모바일에서 사용 가능하며 무료라는 장점이 있지만, 폴더 정리가 비약하고, 안드로이드 NEWSIFY는 앱이 매우 안 좋다는 평이 있다.<ref name="RSSReader"/>
 
: RSS Reader의 종류 중 하나이며, 깔끔한 UI를 가지고 있다. 웹앱, 모바일에서 사용 가능하며 무료라는 장점이 있지만, 폴더 정리가 비약하고, 안드로이드 NEWSIFY는 앱이 매우 안 좋다는 평이 있다.<ref name="RSSReader"/>
 
== 활용 ==
 
=== RSS Feed ===
 
 
 
=== RSS Reader ===
 
 
  
  
54번째 줄: 47번째 줄:
  
 
== 같이보기 ==
 
== 같이보기 ==
 +
* [[마크업 언어]]
 +
 +
{{솔루션|검토필요}}

2020년 9월 21일 (월) 15:29 판

RSS

RSS는 Rich Site Summary 또는 Really Simple Syndication이라 불리며, 사이트 내 정보를 외부 채널에 전달하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개요

RSS는 웹사이트의 정보를 쉽게 주고받을 수 있게 만들어진 마크업 언어이다.[1] 과거 넷스케이프(Netscape)의 넷센터에서 기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개발된 포맷으로 뉴스, 블로그 등 업데이트가 빈번한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단순하고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웹을 기반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서비스형 블로그나 워드프레스 같은 설치형 미디어 블로그에도 하나같이 RSS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블로그라는 툴이 단순히 게시판이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가 업데이트되었을 때 누군가에게 배달이 가능한, 하나의 미디어 채널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2]

역사

  • 1997년: 데이브 위너는 scriptingNews을 개발하면서, RSS가 나타남.
  • 1999년: RSS V0.90 개발(RDF 헤더가 간단한 XML), 유저 랜드에서 데이브 위너가 개발 한 scriptingNews의 2.0b1은 (특정 넷스케이프의 RSS 0.90을 포함), RSS V0.91 개발(RDF 헤더가 제거되었지만, scriptingNews의 2.0b1에서 대부분의 기능이 포함됨), 유저 랜드 scriptingNews을 깨고 있지만 RSS V0.91를 사용, 넷스케이프는 개발 RSS를 중지
  • 2000년: 유저 랜드는 공식 사양 0.91 출시, 오라일리에서 라엘 돈 페스트 (Rael Dornfest)가 이끄는 팀이 RSS V1.0을 개발(RDF와 네임 스페이스를 사용, 이 버전은 자주 새로운 버전 0.91과 혼동되지만 RSS V0.91의 새로운 형식에 완전히 의존함), 유저 랜드에서 데이브 위너가 RSS V0.92 개발
  • 2002년: RSS V2.0 개발
  • 2003년: 공식 RSS V2.0 규격 발표[3]

특징

각종 인터넷 콘텐츠를 통해서 생산되는 정보를 빠른 시간에 검색할 수 있다. 사이트에서 바뀐 내용, 새로운 글을 RSS라는 규칙에 따라 제공하면 사용자는 RSS를 읽을 수 있는 RSS 리더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로 그 내용을 받아올 수 있다.

분류

RSS FEEDLY
RSS INOREADER
RSS NEWSIFY

RSS Feed

RSS Feed는 정보를 제공하는 주최를 말하며, 정보를 특정 단위별로 구분하여 RSS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산업별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가 있다면 철강, 경영, 발간물 등 구분별로 RSS 형태로 정보를 담은 주소를 제공하는 곳을 말한다. 정보를 제공하는 구분 단위는 정보 제공자 임의 형태로 구성되지만 RSS 형식은 정해진 RSS 규약에 맞춰서 작성되어야 한다.[4] RSS Feed는 방문자가 RSS Reader 프로그램에 관심 사이트의 RSS Feed 주소를 등록해놓으면, 새 소식이 올라올 때마다 리더 프로그램이 소식을 알려주는 식으로 사용된다. 또한, 각 검색엔진의 수집봇이 내 블로그에 방문했을 때, 어떤 최신 글이 있는지 알려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5]

RSS Reader

RSS Reader는 RSS Feed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표현해 주는 도구이다. 이러한 Reader를 활용하면, 다양한 사이트의 정보를 해당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최신으로 올라오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RSS Reader는 과거에 위젯 형태로 많이 제공되었지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제공하는 사항들이 많이 있다.[4]

FEEDLY
RSS Reader 종류 중 하나로 깔끔한 UI를 자랑하며, 웹, 모바일 모두 제공이 가능하다. '콘텐츠 추가' 기능을 통해 구독하고 싶은 콘텐츠 소스를 제공하며, 한 달에 $5로 에버노트와 드롭박스 앱과 연동이 가능하다. 구글 리더의 단축키를 그대로 사용 가능하여 편리하지만 무로 RSS 링크 개수에 제한이 있으며 유료라는 단점이 있다.[6]
INOREADER
REEDLY와 마찬가지로 깔끔한 UI를 자랑하는 RSS Reader의 종류 중 하나이다. 구글 리더와 유사하고, 직관적으로 폴더 수정이 가능하다. 웹앱, 모바일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며, 무료이다. 하지만 속도가 느리고 콘텐츠를 추가하는 기능이 비약하다는 단점이 있다.[6]
NEWSIFY
RSS Reader의 종류 중 하나이며, 깔끔한 UI를 가지고 있다. 웹앱, 모바일에서 사용 가능하며 무료라는 장점이 있지만, 폴더 정리가 비약하고, 안드로이드 NEWSIFY는 앱이 매우 안 좋다는 평이 있다.[6]


각주

  1. 달새(이영민), 〈9C%EC% 9A%A9% ED%95% 98% EA%B8% B0-atoz-e7A5C85A1cbd RSS 활용하기 AtoZ〉, 《미디엄》, 2019-05-17
  2. 김종기, 〈정보력이라 쓰고 전투력이라 읽다, RSS를 활용한 정보 구축법〉, 《HS애드》, 2017-05-12
  3. w3big RSS 역사 - http://www.w3big.com/ko/rss/rss-history.html
  4. 4.0 4.1 모그니, 〈RSS의 의미와 활용〉, 《네이버블로그》, 2016-04-07
  5. 외할아버지, 〈티스토리 RSS : RSS 피드의 뜻과 설정방법〉, 《티스토리》, 2020-03-14
  6. 6.0 6.1 6.2 과학자 로얄블루, 〈(01)-RSS 정의 및 리더 종류〉, 《티스토리》, 2019-10-23

참고자료

같이보기

틀:검토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