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대구서문시장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구서문시장
대구서문시장 전경(2016년)
대구서문시장
대구서문시장
대구서문시장
대구서문시장
대구서문시장
대구서문시장

대구서문시장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에 있는 대구 최대의 전통시장이다. 대구읍성 서문 밖에 있는 시장이라고 하여 서문시장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2016년 6월부터는 서문시장 야시장도 영업하고 있다.

개요[편집]

대구서문시장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에 있는 재래시장으로, 대구 최대의 재래시장이다. 칠성시장과 함께 대구의 2대 장터를 이루고 있으며, 대구장이라고 불리던 조선 시대부터 서울 시전, 평양장과 더불어 3대 시장으로 발전하여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주로 섬유와 직물 품목을 취급하고 있으며, 대구권의 중심 시장 역할을 하고 있다. 6개 지구로 구성되어 있고 지구 내에 4천 여개의 점포가 입주해 있으며, 주위에도 다양한 상권이 발달(동산상가, 건해산물 등)했다.

전기시설의 노후화로, 그 동안 전기 합선 화재 사고가 잦은 시장이다. 1967년, 2005년, 2016년에 각각 세 차례나 각각 2구역과 4구역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대부분이 전소하는 피해를 겪어야 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과 가까우며 총 6개 지구(1지구, 2지구, 4지구, 5지구, 동산상가, 건해산물상가)에 4,000여 개의 점포가 입주해 있다. 시장의 북쪽과 서쪽(큰장네거리)에 대신지하상가도 위치하고 있으며, 서구 비산4동까지 지하상가가 뻗어 있다.

참고로 청주나 수원에도 같은 이름의 시장이 있지만, 인지도 및 규모는 대구 쪽이 넘사벽이다. 수원시의 경우 서문시장 말고 팔달문 근처에 있는 남문시장이 경기도 최대 규모의 전통시장을 자랑하고 있다. 반대로 대구는 남문시장이 그저 그런 중소규모 시장이다.

역사[편집]

유래[편집]

서문시장의 역사는 조선 중기부터 전해져 내려온다. 당시 대구읍성 북문 밖에 시장이 형성되었는데, 현재의 북성로에서 태평로를 통하는 미창골목 언저리로 추정된다. 조선 선조대에는 서울, 평양과 더불어 조선의 3대 시장 중 하나로 발전하였으며, '대구장'으로 불렸다. 조선 현종대에는 낙동강을 이용한 수로교통 및 타지와 연결된 육로교통의 발달로 대구읍성 북문 밖에서 서문 밖 (현재의 동산파출소 언저리로 추정)으로 이전하였다. 동시에 대구신장(동문시장)과 더불어 경상도 상권의 중심을 이루게 되었다. 1770년에는 대구에서만 9개소에서 5일장이 개설되는 호황 속에서 칠곡읍내장과 통합을 이루어, 조선에서 유명한 큰 시장으로 발전했다.

일제강점기였던 1920년 12월 9일에는 천황당지를 매립하여 대구장 자리를 옮겼는데, 그 자리가 지금의 서문시장이 되었다. 1922년 9월 28일에는 공설 시장의 개설이 허가를 받았는데 지금의 1지구, 2지구, 4지구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1960~1970년대[편집]

해방 후 1967년 1월 1일에는 첫 화재가 발생했다. 1969년 8월 23일에는 공설시장을 폐지하고 그 자리에 1970년 10월 23일 서문시장 2지구 시장이 개설되었다. 1973년 1월 23일에 공설시장 일부 (지금의 1지구)가 다시 철거되어 1974년 3월 4일 서문시장 1지구 직물시장이 1층에 개설되었다. 1974년 4월 13일에는 다시 한 번 공설시장이 철거되었고 12월 4일에 그 자리에 4지구 시장이 개설되었으며, 그 사이 10월 7일에는 1지구 포목시장이 개설되었다.

1975년 11월 20일에는 대화재가 발생하여 1지구 2층을 포함한 4지구 전체가 불에 탔다. 이듬해 1976년 3월 11일 재건축 허가를 받고 5월 31일에는 지금의 5지구에 해당하는 공설시장 건축 허가를 받았다. 한달여 후인 6월 5일에는 1지구 2층을 신축 및 재개장하고, 이듬해 1977년 9월 20일에는 5지구를 준공하였다. 같은해 11월 15일에는 공설시장을 폐지하고 다음날 16일에는 4지구가 다시 문을 열었다.

