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하코다테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오른쪽|'''하코다테시''' 시기 파일:하코다테시 휘장.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하코다테시''...)
 
잔글 (같이 보기)
 
108번째 줄: 108번째 줄:
  
 
{{로고 수정 필요}}
 
{{로고 수정 필요}}
 +
{{도시|검토 필요}}

2024년 5월 9일 (목) 22:55 기준 최신판

하코다테시 시기
하코다테시 휘장
고료카쿠
하코다테시 야경

하코다테시(일본어: 函館市, はこだてし)는 일본 홋카이도 남부에 있는 시다. 홋카이도에서는 삿포로시, 아사히카와시에 이어 3번째로 인구가 많으며, 중핵시로 지정되어 있다. 비교적 온난한 기후로 인해 교통의 요충지로서 발전했고, 홋카이도 남부 행정·경제·문화의 중심으로서 발전했다. 어업과 관광을 겸하고 있다.

개요[편집]

연혁[편집]

원래 이 곳은 아이누인들이 고기를 잡고 살던 한적한 어촌으로 아이누어 지명은 "만의 끝"을 뜻하는 'Uskes(宇ウ須ス岸ケシ; 우스케시로 음차)'였다. 그러던 중 무로마치 시대인 1454년, 츠가루의 호족 고노 마사미치(河野政通)가 다이묘 책봉 경쟁에서 밀린 뒤 측근들과 함께 에조치(蝦夷地)로 도주한 후 우스케시에 장원을 건설했다. 이 장원이 마치 상자처럼 보였기에 하코다테(箱館)란 이름으로 불렸다. 그 후 1869년 에조치가 홋카이도로 개명되면서 하코다테의 이름도 발음은 같지만 다른 한자인 '函館'로 바뀌면서 지금까지 이어진다.

그 후 하코다테 일대는 마츠마에 번에 소속되어 마츠마에 가문이 지배하는데 하코다테는 마츠마에 3항(松前三港) 중 하나로 에조치 인근 해역에서 잡히는 수산물의 집산지와 아이누와의 교역품을 처리하는 곳으로서 에조치의 일본의 거점 역할을 수행했다.

18세기 말, 러시아의 남하가 가속화되면서 위기감을 느낀 에도 막부는 에조치 일대의 마츠마에 번 영지를 막부 직할령으로 두게 되는데 이 때 하코다테에는 막부 직속의 봉행소가 설치되어 아이누와의 교역을 담당하였다. 그 후 1854년 미일화친조약으로 일본이 개항하면서 하코다테는 일본이 처음으로 개방한 두 항구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이 때 하코다테에 외국인거류지가 생겼고 보방식 요새인 고료카쿠(五陵郭)가 만들어졌다.

보신전쟁 이후 에도 막부가 멸망하자 막부의 잔당 일부가 하코다테로 도망쳐 에조 공화국을 세운 적도 잠깐 있다. 에조 공화국은 삼일천하로 끝났지만, 사실상 막부 세력이 메이지 신정부군을 상대하는 최후의 전투가 이 곳의 고료카쿠에서 벌어졌다.

메이지 유신이후 본격적으로 홋카이도가 개발되면서, 상대적으로 혼슈에 가까운 섬 남부 지역이 섬 북부 지역보다 더 빨리 개발될 수 밖에 없었다. 세이칸 연락선의 홋카이도 쪽 기종점으로서 세이칸 터널 개통 전까지 80년간 홋카이도의 관문 역할을 했다. 게다가 이전부터 일본이 홋카이도에 세운 주요 거점이자 최초로 개항한 항구 도시 버프를 받았기 때문에 홋카이도에서 가장 큰 도시로 번영하게 된다. 1933년 당시 인구 22만 명으로 일본에서 9번째로 큰 도시였다.

