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P2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P2E'''(피투이)는 "Play to Earn"(플레이 투 언)의 약자로서, 이용자가 게임을 하면서 물질적, 금전적 보상을 받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 초...)
 
1번째 줄: 1번째 줄:
'''P2E'''(피투이)는 "Play to Earn"(플레이 투 언)의 약자로서, 이용자가 [[게임]]을 하면서 물질적, 금전적 보상을 받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 초창기의 [[한게임]]이나 이후 [[리니지]] 같은 게임도 넓은 의미에서 P2E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게임 코인으로 지급하는 경우가 P2E에 해당한다.
+
'''P2E'''(피투이)는 "Play to Earn"(플레이 투 언)의 약자로서, 이용자가 [[게임]]을 하면서 물질적, 금전적 보상을 받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 초창기의 [[한게임]]이나 이후 [[리니지]] 같은 게임도 넓은 의미에서 P2E라고 할 수 있으며,<ref>박예진 기자, 〈[https://www.inews24.com/view/1454632 P2E, 코인 아니어도 이미 게임에 작동…"가이드라인 마련 시급" (메타버스24)]〉, 《아이뉴스24》, 2022-02-23</ref> 최근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게임 코인으로 지급하는 경우가 P2E에 해당한다.
 +
 
 +
{{각주}}
 +
 
 +
== 참고자료 ==
 +
* 박예진 기자, 〈[https://www.inews24.com/view/1454632 P2E, 코인 아니어도 이미 게임에 작동…"가이드라인 마련 시급" (메타버스24)]〉, 《아이뉴스24》, 2022-02-23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2년 2월 24일 (목) 01:18 판

P2E(피투이)는 "Play to Earn"(플레이 투 언)의 약자로서, 이용자가 게임을 하면서 물질적, 금전적 보상을 받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 초창기의 한게임이나 이후 리니지 같은 게임도 넓은 의미에서 P2E라고 할 수 있으며,[1] 최근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게임 코인으로 지급하는 경우가 P2E에 해당한다.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P2E 문서는 게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