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금속재료

해시넷
sms1208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7일 (화) 12:27 판 (새 문서: '''금속재료'''(金屬材料, metallic material)는 공업에서 사용되는 금속으로 된 재료이다. 금속결합을 하고 상온에서 고체상태(예외:수은)이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금속재료(金屬材料, metallic material)는 공업에서 사용되는 금속으로 된 재료이다.

금속결합을 하고 상온에서 고체상태(예외:수은)이며, 고체상태에서 대부분 결정(crystal:동일 형태의 단위정[unit cell]이 3차원 공간에서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고체)을 이룬다. 금속재료는 자유전자에 의해 결합되는 금속결합을 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금속 특유의 성질을 가진다. 금속재료는 수많은 자유전자 때문에 높은 열 및 전기전도성을 지니며 불투명하다. 그리고 비방향성 결합과 국부적인 전하중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변형이 되고, 영구변형이 가능하다.

지구상의 100여 가지 원소 중 약 반 정도가 금속에 속하며, 대표적인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니켈 ·티타늄 · 등이 있다. 철(Fe)은 구조용 재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자성재료로 이용된다. 알루미늄은 가볍고 내식성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며, 자동차 ·항공기 재료로 쓰인다.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보다 3분의 2 정도 가벼워 자동차 ·항공기 소재로 이용되며 부식이 잘 된다. 구리는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전기재료로 이용된다. 니켈은 내식성 ·내열성이 우수하며 항공기 소재로 이용된다.

개요

금속의 특성

①고체상태에서 결정구조를 갖는다.

②전기 및 열을 잘 전달하는 양도체이다.

③전성 및 연성이 크므로 변형하기 쉽다.

④금속 특유의 광택을 갖는다.

⑤비중이 크다.

⑥수은을 제외한 모든 금속은 상온에서 고체이다.

합금

유용한 성질을 얻기 위해 한 금속 원소에 다른 금속 및 비금속을 첨가하여 얻은 금속

  • 제조방법 - ①두 원소를 용융상태에서 융합 ②압축소결에의한 합금 ③고체상태에서 확산 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합금(침탄 등)
금속의 성질

①비중 - 표준기압 4℃에서 어떤 물질의 질량과 같은 체적의 물의 질량과의 비

비중 4.5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이상을 중금속(Cu, Fe 등의 대부분), 그 이하를 경금속(Al, Mg, Na 등)

②팽창계수 - 온도가 1℃ 올라가는데 따른 팽창율

팽창계수가 적은 인바, 초인바 등의 합금은 시계부품, 정밀측정자 등으로 사용, (-)치의 선팽창계수의 Fe-Pt합금

③용융점 - 금속을 가열하여 액체가 되는 온도

상온에서 Hg(-38.87℃)는 액체, W는 금속중 용융점이 가장 높은 3410℃

④전도율 - 불순물이 적고 순도가 높은 금속일수록 열이나 전기를 잘 전달(순금속>합금)

전기전도율은 Ag을 100으로 했을 경우 다른 금속과의 비율로 나타낸다.
Ag > Cu > Au > Al > Mg > Zn > Ni > Fe > Pb > Sb

⑤비열 - 물질 1g의 온도를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

Mg > Al > Mn > Cr > Fe > Ni > Cu > Zn > Ag > Sn > Sb > W

⑥자성

- 강자성 : Fe, Ni, Co나 이들의 합금, 자석에 강하게 끌리고 자석에서 떨어진 후에도 자 성을 띠는 물질
- 상자성 : K, Pt, Na, Al 등, 자석을 접근하면 먼쪽에 같은 극, 가까운 쪽에는 다른 극
- 반자성 : Bi, Sb 등, 상자성과 반대
- 비자성 : Au, Ag, Cu 등, 자성을 나타내지 않는 물질

⑦강도 - 금속의 강하고 약함으로 외력에 대해 저항하는 힘, 인장강도, 압축강도, 전단강도

⑧경도 - 금속표면의 딱딱한 정도, 일반적으로 인장강도에 비례

⑨전성 - 금속을 눌렀을 때 넓어지는 성질

Au > Ag > Pt > Al > Fe > Ni > Cu > Zn

⑩연성 - 금속을 잡아 당겼을 때 늘어나는 성질

Au > Ag > Al > Cu > Pt > Pb > Zn > Ni

⑪인성 - 충격에 대하 재료의 저항, 일반적으로 전․연성이 큰 것이 잘 견디며 주철과 같 이 강도가 적고 경도가 큰 것은 인성이 적다.

