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기계가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기계가공'''(machining, 機械加工)은 기계를 이용하여 물품가공하는 일이다. 기계가공은 공작기계에 절삭 공구를 부착하고 공...)
 
(개요)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
기계가공은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절삭가공과 연삭가공 등을 포함한다. 기계가공은 소재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제품을 제작하는 제거가공(material removal process)의 분야를 총칭한다. 기계가공은 가공 대상인 공작물과 [[공구]]를 공작기계에 의해 양자의 위치 유지와 상대운동을 줌으로써 공구와 공작물 사이의 상호 간섭(相互千涉)을 일으켜, 공작물의 불필요한 부분을 공구에 의해 제거하며 소요의 형상, 치수, 정밀도를 얻는 공정이다.<ref>m^t&chq, 〈[https://mtech.tistory.com/entry/%EA%B8%B0%EA%B3%84%EA%B0%80%EA%B3%B5-%EA%B0%9C%EC%9A%94 기계가공 개요]〉, 《티스토리》, 2021-12-12</ref>
 +
 +
[[엔진]]은 자동차의 전체 작업공정 가운데 가장 많은 부품이 결집돼 하나의 부품을 형성하게 된다. 실린더 블록과 같은 복잡한 형상의 [[부품]]에는 30~40개의 가공 공정을 가지고 있다. 완성된 엔진으로 만들어지기까지 과정을 간략히 소개하면 소재입고, 기계가공, 단품 조립, 워싱(Washing), 엔진 조립 등 다섯가지 공정으로 나뉘어진다. 기계가공은 소재를 가공하는 공정으로 엔진의 정밀도를 위해 첨단 기술로 가공하며 측정 및 검수를 거쳐 조립에 임하게 된다. 각각의 가공라인은 정밀하고 완벽한 부품을 생산하기 위해 자기진단 기능, 자동검사 기능, 자체 검출기능, 공구 교환시기 정보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기계가공 설비는 어떤 특정 부품의 특정 가공을 위한 전용기, 일정구역내에서 가공, 검측, 세정, 자세 교환 등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트랜스퍼머신, NC공작기계 및 자동차화 장치, 자동계측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계가공을 마친 부품은 단품 조립과정을 밟게 되는데 단품 조립이란 엔진을 구성하는 작은 조립품을 말한다. 이렇게 단품 조립과정까지 마치면 워싱(Washing)공정에 이르게 되는데 워싱은 완전한 엔진을 조립하기 전 단계로 각 공정을 거치는 동안 부품에 묻은 이물질이나 먼지를 깨끗하게 씻어내는 공정이다. 워싱공정을 거친 각 부품들(실린더 블록, 실린더 헤더, 커넥팅로드 등)은 마지막 공정인 엔진 조립공정에 이르러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단품들이 장착되면서 비로소 완성차에 탑재될 엔진 본체가 완성된다.<ref>〈[https://www.reportworld.co.kr/reports/407911 자동차의 생산 공정]〉, 《레포트월드》</ref>
  
 
==공작기계==
 
==공작기계==

2022년 8월 9일 (화) 12:05 판

기계가공(machining, 機械加工)은 기계를 이용하여 물품가공하는 일이다. 기계가공은 공작기계에 절삭 공구를 부착하고 공작물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공작물을 요구되는 치수,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다.[1][2]

개요

기계가공은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절삭가공과 연삭가공 등을 포함한다. 기계가공은 소재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제품을 제작하는 제거가공(material removal process)의 분야를 총칭한다. 기계가공은 가공 대상인 공작물과 공구를 공작기계에 의해 양자의 위치 유지와 상대운동을 줌으로써 공구와 공작물 사이의 상호 간섭(相互千涉)을 일으켜, 공작물의 불필요한 부분을 공구에 의해 제거하며 소요의 형상, 치수, 정밀도를 얻는 공정이다.[3]

엔진은 자동차의 전체 작업공정 가운데 가장 많은 부품이 결집돼 하나의 부품을 형성하게 된다. 실린더 블록과 같은 복잡한 형상의 부품에는 30~40개의 가공 공정을 가지고 있다. 완성된 엔진으로 만들어지기까지 과정을 간략히 소개하면 소재입고, 기계가공, 단품 조립, 워싱(Washing), 엔진 조립 등 다섯가지 공정으로 나뉘어진다. 기계가공은 소재를 가공하는 공정으로 엔진의 정밀도를 위해 첨단 기술로 가공하며 측정 및 검수를 거쳐 조립에 임하게 된다. 각각의 가공라인은 정밀하고 완벽한 부품을 생산하기 위해 자기진단 기능, 자동검사 기능, 자체 검출기능, 공구 교환시기 정보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기계가공 설비는 어떤 특정 부품의 특정 가공을 위한 전용기, 일정구역내에서 가공, 검측, 세정, 자세 교환 등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트랜스퍼머신, NC공작기계 및 자동차화 장치, 자동계측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계가공을 마친 부품은 단품 조립과정을 밟게 되는데 단품 조립이란 엔진을 구성하는 작은 조립품을 말한다. 이렇게 단품 조립과정까지 마치면 워싱(Washing)공정에 이르게 되는데 워싱은 완전한 엔진을 조립하기 전 단계로 각 공정을 거치는 동안 부품에 묻은 이물질이나 먼지를 깨끗하게 씻어내는 공정이다. 워싱공정을 거친 각 부품들(실린더 블록, 실린더 헤더, 커넥팅로드 등)은 마지막 공정인 엔진 조립공정에 이르러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단품들이 장착되면서 비로소 완성차에 탑재될 엔진 본체가 완성된다.[4]

공작기계

공작기계 종류

공작기계 주요부 명칭

가공 방법

장점

단점

각주

  1. 기계 가공〉, 《네이버 지식백과》
  2. 일상탈출, 〈기계가공 기초〉, 《네이버 블로그》, 2019-05-29
  3. m^t&chq, 〈기계가공 개요〉, 《티스토리》, 2021-12-12
  4. 자동차의 생산 공정〉, 《레포트월드》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기계가공 문서는 자동차 제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