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중국

해시넷
sms1208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2월 8일 (수) 14:3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中國, China)은 동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국가이다. 정식 국가 이름은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이다. 중국의 수도베이징(Beijing, 北京, 북경)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다민족 국가로 총인구의 91.5%가 한족(漢族)이며, 그 밖에 56개의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구역은 베이징(Beijing, 北京, 북경)을 포함한 4개의 직할시, 하북성을 포함한 23개의 , 내몽골자치구를 포함한 5개의 자치구, 홍콩을 포함한 2개의 특별행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개요

중국은 공식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PRC; 중국어: 中國人民民和国国; pinyin: Zhonghuah Rén Genghghéguo)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사회주의 국가로 1949년 10월 1일에 건국되었으며 수도는 베이징이다. 중국의 국토 면적은 약 960만 평방킬로미터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국가이며, 23개 성, 5개 자치구, 4개의 지방자치단체 와 2개의 특별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었다.

중국은 현재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로 2020년 기준 인구는 약 14억 2천만 명이다. 현대 표준 중국어와 표준 한자는 국가 공통 언어와 문자이며 민족 자치 지방의 기타 소수 민족은 민족언어와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1986년부터 9년제 의무교육 제도가 시행되었으며, 정부는 공립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에게 수업료를 지원한다. 2020년 인구 조사 에 따르면 전국 문맹률은 2.67%이다. 고등교육을 받는 인구는 2억 4천만 명에 달했다.

중국은 현재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2021년 국내총생산(GDP)은 17조7000억 달러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구매력 평가 기준으로는 세계 1위이다.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주요 경제국 중 하나가 되었고 실질적인 GDP 성장률은 경제 총량 상위 20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중국은 대외무역 규모 면에서 세계 1위이며, 세계 최대 상품 수출국이자 세계 2위 수입국이다. 중국 대륙 일인당 GDP는 1990년 347달러에서 2021년 12,600달러(IMF데이터) 가까이 약 35배 성장했다. 동부지역의 일부 도시 일인당 GDP는 이미 2만 달러를 초과했으며 중국의 '빈곤문제'도 경제성장과 함께 개선, 832개 국가급 빈곤현은 2020년 말까지 '탈빈곤'을 완성했다. 그러나 중국국가통계청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아직도 6억명의 월 평균 수입이 1,000위안으로 지역발전불균형 및 빈부격차 2가지 문제를 여전히 해결과제라고 정했다.

BC 221년 진(秦)나라의 시황제(始皇帝)가 처음으로 통일을 이루었다. 1912년 신해혁명으로 중화민국(ROC)이 중국 최후의 통일왕조인 청 왕조를 대체하면서 중국 군주제가 붕괴되었다. 국민당 정부가 들어섰으나, 정치적 혼란이 이어지면서 각지에서 군벌정부가 권력을 휘두르는 군벌 시대로 돌입하게 되었다. 이후 소련의 지원을 받으며 5·4 운동의 반제국주의 강령을 중심으로 창당된 중국공산당은 1920년 이후 세력을 급격히 키웠고, 국민정부과 계속해서 내전을 벌였다. 중일 전쟁 이후 중국 대륙의 주도권을 두고 1946년 제2차 국공 내전이 발발하였고, 그 결과 타이완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영역이 공산당 측으로 넘어가 1949년 마오쩌둥을 초대 국가주석으로 하여 베이징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이 선포되었다.

소련의 막대한 영향력을 받는 중국공산당은 마오쩌둥으로 대약진 운동을 펼쳤고, 문화 대혁명도 실시하며 사회주의 국가의 틀을 굳히려 하였다. 다만 대약진 운동도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지 못해 실패하였고 문화 대혁명도 수많은 국가적, 문화적 피해와 민간인 피해를 남겼다. 이 과정에서 공산당은 사회주의의 한계를 실감하게 되었고, 이후 소련의 영향력이 낮아지면서 덩샤오핑의 지도로 개혁·개방을 시행하면서 시장경제체제가 도입되어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받아들였다. 덩샤오핑은 흑묘백묘론을 내세우며 광활한 영토와 막대한 인구를 바탕으로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어냈고, 화평굴기를 외교 기조로 삼아 평화로운 공존 및 팽창 정책을 추구하였다. 이에 중국과 미국은 투키디데스의 함정 상황에 놓여있다는 평가가 있다.

상징

국명

중국은 영어로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약칭 'China'(차이나)라고 쓴다. 한자로는 "中華人民共和國" 또는 '中國'이라고 쓴다. 중국어(간체)로는 "中华人民共和国" 또는 '中国'이라고 쓴다. 중국 대륙의 본토에 위치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에 있는 정부와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대만(Taiwan)에서는 자신을 '중국'이라고 부르며,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해서는 중국 본토라고 부른다.