⑫이온화 - 이온화 경향이 클수록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쉽고 부식이 잘 된다.

K > Ca > Mg > Al > Mn > Zn > Cr > Fe > Cd > Co > Ni > Sn > Pb

⑬탈색

Au > Ag > Pt > Zn > Cu > Fe > Mg > Al > Ni > Sn
금속의 결정구조

①체심입방격자구조(Body Centered Cubic lattice)

입방체의 각 모서리에 8개와 그 중심에 1개의 원자가 배열되어 있는 단위포의 결정구조

②면심입방격자구조(Face Centered Cubic lattice)

입방체의 각 모서리에 8개와 6개 면의 중심에 1개씩의 원자가 배열되어 있는 결정구조

③조밀육방격자구조(Close-Packed Hexagonal lattice)

육각기둥의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6각주 상하면의 모서리와 그 중심에 1개씩의 원자가 있고 6각주를 구성하는 6개의 3각주 중 1개씩 띄어서 3각주의 중심에 1개씩의 원자가 배 열되어 있는 결정구조
금속의 결정구조.png
  • 금속의 응고

①응고과정

결정핵 생성 → 결정핵 성장 → 결정립계 형성 → 결정입자구성

②응고조직

- 과냉 : 융점이하로 냉각하여도 액체 또는 고용체로 계속되는 현상(Sb, Sn은 과냉도 ↑)
수지상 : 응고과정에서 결정핵이 성장할 때 뽀족한 부분이 생기면 그 부분은 핵성장이 촉진되어 연이어 성장하는데 이러한 나
- 주상정 : 주형에 접촉된 부분부터 중심을 향하여 가늘고 긴 결정이 성장하여 중심부로 방사(라운딩, 냉각속도를 느리게 함으로
- 편석 : 주상정의 경계에 모여 메지고 취약하게 하는 불순물
- 고스트라인 : 편석이 있는 강괴를 압연하여 판, 봉, 관으로 만들 때 편석부분이 늘어나 긴 띠모양을 이룬 것
- 라운딩 : 편석을 막기 위하여 주형의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하는 것
금속의 변태

①동소변태 - 같은 원소이지만 고체상태내에서 결정격자의 변화가 생기는 것(동소체)

②자기변태 - 원자의 배열 즉 결정격자의 변화는 생기지 않고 자기의 크기만 변화하는 것

③변태점 측정은 열분석법, 열팽창법, 전기저항법, 자기반응법 등으로 측정한다.

금속의 변형과 재결정

①탄성변형 -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원 상태로 돌아오는 변형

②소성변형 - 외력이 지나치게 클 때에 변형이 복귀하지 못하고 영구적으로 변형

③슬립(Slip) - 외력에 의해 변형될 때 일정면에 따라 미끄러지는데 이 미끄럼을 말함, 슬 립면은 원자밀도가 가장 조밀한 면에서 일어나고 슬립방향은 원자간격이 가장 작은 방향 에서 일어난다.

④쌍정(Twin) - 소성변형시 변형전과 변형후의 원자배열이 대칭적인 배열, 원자의 이동이 원자간격보다 작으므로 큰 영구변형은 슬립에 의해 일어난다.

⑤전위(Dislocation) - 금속의 결정격자에 결함이 있을 때 외력에 의해 결함이 이동되는 것

⑥가공경화 - 변형에 의한 응력이 축적됨에 따라 경도가 증가하는 현상

⑦냉간가공에 의해 가공경화된 금속의 열처리과정

-회복 : 내부응력이 감소하는 단계
- 재결정 : 내부응력이 없는 새로운 결정의 핵 생성, 변형전의 결정립이 작을수록 재결 정온도는 낮다. 결정립의 크기는 재결정전의 존재한 변형량이 클수록 미세하다.
- 결정성장 : 재결정의 성장
금속 Fe Al Cu Ni W Mo Zn Pb
재결정온도 450 290 200 600 1000 90 18 -3
평형상태도

①자유도 - 계에 나타난 상을 변경시키지 않고 임의로 변화될 수 있는 변수의 수

F = n - P + 2 (n : 성분수 P : 상수)

②고용체 - 고체상태에서나 액체상태에서 한 성분금속에 다른 성분의 금속이 융합되어 하 나의 상을 이룬 것(치환형, 침입형, 규칙격자형)

