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황위 (천문)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황도좌표계의 황경과 황위.(출처: 장헌영/이상성/한국천문학회)

황위(黃緯)는 황도좌표위도를 말한다. 황도는 0도, 북극은 +90도, 남극은 -90도이다.

개요[편집]

황위는 황도좌표계에서 황도면천체가 이루는 각의 거리를 말한다. 즉, 태양계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만든 황도좌표계(ecliptic coordinate system)에서 쓰는 좌표값 가운데 하나로서 황도면에서 천체까지 측정한 각거리이다. 0°에서 90°까지 측정하며, 황도면 북쪽의 천체에 대해서는 +, 남쪽의 천체에 대해서는 -기호를 붙인다. 황도면을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한 천체에 대해서는 + 기호를, 남쪽에 위치한 천체에 대해서는 -기호를 붙여 0°에서 90°까지 측정한다. 황도를 기준으로 하여 천체의 위치를 나타낼 때, 황경(黃經)과 함께 사용한다. 태양··행성의 황위는 모두 작다.

황위를 나타내는 기호는 B 또는 b이다. 황도좌표계의 중심으로 관측자 혹은 태양을 쓰며, 지구중심 좌표계일 때 황경은 B로, 태양 중심일 때에는 b로 표시한다. 지구의 세차운동은 지구 적도면이 황도면과 기울어져 발생하는 효과이다. 지구자전축이 약 2만5천800년을 주기로 한바퀴 돌면 적도면과 황도면이 만나는 춘분점이 1년에 50.25″ 움직여 역기점(epoch)이 이동한다. 그러나 황위의 기준이 되는 황도면은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장동(nutation)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고정된 별의 황위는 황경과 달리 세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1][2]

황도좌표[편집]

황도좌표(黃道座標, ecliptic coordinates)는 황도춘분점을 기준으로 천구(天球) 위에 천체위치를 나타내는 구면(球面) 좌표를 말한다. 춘분점에서 황도를 따라서 동쪽으로 0도에서 360도까지 재어 황경(黃經)이라 하고, 황도에서 북쪽으로 0도에서 90도까지, 남쪽으로 0도에서 -90도까지 재서 황위(黃緯)라 한다. 황도좌표란 천구상에서 황도를 기준으로 하여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좌표를 말하며 지구의 중심에서 본 경우 지심황도좌표계라 하고 태양의 중심에서 본 경우를 일심황도좌표계라고 한다. 이 좌표로 표시되는 좌표계황도좌표계라 하며, 적도좌표계를 23.5° 경사시킨 것과 같다. 황도좌표계에서는 황도면과, 황도·적도의 교점인 춘분점(春分點)을 기준으로 하여 황경(黃經)·황위(黃緯)로 좌표를 나타낸다. 황경은 춘분점부터 황도상을 동쪽으로 0°에서 360°까지 재고, 천체와 황도면이 이루는 각인 황위는 북과 남으로 +와 -기호를 붙여서 0°에서 90°까지 잰다. 일반적으로 태양계 내의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쓰며, 지구의 중심에서 본 경우를 지심(地心)황도좌표계, 태양의 중심에서 본 경우를 일심(日心)황도좌표계라 한다.[3]

황도[편집]

황도(黃道, ecliptic)는 태양의 둘레를 도는 지구의 궤도가 천구(天球)에 투영된 궤도를 말한다. 천구의 적도면(赤道面)에 대하여 황도는 약 23도 27분 기울어져 있으며, 적도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춘분점, 추분점이라 한다. 황도는 지구에서 보기에 태양이 하늘을 1년에 걸쳐 이동하는 경로로, 황도좌표계의 기준이다. 또한, 황도는 태양이 연주운동을 하면서 천구상의 별자리 사이를 지나가는 길을 말한다. 천구의 적도와는 23.5° 기울어져 있어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일치한다. 황도는 근소하지만 다른 행성으로부터의 영향으로 조금씩 변한다.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므로 황도면은 지구의 공전면공면점 관계이다. 지구 표면에서는 일출과 일몰 등 태양의 일주 운동이 존재하여 배경 항성에 대한 움직임을 가리기 때문에, 황도를 일반 관측자가 알아채기는 쉽지 않다.

