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신도심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도심

신도심(新都心)이란 새로 형성된 도시의 모든 부분에서 접근성이 가장 좋으며, 도시 활동의 중심적 기능을 담당하는 지역을 말한다.[1][2]

개요[편집]

신도심은 여러 요소를 종합하여 최우선인 지역주민 생활권의 핵심이 되는 도시의 단 하나의 중심 공간이다. 신도심이 반드시 도시의 상업적인 중심을 맡는것은 아니다. 도시의 상업적인 중심은 중심업무지구(CBD: Central Business District)로 불리며 이 지역은 대체로 도심과 일치하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도심 구역에는 상업시설과 관공서, 기업 건물 등이 몰려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북미 영어에선 도심을 주로 downtown이라고 부르며 주거 지역을 uptown이라고 부르는 것과 대조적이다. 일반적으로 해당 용어가 남부 저지대에서 시작해 북부 고지대로 성장한 뉴욕 맨해튼의 발달 역사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해당 용어가 맨 처음 쓰인 것은 오히려 보스턴 시내를 일컫는 데 쓰인 기록이 남아 있다. 그래서 해당 용어가 강이나 바다를 낀 저지대를 중심으로 도시의 상공업 기능이 형성되는 점을 반영했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북미가 아닌 유럽에서도 이러한 용어 사용의 예를 보여주는 곳이 포르투갈도시인 리스본, 포르투, 코임브라로, 해당 도시들은 강가에 바이샤(Baixa, 말그대로 저지대)라는 상공업 중심지, 알타(Alta, 고지대)라는 정치적, 종교적, 주거 기능지를 중심으로 한 구조를 보여주고, 아테네(저지대 상공업-고지대의 파르테논), 로마(저지대 포럼-고지대 신전), 한양(종로 시전-산자락의 왕궁) 등 저지대가 도시의 상공업 중심지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아 특정 도시에서 유래한 표현이라기보다는, 뉴욕이라는 도시를 통해 널리 퍼졌다고 볼 수 있다.

정치, 행정정책에 따라 뉴타운, 신도시 등을 만들게 되면 이것이 차후 커져 부도심이 되고 더욱 발전하여 여러 영향력이 기존 도심을 압도하게 되면 기존 도심의 역할을 이어 받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때 이 부도심은 신도심이 되며 기존 도심은 구도심이 되어 부도심급으로 격하된다.

일정 규모 이상의 대도시에서는 도심 외에도 근교 또는 도시 내부로 통하는 간선교통망이 교차하는 곳에서 지가가 상승하여 상업-업무지구가 들어서 도심에 준하는 기능으로 작동하는 곳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를 부도심이라고 한다.

오래된 도시의 경우 구도심이라 불리는 상대적으로 낙후된 슬럼 구역이 있는데, 이는 몇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그중 하나로는 치솟은 도심의 땅값 또는 임대료를 버티지 못해 시설들이 외곽으로 하나둘 빠져나가 공동화되는 경우를 꼽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시 자체가 인구유출로 상권을 잃어 쇠락한다거나 행정당국에서 기존 도심 재개발에 한계를 느끼고 정책적으로 근처에 계획도시를 새로 건설하며 자연스레 잊히는 등의 다른 이유들이 있다. 물론 이런 구도심이 재개발되어 다시 살아나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부산의 남포동 지역.

신도심은 개발이 진행될수록 땅값이 치솟아 일반인이 거주지역으로 삼아 새로 유입되기에는 매우 부적절해지며, 기존 주민들 또한 치솟은 땅값에 반응해 도심의 집을 팔고 거액을 만지며 외곽지대로 떠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심에는 주거지구의 씨가 마르게 되며 접근성 좋은 근처 베드타운에서 통근하거나 오락시설을 방문하는 외지인만이 남게 되는데, 이들이 낮에 도심으로 몰려들고 밤에 집으로 돌아가 도심이 비어버리는 현상을 도심 공동화라고 한다.

단일 도심을 갖는 대부분의 지방 도시 주민들은 도심 대신 시내라는 동의어를 쓰기도 하는데, 서울이나 부산같이 도심 못지않게 부도심이 발달한 대도시에서 나고 자란 지역 주민들은 복수의 (부)도심을 갖는 도시를 당연시하고 살아왔기 때문에 '시내'는 시 경계 안쪽, '시외'는 시 경계 바깥쪽을 뜻하기 때문에 '시내'와 '도심'을 같은 뜻으로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예로 서울시민들은 '서울 도심'이라는 말 대신 종로, 명동, 사대문안, 한양도성, 영등포, 여의도, 강남 등의 지역명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부산시민들도 '부산 도심'이라는 말 대신 해운대, 남포동, 서면, 연산동, 동래, 광안리, 센텀시티 등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물론 '서울 도심'이 종로나 명동으로 불리는 만큼, '부산 도심'은 서면으로 불린다.