'중국'이라는 명칭이 최초로 나타난 것은 기원전 11세기 주나라의 청동기에 새겨진 글자다. 문서상으로는 시경의 大雅民勞篇 중 "惠此中國, 以綏四方"이라는 구절의 '중국'이 가장 이른 기원이다. 이는 지리적 중심부, 즉 주나라의 수도 지역을 의미했다. 당시 '國'은 아직 '나라'의 의미를 갖지 않았다. 중원(中原), 중화(中華)라고도 했다. 주변에 비해 발달된 문명을 가졌던 자신들을 동이, 서융, 남만, 북적 등 주변 '오랑캐'와 구분하기 위해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그랬던 것이 춘추시대 들어 주나라의 제후들이 서로 치고받기 시작하면서, 각기 주나라의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중국(=주나라)이라는 말을 신나게 팔아댔다. 이렇게 황하 중하류의 구 주나라 세력권 일대의 도시들이 서로 자기네가 주나라의 수도('중국')라고 자칭했고, 그 바깥 지역에 위치한 진(秦), 초(楚), 오(吳), 월(越)나라 등을 '오랑캐나라'(夷狄之邦)로 불렀다. 이때까지는 나라를 뜻하는 자가 國이 아니라 邦이었던 것이다.

결국은 오랑캐 취급받던 진나라가 중원을 처음으로 제패하여 중구난방 난립하던 '중국'은 다시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통일 진나라가 고작 15년만에 망해버리고 한나라가 들어서게 되고, 초대 황제인 유방(劉邦)의 이름을 피휘하느라 邦 대신 國을 쓰기 시작하여 중국의 개념이 '중원을 차지한 하나의 나라'로 정착된 것이다.

중국 대륙에서는 전통적으로 왕조 이름이 국명처럼 쓰였으며 중국이라는 명칭은 나라 이름보다는 지역 이름에 가까웠다. 더불어 중원의 동의어였던 것에서 의미가 넓어져 한족 정통 왕조의 지배 영역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였다.

중국을 국명으로 최초로 내세운 민족은 뜻밖에 한족이 아닌 만주족들이였는데, 만주족인 청나라가 네르친스크 조약 당시 스스로를 만주어로 "ᡩᡠᠯᡳᠮᠪᠠᡳ ᡤᡠᡵᡠᠨ(dulimbai gurun, 가운데에 있는 나라)"으로 칭한 것이 처음이다.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난징 조약에서는 만주어가 아닌 한문으로도 스스로를 中國/中国으로 일컬었다.

중국이라는 명칭이 국명으로 쓰이지는 않았지만 아편전쟁 이후 근대화의 물결이 중국을 덮치면서 중국인들도 민족주의에 눈뜨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인들은 왕조와 관계없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국명이 필요함을 느꼈다. 결국 신해혁명으로 만주족의 청나라를 무너뜨린 중국인들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中國/中国, 中華/中华와 'republic'의 번역어인 민국(民國/民国)을 조합한 중국 대륙 사상 최초의 공화국인 중화민국(中華民國/中华民国)을 세웠고, 약칭으로 중국(中國/中国)이라 하였다. 이후 중국 공산당이 국공내전에서 승리하여 세운 오늘날의 중국은 기존의 중화(中華/中华) + 정치 체제를 이르는 '인민공화국'을 추가한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을 정식 국명으로 택하고 약칭을 중국(中國/中国)이라 하여 지금에 이른다. 국공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 섬에 있는 중화민국과 정통성 경쟁을 해왔고, 타이완 섬의 중화민국을 정통 중국으로 보는 국가를 중심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해 중공(中共) 등 다른 명칭을 쓰기도 했지만, 지금은 국제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정통 중국으로 간주되어 타이완 섬의 중화민국이 아닌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칭한다. 지금도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 않고 명목상 중국 대륙의 정통 국가임을 주장하는 중화민국(대만)에서는 이 나라에 대해 공식적으로 중국 대륙(대륙), 중공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만, 대만 민족주의가 어느 정도 자리잡은 현재에는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을 그냥 '중국'으로 칭하는 사람들이 많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에는 새로운 중국을 수립했다는 의미에서 스스로를 신중국(新中國/新中国)이라 한 적도 있다. 대비되는 용어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 중화민국을 이르는 구중국(舊中國/旧中国)이다.

