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김대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약력)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김대훈.jpg|썸네일|300픽셀|'''김대훈''']]
 
[[파일:김대훈.jpg|썸네일|300픽셀|'''김대훈''']]
 +
[[파일:㈜아이리텍인크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아이리텍'''(Iritech)]]
  
'''김대훈'''또는 '''다니엘 김'''(Daniel Kim)은 고성능 홍채인식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보유한 '''[[㈜아이리텍인크]]'''(Iritech)의 대표이다. 이리테크에서 근무하기 전에 한국과학기술원, 메이요 클리닉 생명공학연구단, 한국국방개발원 등에서 근무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또한 [[서울대학교]]와 [[카이스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
'''김대훈'''또는 '''다니엘 김'''(Daniel Kim)은 고성능 홍채인식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보유한 '''[[㈜아이리텍인크]]'''(Iritech.Inc)의 대표이다. 이리테크에서 근무하기 전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메이요 클리닉 생명공학연구단, 한국국방개발원 등에서 근무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또한 [[서울대학교]]와 [[카이스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
 
 +
== 생애 ==
 +
1980년대 중반, 그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를 다니던 당시 '홍채인식 기술'을 처음으로 접하게 된다. 이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연구 활동 도중 한국과 러시아 수교를 계기로 한·러 과학기술협력센터 소장으로서 러시아에 방문하게 된 그는 본격적인 홍채인식 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된다. 홍채는 영원불변하다는 기존의 인식을 깨기 위해 그는 홍채의 변화 패턴을 추가하여 정확도가 높은 시스템을 고안하게 되었고, 이후 1999년 4월 특허를 출원하게 되었으며 11월에는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한 의료기기 전시회 "메디카 2000"에서 해당 시스템을 적용한 제품을 선보이게 된다. 그렇게 여러 단계를 거친 끝에 2000년 11월에는 ㈜아이리텍인크를 설립하게 된다.
  
 
== 약력 ==
 
== 약력 ==
서울대학교 전자공학 전공
+
* 서울대학교 전자공학 학사
 +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전자공학 박사
 +
* 카이스트 전자공학 박사
  
카이스트 전자공학 전공
+
== 주요 활동 ==
 +
=== ㈜이이리텍인크 ===
 +
㈜이이리텍인크는 한국의 홍채인식 기술 전문 기업으로써 기존의 지문, 손바닥, 정맥 및 얼굴과 같은 여러 생체 인식 기술을 보완해 나온 홍채인식을 기반한 보안 [[시스템]]을 다루고 있다. 즉, 사람마다 각자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안구의 홍채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기술인 것이다. 홍채는 다른 생체 인식 기술과 다르게 접촉을 하지 않아도 되며 지문보다 많은 고유 [[패턴]]을 가지고 있고,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해도 정확히 인식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생애 ==
+
=== 행사 ===
1980년대 중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를 다니던 도중 '홍채인식 기술'을 처음으로 접하게 된 그는 30년을 가까이 홍채인식 시스템 연구에 빠지게 된다. 홍채인식 기술은 지문, 손바닥, 정맥 얼굴과 같은 여러 생체 인식 기술에 이어 나온 보안 시스템이다. 사람마다 각자 고유한 특성을 가진 안구의 홍채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기술인 것이다. 홍채는 다른 생체 인식 기술과 다르게 접촉을 하지 않아도 되며,
+
* '''[[제3회 몰타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써밋]]'''
홍채인식기술은 현재 일부 쓰이는 지문인식기술에 이어 나온 보안 시스템으로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 안구의 홍채 정보를 이용해 사람을 인식하는 기술로 지난 1980년대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소개됐다.
+
: 제3회 몰타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써밋은 한국 기업을 중심으로 [[몰타]]에서 진행된 [[블록체인]] 행사로서 [[인공지능]](AI), [[핀테크]], [[암호화폐 거래소]] 등과 관련되어 몰타의 [[비즈니스]] 진출을 위한 네트워킹 밋업이었다. 해당 행사에서 김대훈 대표는 인공지능 블록체인(AIBC-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chain) 써밋의 중요 연설자로서 홍채인식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를 소개했다.<ref>〈[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1910040240&t=NN IriTech 과 SIGMA 와의 협약 내용]〉, 《한국경제TV》, 2019-10-04</ref>
  
홍채는 지문보다 많은 고유한 패턴을 가지고 있고,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해도 정확히 인식할 수 있고 지문을 채취할때 처럼 접촉을 하지 않아도 돼 거부감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
{{각주}}
  
==주요 활동==
+
== 참고자료 ==
===㈜이이리텍인크===
+
* 장경영 기자,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00122697231 (VC추천 유망벤처) '아이리텍' .. '홍채인식 기술' 러와 개발]〉, 《한국경제》, 2000-12-27
 +
*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1910040240&t=NN IriTech 과 SIGMA 와의 협약 내용]〉, 《한국경제TV》, 2019-10-04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아이리텍]]
+
* [[㈜아이리텍인크]]
 
* [[블록체인]]
 
* [[블록체인]]
 
* [[핀테크]]
 
* [[핀테크]]
* [[사물인터넷]]
+
* [[암호화폐]]
  
 
{{기업인|토막글}}
 
{{기업인|토막글}}

2020년 4월 23일 (목) 10:20 판

김대훈
아이리텍(Iritech)

김대훈또는 다니엘 김(Daniel Kim)은 고성능 홍채인식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보유한 ㈜아이리텍인크(Iritech.Inc)의 대표이다. 이리테크에서 근무하기 전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메이요 클리닉 생명공학연구단, 한국국방개발원 등에서 근무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또한 서울대학교카이스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생애

1980년대 중반, 그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를 다니던 당시 '홍채인식 기술'을 처음으로 접하게 된다. 이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연구 활동 도중 한국과 러시아 수교를 계기로 한·러 과학기술협력센터 소장으로서 러시아에 방문하게 된 그는 본격적인 홍채인식 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된다. 홍채는 영원불변하다는 기존의 인식을 깨기 위해 그는 홍채의 변화 패턴을 추가하여 정확도가 높은 시스템을 고안하게 되었고, 이후 1999년 4월 특허를 출원하게 되었으며 11월에는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한 의료기기 전시회 "메디카 2000"에서 해당 시스템을 적용한 제품을 선보이게 된다. 그렇게 여러 단계를 거친 끝에 2000년 11월에는 ㈜아이리텍인크를 설립하게 된다.

약력

주요 활동

㈜이이리텍인크

㈜이이리텍인크는 한국의 홍채인식 기술 전문 기업으로써 기존의 지문, 손바닥, 정맥 및 얼굴과 같은 여러 생체 인식 기술을 보완해 나온 홍채인식을 기반한 보안 시스템을 다루고 있다. 즉, 사람마다 각자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안구의 홍채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기술인 것이다. 홍채는 다른 생체 인식 기술과 다르게 접촉을 하지 않아도 되며 지문보다 많은 고유 패턴을 가지고 있고,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해도 정확히 인식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행사

제3회 몰타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써밋은 한국 기업을 중심으로 몰타에서 진행된 블록체인 행사로서 인공지능(AI), 핀테크, 암호화폐 거래소 등과 관련되어 몰타의 비즈니스 진출을 위한 네트워킹 밋업이었다. 해당 행사에서 김대훈 대표는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AIBC-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chain) 써밋의 중요 연설자로서 홍채인식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를 소개했다.[1]

각주

  1. IriTech 과 SIGMA 와의 협약 내용〉, 《한국경제TV》, 2019-10-04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김대훈 문서는 기업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