태양의 궤도면은 평면이 아니지만, 평면이라 보고 그 평균궤도면을 황도면(黃道面)이라고 한다. 이것은 적도면과 23° 27'쯤 기울어 있고, 황도상의 적도를 가로지르는 두 점이 춘분점과 추분점이다. 황도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를 황도좌표계라 하며, 행성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편리하다. 행성의 궤도면이 황도면과 이루는 각을 황도경사(黃道傾斜)라고 한다. 황도는 근소하지만 다른 행성으로부터의 영향으로 조금씩 변한다. 달의 궤도면인 백도면(白道面)과는 5° 9' 기울어 있다. 황도상의 태양의 위치를 전체 4등분하여 춘분, 하지, 추분, 동지점을 표시한다. 춘분점은 3월 21일경으로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다가 천구의 적도와 만나는 점이고, 하지점은 6월 22일경으로 태양이 천구의 적도에서 북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점이다. 추분점은 9월 23일경으로 태양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다가 천구의 적도와 만나는 점을 말하며, 동지점은 12월 22일경으로 태양이 천구의 적도에서 남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점을 말한다.[4][5][6]

황도좌표계[편집]

황도좌표계(黃道座標系)는 황도와 춘분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계를 말한다. 즉, 황경과 황위로 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계를 말한다. 이러한 황도 좌표계는 지구 공전궤도면과 천구면이 만나서 만드는 황도를 기준하며, 태양계 내의 행성들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편리하다. 태양계 내의 행성들과 달, 태양은 상대적으로 위치가 지구와 가까워 황도상의 지구 위치에 따라 좌표가 조금씩 다르다.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궤도면은 천구의 적도와 23.5°만큼 기울어져 있고, 황도와 천구의 적도는 두 교점(춘분점과 추분점)에서 교차하는데, 천문학에서는 이들 중에서 춘분점을 황도의 기준점으로 사용하고 있다.

황경과 황위

황도좌표천구상에서 황도를 기준으로 하여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좌표를 말하며 지구의 중심에서 본 경우 지심황도좌표계라 하고 태양의 중심에서 본 경우를 일심황도좌표계라고 한다. 이 좌표로 표시되는 좌표계를 황도좌표계라 하며, 적도좌표계를 23.5° 경사시킨 것과 같다. 황도좌표계에서는 황도면과, 황도 ·적도의 교점인 춘분점(春分點)을 기준으로 하여 황경(黃經)·황위(黃緯)로 좌표를 나타낸다. 황경은 춘분점부터 황도상을 동쪽으로 0°에서 360°까지 재고, 천체와 황도면이 이루는 각인 황위는 북과 남으로 +와 -기호를 붙여서 0°에서 90°까지 잰다. 일반적으로 태양계 내의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쓰며, 지구의 중심에서 본 경우를 지심(地心)황도좌표계, 태양의 중심에서 본 경우를 일심(日心)황도좌표계라 한다.

황도좌표는 적도좌표와 마찬가지로 황경(黃經)과 황위(黃緯)를 이용하여 위치를 나타낸다. 황경과 황위는 모두 도·분·초로 나타낸다.

  • 황경은 황도 좌표의 경도(經度)로, 천체에서 황도로 내리그은 수선과 황도와의 교점까지 측정한 각거리이다. 춘분점을 기점으로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0도에서 360도까지 측정한다.
  • 황위는 황도 좌표의 위도(緯度)로, 황도면과 천체가 이루는 각의 거리이다. 황도면을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한 천체에 대해서는 + 기호를, 남쪽에 위치한 천체에 대해서는 -기호를 붙이고, 0도에서 90도까지 측정한다.

24절기에서의 황위와 황경

절기에 상관없이 태양의 황위는 대략 0°이다. 황도 좌표계의 기준이 태양이 지나가는 자취인 황도이기 때문이다. 한편 24절기에서의 황경은 다음과 같다.

  • 춘분일 때, 태양의 황경은 0°이다.
  • 하지일 때, 태양의 황경은 90°이다.
  • 추분일 때, 태양의 황경은 180°이다.
  • 동지일 때, 태양의 황경은 270°이다.[7][8][3]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황위〉, 《천문학백과》
  2. 황위〉, 《두산백과》
  3. 3.0 3.1 황도좌표〉, 《두산백과》
  4. 황도〉, 《학생백과》
  5. 황도〉, 《두산백과》
  6. 황도〉, 《위키백과》
  7. 황도좌표계〉, 《위키백과》
  8. 황도좌표계〉, 《천문학습관》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황위 (천문) 문서는 기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