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룸미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룸미러''' '''룸미러'''(room mirror)는 운전자가 차량 뒤쪽의 움직임을 잘 볼 수 있도록 차량 안쪽의 운...)
 
(개요)
4번째 줄: 4번째 줄:
  
 
==개요==
 
==개요==
 +
[[파일:룸미러 편광필터 레버 사용법.jpg|썸네일|300픽셀|'''룸미러 편광필터 레버 사용법''']]
 +
룸미러는 운전을 하면서 주기적으로 자동차의 뒷좌석이나 후속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옆으로 긴 원형에 모서리는 곡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모서리를 곡선으로 처리한 것은 거울이 떨어지거나 실수로 거울에 부딪힐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운전자가 뒤쪽을 보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룸미러를 맞출 때는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뒷유리 전체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야간 주행을 하다가 뒤에 오는 차량의 전조등이 너무 밝아 거슬릴 때는 룸미러를 조금 위쪽으로 올려 주는 것이 좋다. 이는 룸미러가 프리즘 구조여서 약간 위로 올려 주기만 하면 불빛은 줄어드는 대신, 뒤쪽은 그대로 보이는 특성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원래 장착된 룸미러 대신 사각(四角) 룸미러를 다는 경우가 있는데, 부딪혀 부상할 수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현재는 일반 룸미러의 기능에서 나아가 하이패스 장착이나, 후방카메라 모니터 기능, 나침판 장착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룸미러도 있다.
 +
 +
룸미러는 야간 운전자가 뒤쪽 차량의 빛이 계속 들어와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편광필터를 장착하고 중앙 하단에 밀고 당길 수 있는 레버가 달려 있으며 야간 주행 중 뒤차의 빛 반사 누부심이 심할 때 레버를 조작하면 반사면에 살짝 어두워지면서 빛반사가 사라진다. 좀 더 고급스러운 방식으로 ECM(electronic chromic mirror) 기능을 장착한 룸미러가 있다. ECM 룸미러는 뒤쪽 차량의 빛을 광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감지해 거울의 반사율을 낮추어 운전자의 눈부심 현상을 없애 준다. ECM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룸미러에 반사되는 빛의 양이 많아 눈부심 현상이 심하지만, 작동할 때는 빛의 양이 훨씬 줄어들어 눈부심 현상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 장치는 빛의 세기에 따라 저항값이 바뀌는 원리를 이용한 광센서, 거울 양쪽 끝에 전극을 심어 전류의 세기에 따라 어두워지는 후면경(後面鏡), 반사량을 조절하는 제어장치, 작동 또는 비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 미러에도 눈부심 방지 기능은 있지만, 수동으로 작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빛은 보이지만 사물이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34836&cid=40942&categoryId=32359 ECM]", 《네이버 지식백과》</ref><ref>마이라이드, 〈[https://myride.tistory.com/27 나도 몰랐던 기본 룸미러의 신박한 기능(눈부심 방지 각도조절기)]〉, 《티스토리》, 2018-11-09</ref>
  
 
==분류==
 
==분류==

2021년 8월 2일 (월) 15:37 판

룸미러

룸미러(room mirror)는 운전자가 차량 뒤쪽의 움직임을 잘 볼 수 있도록 차량 안쪽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중간 지점 바로 위쪽에 설치하는 거울로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라고도 한다. 룸미러와 사이드미러를 통틀어 백미러(back mirror)라고도 불리는데 정확한 명칭은 리어뷰미러(rear view mirror)이다.[1]

개요

룸미러 편광필터 레버 사용법

룸미러는 운전을 하면서 주기적으로 자동차의 뒷좌석이나 후속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옆으로 긴 원형에 모서리는 곡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모서리를 곡선으로 처리한 것은 거울이 떨어지거나 실수로 거울에 부딪힐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운전자가 뒤쪽을 보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룸미러를 맞출 때는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뒷유리 전체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야간 주행을 하다가 뒤에 오는 차량의 전조등이 너무 밝아 거슬릴 때는 룸미러를 조금 위쪽으로 올려 주는 것이 좋다. 이는 룸미러가 프리즘 구조여서 약간 위로 올려 주기만 하면 불빛은 줄어드는 대신, 뒤쪽은 그대로 보이는 특성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원래 장착된 룸미러 대신 사각(四角) 룸미러를 다는 경우가 있는데, 부딪혀 부상할 수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현재는 일반 룸미러의 기능에서 나아가 하이패스 장착이나, 후방카메라 모니터 기능, 나침판 장착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룸미러도 있다.

룸미러는 야간 운전자가 뒤쪽 차량의 빛이 계속 들어와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편광필터를 장착하고 중앙 하단에 밀고 당길 수 있는 레버가 달려 있으며 야간 주행 중 뒤차의 빛 반사 누부심이 심할 때 레버를 조작하면 반사면에 살짝 어두워지면서 빛반사가 사라진다. 좀 더 고급스러운 방식으로 ECM(electronic chromic mirror) 기능을 장착한 룸미러가 있다. ECM 룸미러는 뒤쪽 차량의 빛을 광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감지해 거울의 반사율을 낮추어 운전자의 눈부심 현상을 없애 준다. ECM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룸미러에 반사되는 빛의 양이 많아 눈부심 현상이 심하지만, 작동할 때는 빛의 양이 훨씬 줄어들어 눈부심 현상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 장치는 빛의 세기에 따라 저항값이 바뀌는 원리를 이용한 광센서, 거울 양쪽 끝에 전극을 심어 전류의 세기에 따라 어두워지는 후면경(後面鏡), 반사량을 조절하는 제어장치, 작동 또는 비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 미러에도 눈부심 방지 기능은 있지만, 수동으로 작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빛은 보이지만 사물이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2][3]

분류

각주

  1. 룸미러〉, 《네이버 지식백과》
  2. "ECM", 《네이버 지식백과》
  3. 마이라이드, 〈나도 몰랐던 기본 룸미러의 신박한 기능(눈부심 방지 각도조절기)〉, 《티스토리》, 2018-11-09

참고자료

  • 룸미러〉,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룸미러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