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내장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개요)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내장재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용어로, 주로 건축물의 내부에 대한 마무리와 장식을 하는데 쓰는 재료를 말한다. 내부공간의 기능과 요구되는 각 성능을 충족시키며, 쾌적한 실내환경을 얻기 위한 소재로서, 풍우(風雨) ·한서 ·일사(日射) ·불 ·열 ·소음의 차단구실을 한다. 내장은 그 공법과 사용재료에 따라 구조체 자체로서 내장을 겸하게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구조체와는 별도로 붙이거나 발라 마무리한다. 대부분 각종 소재로 된 판형재료(板形材料)가 주가 되어 면을 이루게 하는 것이 많으며, 이들의 내구성 ·질감(質感) ·촉감 등 각종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는 것이어야 한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5902&cid=40942&categoryId=32338 내장재]〉, 《네이버 지식백과》 </ref> 자동차에서도 내장재의 의미는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자동차의 내부를 마무리하거나 장식하기 위한 재료를 의미한다. 주로 플라스틱 또는 섬유를 사용해 인테리어의 품질을 높이고, 사고가 났을 때 충격과 마찰을 줄여 상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ref> 현대자동차그룹, 〈[https://news.hmgjournal.com/TALK/%EC%95%8C%EC%95%84%EB%91%90%EB%A9%B4-%EC%93%B8%EB%8D%B0%EC%9E%88%EB%8A%94-%EC%9E%90%EB%8F%99%EC%B0%A8-%EC%9A%A9%EC%96%B4-%EC%82%AC%EC%A0%84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자동차 용어 사전]〉, 《현대자동차그룹홈페이지》, 2020-02-27 </ref>
+
내장재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용어로, 주로 건축물의 내부에 대한 마무리와 장식을 하는데 쓰는 재료를 말한다. 내부공간의 기능과 요구되는 각 성능을 충족시키며, 쾌적한 실내환경을 얻기 위한 소재로서, 풍우(風雨) · 한서 · 일사(日射) ·불 ·열 ·소음의 차단구실을 한다. 내장은 그 공법과 사용재료에 따라 구조체 자체로서 내장을 겸하게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구조체와는 별도로 붙이거나 발라 마무리한다. 대부분 각종 소재로 된 판형재료(板形材料)가 주가 되어 면을 이루게 하는 것이 많으며, 이들의 내구성 ·질감(質感) ·촉감 등 각종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는 것이어야 한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5902&cid=40942&categoryId=32338 내장재]〉, 《네이버 지식백과》 </ref> 자동차에서도 내장재의 의미는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자동차의 내부를 마무리하거나 장식하기 위한 재료를 의미한다. 주로 플라스틱 또는 섬유를 사용해 인테리어의 품질을 높이고, 사고가 났을 때 충격과 마찰을 줄여 상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ref> 현대자동차그룹, 〈[https://news.hmgjournal.com/TALK/%EC%95%8C%EC%95%84%EB%91%90%EB%A9%B4-%EC%93%B8%EB%8D%B0%EC%9E%88%EB%8A%94-%EC%9E%90%EB%8F%99%EC%B0%A8-%EC%9A%A9%EC%96%B4-%EC%82%AC%EC%A0%84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자동차 용어 사전]〉, 《현대자동차그룹홈페이지》, 2020-02-27 </ref>
  
 
== 사용되는 부품 ==
 
== 사용되는 부품 ==

2021년 10월 12일 (화) 15:11 판

내장재(內裝材)는 내부 공간의 기능과 요구되는 각 성능을 충족시키며, 쾌적한 실내 환경을 얻기 위한 소재로서, 풍우(風雨) ·한서 ·일사(日射) ·불 ·열 ·소음의 차단구실을 한다. 자동차에서는 자동차의 내부를 마무리하거나 장식하기 위한 재료를 의미한다. 대시보드, 천장, 시트, 플로어매트에 사용된다.

개요

내장재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용어로, 주로 건축물의 내부에 대한 마무리와 장식을 하는데 쓰는 재료를 말한다. 내부공간의 기능과 요구되는 각 성능을 충족시키며, 쾌적한 실내환경을 얻기 위한 소재로서, 풍우(風雨) · 한서 · 일사(日射) ·불 ·열 ·소음의 차단구실을 한다. 내장은 그 공법과 사용재료에 따라 구조체 자체로서 내장을 겸하게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구조체와는 별도로 붙이거나 발라 마무리한다. 대부분 각종 소재로 된 판형재료(板形材料)가 주가 되어 면을 이루게 하는 것이 많으며, 이들의 내구성 ·질감(質感) ·촉감 등 각종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는 것이어야 한다.[1] 자동차에서도 내장재의 의미는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자동차의 내부를 마무리하거나 장식하기 위한 재료를 의미한다. 주로 플라스틱 또는 섬유를 사용해 인테리어의 품질을 높이고, 사고가 났을 때 충격과 마찰을 줄여 상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2]

사용되는 부품

헤드라이너

도어트림

햇빛가리개

펜더

각주

  1. 내장재〉, 《네이버 지식백과》
  2. 현대자동차그룹,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자동차 용어 사전〉, 《현대자동차그룹홈페이지》, 2020-02-27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내장재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