1977년 12월 14일에는 동산상가의 개설이 허가되었고, 같은달 29일에는 5지구 시장이 준공되었다. 2년 후인 1979년 2월 6일에는 동산상가가 개설되어 운영에 들어갔다. 이후 1982년 4월 1일 사설건해산물상가가 개설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편집]

2005년 12월 29일에는 2지구에서 대화재가 발생하는 사고가 있었다.

2016년 6월 3일에는 상설 야시장을 개장하였으며, 평일과 일요일 오후 7시 반부터 자정까지, 금,토요일은 오후 7시 반부터 새벽 12시 반까지 운영에 들어가게 되었다. 11월 30일에는 4지구에 대화재가 다시 발생하면서 679개 점포가 모두 전소하는 피해를 겪었으며, 진화 후 4지구는 철거됐다. 2017년 3월 3일 4지구 화재로 휴업한 야시장이 다시 문을 열었다. 서문시장 야시장은 2017년 문화체육관광부 '한국 관광의 별'로 선정됐고, 2019년 12월까지 3,800만명이 방문했다.

구성과 취급품목[편집]

1지구[편집]

730여개 상가

  • 1층 - 포목, 면직, 주단, TC, 나염지
  • 2층 - 주단, 포목, 수예품, 커튼지, 이불원단, 양복지, 이불

2지구[편집]

1,100여개 상가

2005년 12월 29일의 화재로 서문시장 2지구는 서구 내당2·3동의 구·롯데마트 건물로 이전하였다. 시민들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서문시장 주차빌딩에서 매시 15분과 45분에 출발하는 셔틀버스를 준비해 놓고 있다.

  • 지하 - 어물, 회식당, 반찬류, 폐백, 곡물, 서문프라자
  • 1층 - 그릇, 공예품, 판, 자리, 병풍, 이불, 의류, 포목, 건과류, 잡화류, 신발류, 식육점, 식료품
  • 2층 - 메리야스, 원단, 잡화, 수예, 양말, 이불, 한복, 커튼지, 타월
  • 3층 - 양장지, 양복지. 한복지, 각종면 나염지, 커튼지, 이불, Y지, 안감지, 코르덴, 청바지, 면벨벳, 학생복지

4지구[편집]

600여개 상가

  • 1층 - 라사, 양장, 주단, 수예, 마포, 공예, 액세서리, 숙녀복, 남성복, 메리야스, 커튼
  • 2층 - 주단, 라사, 수예, 이불, 숙녀복, 아가방, 커튼, 양말, 한복
  • 3층 - 숙녀복, 아동복, 남성복, T셔츠, 추리닝(운동복), Y셔츠

5지구[편집]

400여개 상가

  • 1층 - 그릇, 주방용품구 일절, 원단, 청과, 잡화, 플라스틱, 멜라민, 도자기, 상, 이불
  • 2층 - 남성복, 숙녀복, 아동복, 캐쥬얼, 추리닝(운동복), Y셔츠, T셔츠, 단체복

동산상가[편집]

600여개 상가

  • 지하 - 스텐, 도자기, 상, 제기, 알루미늄, 플라스틱, 병풍, 자리, 멜라민, 초자, 농악, 불교용구, 요리기구
  • 1층 - 남성복, 숙녀복, 수예품, 이불, 공예품, 아동복, 커튼, 액세서리, 각종 잡화
  • 2층 - 숙녀복, 신사복, Y셔츠, 메리야스, 란제리, 캐쥬얼, 양말, 모피가방, 단체복, 블라우스,아동복
  • 3층 - 숙녀복, 신사복, 아동복, T셔츠, 단체복, 캐쥬얼, 가죽제품 유명할인브랜드

건해산물상가[편집]

40여개 상가

  • 1층 - 건어물 일체

먹거리 가게[편집]

규모가 규모인지라 시장 내에 많은 먹거리 가게들이 존재한다. 특히 수제비와 칼국수, (둘을 합한 메뉴인) 칼제비, 잔치국수와 가락국수, 보리밥, 돼지국밥 가게가 많이 있으며, 납작만두와 호떡 가게도 유명하다. 납작만두와 유사한 삼각만두도 이곳에서 맛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동, 돈가스, 떡볶이 등 각종 분식이나 일반적인 음식점 음식도 꽤 있는 편.

이곳의 음식을 맛보기 위해 시장을 돌아다니는 데만 몇 시간이 걸릴 정도로 먹거리 가게들이 곳곳에 존재한다. 또한 특이하게도 시장 내에 프랜차이즈 카페가 몇 군데 있었으나, 해당 카페의 상당수는 2016년 말 발생한 화재로 문을 닫았다. 그래도 앤제리너스, 봄봄커피, 마시그레이 같은 일부 카페는 여전히 영업하고 있다. 많진 않지만 찾아보면 인근에 술집도 있다.