  • 1454년 - 고노 마사미치가 우스케시(원래는 아이누어로 '만의 구석'을 의미하는 우쇼로케시)로 불리고 있던 어촌에 관을 세웠다. 이 관이 상자 형태를 닮은 것에서 하코다테(箱館)로 불리게 되었다.
  • 1859년 - 미일수호통상조약에 의해 일본 최초의 국제 무역항으로서 개항, 외국인 거류지가 설치되었다.
  • 1868년 - 보신전쟁 후기, 에노모토 다케아키 등이 하코다테를 점령, 에조 공화국을 선언하고 고료카쿠를 거점으로 했다(하코다테 전쟁).
  • 1869년 - 하코다테(箱館)에서 하코다테(函館)로 개칭했다.
  • 1882년 - 개척사가 폐지되고 하코다테 현청이 두어졌다.
  • 1886년 - 3현 폐지에 의해 홋카이도 청이 설립되고 하코다테 현청이 폐청되었다.
  • 1899년 - 하코다테 구가 성립하였다.
  • 1922년 - 하코다테 구가 시로 승격해 하코다테 시가 되었다.
  • 1934년 - 하코다테 대화재가 발생.
  • 1939년 - 가메다 군 유가와 정이 하코다테 시에 편입 합병되었다.
  • 1961년 - 하코다테 공항 개항.
  • 1966년 - 가메다 군 제니카메자와 촌이 하코다테 시에 편입 합병되었다.
  • 1973년 - 가메다 시가 하코다테 시에 편입 합병되었다.
  • 2000년 -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2004년 - 가메다 군 도이 정·에산 정·도도홋케 촌·가야베 군 미나미카야베 정이 하코다테 시에 편입 합병되었다.
  • 2005년 - 중핵시로 지정되었다.

지리[편집]

홋카이도 오시마반도 남부, 가메다반도에 위치하고 동서와 남쪽은 바다(쓰가루 해협과 하코다테 만)에 접하고 있다. 시가지는 옛 화산인 하코다테 산과 연결되는 육계도인 하코다테 반도로부터, 나나에하마 방면·가메다 평야 방면·요코쓰다케 산록 방면으로 펼쳐져 있다.

깊은 후미가 있는 부채를 편 것 같은 지형 때문에 하코(巴港)로 불리는 천연의 양항으로서 번창했다.

쓰시마 해류의 영향으로 홋카이도의 도시 중에서는 겨울의 추위가 심하지 않고 강설량도 적다. 또 여름의 평균 기온은 삿포로보다도 낮다. 근년에는 열섬현상 등으로 겨울이 따뜻해져, 가장 추운 달(1월)의 기온이 옛 평년치(1961년 ~ 1990년)의 -3.4 °C로부터, 새 평년치(1971년 ~ 2000년)에서는 -2.9 °C로 상승했다. 최고기온은 33.6도이며 최저기온은 영하 20도이다.

경제[편집]

수산업이 발달했으며 주된 특산품은 오징어다. 때문에 오징어 문양이 새겨진 맨홀이나 가로수 등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하코다테역 앞에 있는 아침시장도 유명한 곳으로 이름처럼 새벽부터 점심까지만 여는 수산시장이다. 현지 주민들과 다르게 수산물을 구입할 일이 별로 없는 한국 관광객들에겐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카이센동을 먹을 수 있는 명소로 알려져 있다. 오징어 순대인 이카메시[10]도 팔고 있으며 한 식당에서는 살아있는 오징어가 올라간 덮밥을 판매하기도 한다.

공업의 경우 시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다. 식료품 제조업의 비중이 높으며 특히 수산물 가공 회사의 수가 가장 많다. 이곳에 생산시설을 둔 대기업으로는 닛신제분이 있다.

관광[편집]