영어에서는 이 나라를 차이나(China) 혹은 피플스 리퍼블릭 오브 차이나(People's Republic of China)라 하고 다른 유럽 언어에서도 대체로 비슷한 명칭을 쓴다. 가장 유력한 설은 진나라의 친(Chin)에서 유래됐다는 설이다. 이것이 산스크리트어에서 중국 지역을 칭하는 이름인 치나(Cīna)가 되었고, 이 낱말을 포르투갈인 상인들이 페르시아어를 거쳐 수입해 전 유럽에 보급했다. 앞의 C가 Ch, C, K, S 등으로 오락가락하는 탓에 영어명은 '차이나'이지만 북유럽 언어나 그리스어에서는 '키나', '키나스'라고 하는 등의 차이가 있기는 하다. 한자문화권에서 '중국'이 국명으로 확립되지 않았던 근대 시절에는 이를 한자 음역하여 중국을 支那라 칭한 적이 있지만 중국인 및 기타 화인(대만인, 홍콩인, 마카오인, 해외 화교들)들은 역사적 이유로 인해 이를 비하 명칭으로 받아들인다.

특이하게 러시아어를 비롯한 일부 슬라브어권에서는 Китай(키타이)라 하는데, 이는 본래 거란족을 의미한다. 근세 이전에야 러시아에서 중국이 워낙 멀다보니 동방에 뭐가 있는지도 잘 모르고, "동방에 키타이라고 날리는 애들이 있더라" 정도의 정보만 가지고 그 동네를 뭉뚱그려 키타이라 부른 게 그 시작이다. 이 영향을 받아 중앙아시아 언어에서도 중국을 키타이 비슷한 이름으로 칭하며, 그 외 다른 언어에서도 영어에서의 캐세이(Cathay) 등 거란의 이름에서 유래해 중국을 가리키는 표현이 좀 있다. 홍콩을 거점으로 하는 항공사인 캐세이퍼시픽도 여기서 유래하였다.

화교들이 많이 사는 동남아에서는 위의 경우와 달리 그냥 '중국'의 방언식 이름이 현지에서 중국을 이르는 명칭으로 정착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인도네시아어에서 중국은 Tiongkok이라고 하는데 중국을 이르는 민남어 발음에서 유래했다.

땅이 크고 인구가 많다는 뜻에서 자칭 '대국'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국기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기는 오성홍기(五星红旗, wǔ xīng hóng qí)이다. 전국에서 응모된 약 3,000개의 도안을 심사해서 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선정하였는데, 1949년 9월 27일에 현재의 국기 디자인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오성홍기를 디자인한 사람은 저장성 출신 경제학자 쩡롄쑹(曾联松)이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선언하면서 정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큰 별은 중국 공산당, 작은 별들은 각각 노동자, 농민, 소자산계급, 민족자산계급을 나타낸다. 붉은색은 공산주의와 혁명, 별의 노란색은 공산주의의 광명과 중국 인민의 종족성(주로 '황인종'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을 나타낸다. 4개의 작은 별의 중심에서 뻗은 직선은 큰 별의 중심에서 만나는데, 이는 중국 공산당의 영도하에 혁명인민의 대단결을 상징한다.

국가

의용군 진행곡

중국의 국가이자 항일 군가. 신문화운동(新文化運動)당시 위다푸와 같이 창조사회(Creation Society)에 속했던 좌파 시인이자 극작가인 톈한(田漢, 1898-1968)[2]의 가사에 작곡가 녜얼(聶耳, 1912-1935)이 곡을 붙였다.

텐한이 1934년에 풍운아녀를 위해 쓴 장편의 시 마지막 부분이 의용군 행진곡의 가사가 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음악가 녜얼(聶耳)이 작곡을 하고 싶어했고, 1935년에 완성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949년에 건국했는데, 이 건국을 앞두고 1946년에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개최됐다. 그 회의에서 중국의 국기, 국가, 국장 등 국가 대표 상징을 정하는데 의용군 행진곡이 대국가 즉, 국가를 임시 대표하는 곳으로 채택되었다.

1978년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잠시 가사가 바뀌었으나, 그 후 1982년 인민대회에서 다시 원래 가사로 바꾸었으며, 1982년 중국인민대표대회에서 의용군 행진곡을 정식 국가로 선정했고, 마침내 2004년에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에 명시됐다.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136조에 '중국의 국가는 의용군 행진곡이다.'라는 조항이 추가되어 공식적으로 중국의 정식 국가가 되었다.

행정구역

자연환경

역사

정치

중국 지도

중국 행정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중국 행정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중국 주변 지도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중국 문서는 국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