야시장이 개장한 이후부턴 밤에도 서문시장에서 수많은 먹거리 가게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각종 외국요리들부터 한식, 퓨전요리 등 종류가 다양하다. 다만 가격은 낮보단 좀 비싼 편이다.맛도 없는 편이다 야시장 거리에 위치한 수제비 가게 같은 경우는 밤에도 일부는 한다.

맛집
  • 몬나니떡볶이
  • 에덴김밥
  • 삼미식당
  • 옥루몽
  • 카츠효
  • 문꼬치
  • 두부본가

서문시장야시장[편집]

서문시장 야시장은 2016년 6월에 개장한 총거리 350M에 달하는 대형 야시장이다. 우리나라 3대 시장인 서문시장의 밤거리를 무대로 하여 총 80대의 매대에서 다양한 먹거리, 살거리를 판매하며 매일 저녁, 시민과 관광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특히, 먹거리 일색인 타 야시장과는 달리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의 3대 요소가 연중으로 펼쳐지는 마법같은 관광지이기도 하다.

서문시장 야시장 영업시간
  • 정기휴무 : 매주화요일
  • 영업시간 : 일, 월, 수, 목(19:00~22:30) 금, 토(19:00~23:30)
  • 자연재난 및 방역 대응 기준 따라 영업시간 변경 가능

이용안내[편집]

  • 휴무일 : 첫째/셋째 일요일
  • 영업일 : 둘째/넷째/다섯째 일요일
  • 주차시설 : 800대 가능(주차빌딩 및 2지구 지하) 주차관리사무소 : 053-257-5368
  • 편의시설 : 휴게실, 스택코너, 놀이방, 인터넷방, 여행사, 관광안내센터
  • 애완동물 동반: 불가
  • 물품보관소 :있음
  • 영업시간 및 연락처
  • 5지구 : 오전 08시 ~ 오후 05시 053-255-1059
  • 4지구 : 오전 08시 ~ 오후 06시 053-255-2915
  • 동산상가 : 오전 09시 ~ 오후 07시 053-257-3562
  • 2지구 : 오전 09시 ~ 오후 07시 053-257-2289
  • 1지구 : 오전 09시 ~ 오후 07시 1층 상인회 053-254-9870 2층 상인회 053-254-7923
  • 아진상가 : 오전 09시 ~ 오후 07시 053-254-1254
  • 건해물상가 : 오전 09시 ~ 오후 07시 053-254-7800
  • 명품프라자 : 오전 09시 ~ 오후 07시 053-256-0023 (둘째/넷째 일요일 : 휴무)

교통안내[편집]

시민들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서문시장 주차빌딩에서 매시 15분과 45분에 출발하는 셔틀버스가 있다. 서문시장 건너편에는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이 자리잡고 있으며 워낙 큰 재래시장이고 대구 도심 지역에 있는 시장이라서 예전부터 늘 차량이 막히는 정체구간이었다.

당연히 엄청 많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다닌다. 서문시장, 동산병원 앞을 다니는 시내버스는 다음과 같다. 급행1번, 급행3번, 급행5번, 급행6번, 156번, 240번, 300번, 309번, 323번, 405번, 425번, 523번 동산네거리행, 524번, 623번, 651번, 653번, 724번, 808번, 836번, 840번, 909번, 939번, 동구2번, 북구2번, 성서2번 서문시장행 노선 거기에 경산시 시내버스의 990번, 991번, 칠곡군 농어촌버스 및 성주군 농어촌버스의 250번, 고령군 농어촌버스의 606번까지 들어올 정도다.

시장 바로 앞에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이 있고 인근 신남네거리에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도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한 이후 전철을 이용해 서문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이 늘었다고 한다. 상인들의 매출이 늘어났으며, 서문시장도 손님들의 수요에 맞춰 대응하고 있다.

2016년 6월엔 서문시장야시장도 개장해 야간 방문객도 많이 늘었다고 한다. 특히 서문시장역은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답게 승객으로 미어터지게 되면서 결국 2016년 3월에 대구 도시철도 최초로 승강장 확장공사를 하였다.

참고로 서문시장과 동산의료원 사이에 있는 달성로는 과거부터 상습 정체구간으로 악명이 높았다. 특히 2010년대 이 일대에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선로 공사가 한창 진행될 당시엔 가히 헬게이트라 할만한 정체 상황까지 갔었으나,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면서 기존 왕복 4차선의 달성로가 왕복 6차선으로 확장되어 그나마 숨통이 트였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대구서문시장 문서는 한국관광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