  • 고료카쿠 요새
하코다테의 랜드마크 '고료카쿠(五稜郭ごりょうかく)'는 성형 요새의 하나로, 1866년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기 위해 막부가 서양의 기술을 도입하여 세웠다. 하지만 바로 다음해 대정봉환을 통해 막부는 권력에서 멀어지고, 결국 신정부와 막부세력의 갈등으로 인한 보신 전쟁의 무대가 되어 완공 3년만인 1869년에 폐성되고 만다. 이러한 역사 때문에, 고료카쿠 타워(五稜郭タワー Goryokaku Tower) 로비 등에는 히지카타 토시조 동상이 세워져 있고, 관광기념품점에서는 히지카타 캐릭터 상품같은 것도 판다.
  • 시료가쿠와 우라하코다테
고료가쿠보다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시료가쿠도 있다. 四陵郭 (しりょうかく)이라는 한자 답게 고료가쿠보다는 끝의 뿔 하나가 적은 뿔 4개다.[14] 좀 길쭉한 표창같은 구조다. 고료카쿠와 달리 건립 동기 자체가 달라서 요새기능과는 상관없는 듯 싶다. 대중교통으로 가기에는 어려우나. 이쪽에서 보는 하코다테 야경도 색다르기 때문에 현지 주민 사이에서는 보통 여기서 보는 하코다테 야경을 '우라(裏) 하코다테'라고 칭한다.
  • 야경
하코다테산에서 볼 수 있는 야경은 사진에서 보이듯 매우 아름답다. 데이트 장소로도 유명한데, 여기 자체로 끝은 아니고 하코다테 산 케이블카 지상역을 기점으로 서쪽으로 걸어가면 기독교 종교 시설(특히 하코다테 하리스토스 정교회 성당(函館ハリストス正教会)[15]이 돋보인다.)에서 모토마치거리, 외국인묘지(外国人墓地 (外人墓地))까지 한큐에 걸어갈 수 있다. 그리고 항구지역에는 카네모리 붉은 벽돌 창고군(金森赤レンガ倉庫)이 있는데, 겉보기에는 별거 아닌 항구 창고로 보이나, 내부 구조를 완전히 뜯어고쳐서 쇼핑몰이 되었다. 전체적으로 이것저것 파나, 여기서 파는 오르골도 오타루의 오르골만큼 유명한 편. 사실 하코다테 여행지와 도시기능의 거의 대부분은 하코다테 산을 위시한 서쪽 반도에 몰려있다고 보면 좋다.

교육[편집]

교통[편집]

시내 교통[편집]

시내의 대중교통은 크게 버스와 노면전차로 양분되는 편. 노면전차는 속도가 느린 편이지만, 하코다테 관광의 핵심인 서부 반도지역, 하코다테역, 고료가쿠, 쥬지가이[22], 유노카와 온천 모두를 관통하는데다 배차간격도 버스보다 짧으니 일본의 버스에 익숙지 않은 관광객이라면 이걸 타는 쪽이 편하다.

철도[편집]

홋카이도 최초의 철도인 하코다테 본선의 기점으로 오누마공원, 오샤만베로 가는 일반열차와 무로란, 삿포로시로 향하는 호쿠토 특급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하코다테역에서 출발하며 고료카쿠역에도 정차한다. 삿포로역까지 보통차 지정석 9,440엔(평시 기준)이다. Kitaca는 하코다테~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에서만 사용 가능. 또한 키코나이와 호쿠토시로 가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도 운행하고있다.

도쿄 및 아오모리 방면으로 홋카이도 신칸센이 운행하고 있으나 신하코다테호쿠토역까지 하코다테 라이너를 이용한 뒤 환승해야 한다.

공항[편집]

시가지 동쪽 끝에 하코다테 공항이 위치해, 도쿄, 오사카등 하코다테 바깥으로 가는 수요를 대부분 처리한다. 가장 가까운 시영전차 역으로부터 악 2km 거리이며, 시내로 가는 버스도 자주 운행하는 등 공항의 시내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삿포로까지는 전일본공수 계열사인 ANA 윙즈와 일본항공 계열사인홋카이도 에어 시스템이 취항하는데 ANA는 신치토세 공항행,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은 오카다마 공항행을 운항한다. 소요시간은 약 40분 정도로 짧고, 외국인 요금을 사용하면 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철도보다 더 합리적일 수 있다.

항만[편집]

하코다테항에서 아오모리무츠로 가는 페리가 운행되고 있다. 혼슈로 가는 방법 중 가장 저렴한 교통수단으로 세이칸 페리(일본어)와 츠가루 해협 페리(한국어)가 운행 중이다. 심야 시간대에도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항구와 시내 중심지 간 거리가 좀 있고 교통편이 끊겨있다는 점은 주의. 숙소를 항구 근처에 잡아두거나, 관광 시작 시간을 계산해 맞춰 타면 상당히 유용하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하코다테시 문서는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