지하철은 거의 신도심을 관통하는 노선이다. 그만큼 교통의 요지이자 교통이 편리한 곳이다. 그러나 그것과는 별개로 도시의 교통량이 모두 모이는 곳이므로 교통 체증이 극심한 곳이다.[3]

역사[편집]

최초의 신도심은 서기전 3000년의 인도와 이집트에서도 나타났고, 플라톤(Platon)과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가 제시한 ‘당대에 알맞은 단결된 사회단위로서 적정규모나 자급자족할 수 있는 완전도시’의 사상 속에서도 그 뿌리를 찾을 수 있으나, 보다 구체적인 것으로는 산업혁명 이전 토마스 모어(Thomas More)의 유토피아(utopia)를 들 수 있다.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신도시는 하워드의 전원도시 구상에서 정리되어 제시되었다.

18세기 중엽부터 시작된 산업화 경향은 도시화 현상을 촉진 시켰으며 이로 인한 급속한 도시 발전은 근대화 및 인류문명을 획기적으로 변혁시켰다. 그러나 도시화와 더불어 다양한 부정적 결과인 주택난, 실업, 범죄증가, 공해문제, 혼잡, 과밀 등과 같은 도시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도시문제를 해결하면서 도시질서와 생활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전원도시 운동(Garden City Movement)이나 신도시 개발 이상(New Town Idea)이 전개되기에 이르렀다.

게데스(P. Geddes)는 도시의 생활환경을 물리적인 것으로만 해결할 수 없고, 환경이라는 차원에서 경제적·사회적으로 통합하여 해결하여야 한다고 하며, 대규모의 통합도시계획의 필요성을 요구했다. 이러한 선구자적 제안을 바탕으로 1899년 영국의 하워드는 전원도시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전원도시협회를 설립하고, 1902년 전원도시의 미래(Garden City of Tomorrow)를 출간하여 전원도시계획구상을 구체화하였다.

하워드의 전원도시 계획안은 큰 반향을 일으켜 1913년 각국에서 전원협회 구성과 함께 국제기구가 형성되었고, 이는 신도심 개발과 위성도시개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현대에 와서 신도심 개발은 1944년 아버크롬비(Abercrombie)가 하워드의 도시계획개념을 바탕으로 영국 런던의 과밀인구를 분산시키고 도시의 비대화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런던개발제한구역(Green belt) 외곽에 10개 신도시를 건설하자는 대런던계획(Greater London Plan)을 제안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 안은 레이스위원회의 검토가 있은 다음 1946년에 세계 최초로 신도시법(New Town Act)이 제정되어 정부의 재정적·행정적 지원과 제도적 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4]

서울의 신도심 용산[편집]

서울시가 용산을 미래 신도심으로 개발하기 위한 지구단위계획 밑그림 작업에 착수한다. 용산을 3도심(도심, 여의도ㆍ영등포, 강남)의 중심부로 조성할 기본구상과 실행계획도 수립한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및 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 발표와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용산공원 조성 가시화 등 대규모 여건 변화에 따른 종합적인 기본 구상이다. 사업비는 5억 원, 과업 기간은 18개월로 짜였다.

서울시는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통해 용산을 3도심의 기능적 연계를 지원하는 공간이자, 국가상징거점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도시변화에 따른 용산의 입지와 기본계획 검토 및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혁신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게 목표다.

이를 통해 남산∼용산공원∼한강을 연결할 녹지축 조성 및 보행로 연결 방안과 용산공원 주변지역 녹지 및 수변공간 조성ㆍ관리 방안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경부선ㆍ경의선 주변 국공유지 활용 방안과 보행이 단절된 경의선 숲길과 전자상가를 잇는 녹지ㆍ보행공간 연결 방안 등도 포함됐다. 만초천 등 옛 물길을 복원하고, 수변길을 활용하는 구상도 더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기반시설 정비 분야에는 대규모 사업 추진 시 발생하는 공공기여를 통한 재정 확보 방안을 제시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용산 관련개발 주요 사업은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용산 게이트웨이 조성 기본 구상 등이 있다.

서울 3도심(도심, 여의도ㆍ영등포, 강남)을 연결하는 중심부이자 서울의 마지막 대규모 가용지인 용산정비창 일대를 최대 용적률 1700%(평균 900%)까지 끌어올리는 동시에 ICT, AI 등 첨단기술을 융합한 복합도시로 개발하는 방안을 꺼냈다.

과업은 ‘용산공원∼용산역∼용산국제업무지구∼한강’으로 연결되는 보행ㆍ녹지축을 완성하고, ‘광화문∼서울역∼용산∼한강’을 잇는 국가상징가로와 만나는 지점에 다양한 문화 공간 조성 및 상징성을 높이는 게 목표다.[5]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신도심〉, 《네이버 국어사전》
  2. 도시 중심부〉, wordrow
  3. 도심〉, 《나무위키》
  4. 신도시〉,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한형용 기자, 〈미래 신도심 ‘용산’…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수립 착수〉, 《대한경제》, 2023-06-08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신도심 문서는 지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