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테디 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 콘텐츠 프로토콜 ===
 
=== 콘텐츠 프로토콜 ===
'''[[콘텐츠 프로토콜]]'''은 프리미엄 콘텐츠 산업을 위한 가치 교환 규약이다. 콘텐츠 프로토콜의 가치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더욱 커져가는 중이며 그 유통 과정에서 모든 참여자들은 새로운 보상을 얻을 수 있다.<ref name="콘텐츠프로토콜"> 콘텐츠 프로토콜,〈[https://contentsprotocol.io/ko/index.html#contents_protocol_section]〉, 2019년 3월</ref> [[왓챠]]의 콘텐츠 프로토콜은 영화·드라마 제작자와 투명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고 사용자들에게는 서비스 사용 및 [[데이터]] 제공에 따른 보상 지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왓챠의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이 추천, 평점, 리뷰 등의 활동을 하게 되면 이 내역이 블록체인에 기록되면서 기여도에 따라 보상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동시에 콘텐츠 공급 회사들에게는 투명한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동영상 서비스 생태계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사는 몇 명의 인원이 어디서 어떻게 콘텐츠를 소비하였는 지 알 수 있으며 콘텐츠 소비에 이탈이 발생하면 관련 데이터를 이용해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ref>김상우 기자,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678857&memberNo=31875496&vType=VERTICAL 업비트, 한국판 넷플릭스 '왓챠' CPT 지급 이벤트]〉, 《CBC뉴스》</ref> 콘텐츠 프로토콜의 핵심 개념은 '''사용자 보상'''이라 할 수 있는데, 기존의 콘텐츠 소비 활동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보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보상은 정보 서비스의 사용자가 되어 평가 활동을 통해 받거나 콘텐츠를 감상하는 활동, 특정 서비스에 [[암호화폐]]를 예치하는 활동 등을 통해 받을 수 있다.
+
'''[[콘텐츠 프로토콜]]'''은 프리미엄 콘텐츠 산업을 위한 가치 교환 규약이다. 콘텐츠 프로토콜의 가치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더욱 커져가는 중이며 그 유통 과정에서 모든 참여자들은 새로운 보상을 얻을 수 있다.<ref name="콘텐츠프로토콜"> 콘텐츠 프로토콜,〈[https://contentsprotocol.io/ko/index.html#contents_protocol_section]〉, 2019년 3월</ref> [[왓챠]]의 콘텐츠 프로토콜은 영화·드라마 제작자와 투명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고 사용자들에게는 서비스 사용 및 [[데이터]] 제공에 따른 보상 지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왓챠의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이 추천, 평점, 리뷰 등의 활동을 하게 되면 이 내역이 블록체인에 기록되면서 기여도에 따라 보상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동시에 콘텐츠 공급 회사들에게는 투명한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동영상 서비스 생태계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사는 몇 명의 인원이 어디서 어떻게 콘텐츠를 소비하였는 지 알 수 있으며 콘텐츠 소비에 이탈이 발생하면 관련 데이터를 이용해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ref>김상우 기자,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678857&memberNo=31875496&vType=VERTICAL 업비트, 한국판 넷플릭스 '왓챠' CPT 지급 이벤트]〉, 《CBC뉴스》</ref> 콘텐츠 프로토콜의 핵심 개념은 '''사용자 보상'''이라 할 수 있는데, 기존의 콘텐츠 소비 활동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보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보상은 정보 서비스의 사용자가 되어 평가 활동을 통해 받거나 콘텐츠를 감상하는 활동, 특정 서비스에 [[암호화폐]]를 예치하는 활동 등을 통해 받을 수 있다. 현재 콘텐츠 프로토콜의 파트너는 [[블록크래프터스 캐피탈]], [[해쉬드]], [[시그넘]], [[오케이엑스]], [[애링턴]], [[카카오벤쳐스]] 등이 존재하고 있다.
 +
 
 +
=== 왓챠 ===
 +
'''[[왓챠]]'''(Watcha)는 사용자가 영화, 도서, TV 프로그램 등을 평가한 뒤, 개인 맞춤형으로 추천을 받는 서비스이다. 450만명의 회원으로부터 총 4억개의 평가가 누적 되었으며 1명의 사용자가 평균 100개 이상의 작품을 평가한다. 2013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왓챠'를 출시한 후 현재 2배 이상의 연매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ref name="콘텐츠프로토콜"></ref>
  
  

2019년 3월 11일 (월) 16:32 판

테디 리(Teddy Lee)는 왓챠(Watcha)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스(Frograms) 회사가 만든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콘텐츠프로토콜토큰(CPT; Contents Protocol Token)의 공동 창시자 겸 최고 기술 책임자(CTO)이다.

학력

  •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약력

  • 넥슨의 메이플 스토리 대만 및 홍콩 서비스 개발자
  • 콘텐츠프로토콜토큰의 CTO 및 공동 창업자

주요 활동

콘텐츠 프로토콜

콘텐츠 프로토콜은 프리미엄 콘텐츠 산업을 위한 가치 교환 규약이다. 콘텐츠 프로토콜의 가치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더욱 커져가는 중이며 그 유통 과정에서 모든 참여자들은 새로운 보상을 얻을 수 있다.[1] 왓챠의 콘텐츠 프로토콜은 영화·드라마 제작자와 투명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고 사용자들에게는 서비스 사용 및 데이터 제공에 따른 보상 지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왓챠의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이 추천, 평점, 리뷰 등의 활동을 하게 되면 이 내역이 블록체인에 기록되면서 기여도에 따라 보상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동시에 콘텐츠 공급 회사들에게는 투명한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동영상 서비스 생태계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사는 몇 명의 인원이 어디서 어떻게 콘텐츠를 소비하였는 지 알 수 있으며 콘텐츠 소비에 이탈이 발생하면 관련 데이터를 이용해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2] 콘텐츠 프로토콜의 핵심 개념은 사용자 보상이라 할 수 있는데, 기존의 콘텐츠 소비 활동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보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보상은 정보 서비스의 사용자가 되어 평가 활동을 통해 받거나 콘텐츠를 감상하는 활동, 특정 서비스에 암호화폐를 예치하는 활동 등을 통해 받을 수 있다. 현재 콘텐츠 프로토콜의 파트너는 블록크래프터스 캐피탈, 해쉬드, 시그넘, 오케이엑스, 애링턴, 카카오벤쳐스 등이 존재하고 있다.

왓챠

왓챠(Watcha)는 사용자가 영화, 도서, TV 프로그램 등을 평가한 뒤, 개인 맞춤형으로 추천을 받는 서비스이다. 450만명의 회원으로부터 총 4억개의 평가가 누적 되었으며 1명의 사용자가 평균 100개 이상의 작품을 평가한다. 2013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왓챠'를 출시한 후 현재 2배 이상의 연매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1]


향후 계획

각주

  1. 1.0 1.1 콘텐츠 프로토콜,〈[1]〉, 2019년 3월
  2. 김상우 기자, 〈업비트, 한국판 넷플릭스 '왓챠' CPT 지급 이벤트〉, 《CBC뉴스》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테디 리 문서는 암호화폐 창시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