③금속화합물 - 친화력이 클 때 2종 이상의 금속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함되어 성분금 속과 다른 독립된 화합물을 만들 때

④공정형 - 용해된 상태에서는 균일한 용액으로 완전히 융합되지만 응고후 고체상태에서 는 성분금속이 각각 결정으로 분리되어 정출되는 것(융액↔A결정+B결정)

⑤공석형 - 고체상태내에서 공정형 상태도와 같은 반응을 함(γ결정 ↔ α고용체 +B)

⑥포정형 - 액체상태에서는 두 금속이 완전히 융합하나 고체상태에서는 어느 일부분만 융 합하는 경우(α고용체 + 용액 ↔ γ고용 ⑦편정형 - 일종의 용액에서 고상과 다른 종류의 용액을 동시에 생성하는 반응

(액상 ↔ 고상(순 A) + 액상(B))
재료의 시험

①조직시험

- 육안시험 : 파면검사(재료의 성분, 열처리 판단), 육안조직검사(가공방법의 양부, 조직 및 성분의 불균일, 내부결함의 유무판단), 설퍼프린트법(유황의 분포상태를 검출) 등 이 있다.
- 현미경 조직검사 : 시험편 채취 → 시험편 연마 → 정마 → 부식 → 관찰
재료 부식제
철강 피크린산알콜 용액, 질산알콜 용
Cu 및 그 합금 염화 제2철 용액
Ni 및 그 합금 질산초산 용액
Al 및 그 합금 수산화나트륨 용액, 불화수소산

②강도시험

- 만능시험기 : 인장강도, 압축강도, 연신율, 단면수축율, 굽힘 등 측정
- Hooke의 법칙 σ = Eε (σ : 응력, E : 영률, ε : 연신율)
- 인장강도 σ = Pmax / Ao (Pmax : 최대하중, Ao : 원단면적)

③경도시험

경도시험.png

하중시간은 15-30초, 얇은 재료나 침탄강, 질화강 등의 표면을 측정하기에는 부적당

- 로크웰경도 B스케일의 경우 : HRB = 130-500h

C스케일의 경우 : HRC = 100-500h

B스케일은 특수강구(1.588mm), C스케일은 꼭지각 120o인 다이아몬드 원뿔의 압입자

- 비커즈경도 Hv = 1.854P / d2 (d : 다이아몬드 압입자국의 대각선 길이)

136o인 사각뿔 다이아몬드의 압입자 사용, 단단한 재료나 연한 재료, 얇은 재료나 침 탄, 질화층 같은 엷은 부분의 경도로 정확히 측정, 압입부의 흔적이 적으므로 경화재료 에는 부적당

- 쇼어경도 Hs = 10000h / 65ho
일정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낙하체가 시험편에 부딪쳐 튀어오르는 높이에 의해 측정
시험편에 자국이 생기지 않으므로 완성된 기어나 압연, 롤 등에 사용

④충격시험 - 시험편에 충격적인 하중을 가해 시험편의 파괴시의 충격값을 구하는 동적 시험이다. 샤르피 충격시험과아이조드 충격시험

E = WR(cosβ - cosα) (W:해머무게, R:해머중심에서 축중심까지 거리
충격값(U) = E/A α:해머의 낙하 전 올려진 각도, β:파괴 후 각도)

⑤피로시험 - 하중이 계속적으로 반복작용하면 파괴하중보다 더 작은 하중으로 파괴되는 피로파괴를 측정하는 시험

⑥크리프시험 - 고온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외력에 비례한 만큼 이상의 변형이 일어 나는 크리프현상을 측정하는 시험

자주 사용되는 금속재료

철강 재료

  • 특징 : 저렴, 가공성이 좋음, 열처리로 다채로운 성질의 변화를 나타냄, 재활용하기 쉬움.
종류 재료 기호 용도 특징
구조용 강 SS400 일반 기계 부품 가장 범용적인 강종. 가공성, 용접성 등이 양호
탄소강 S45C 일반 기계 부품 불림: 인장 강도 570N/mm² 이상 경도 HB167~229

담금질 템퍼링: 인장 강도 690N/mm² 이상 경도 HB201~269

S50C 불림: 인장 강도 610N/mm² 이상 경도 HB179~235

담금질 템퍼링: 인장 강도 740N/mm² 이상 경도 HB212~277

크롬 몰리브덴 강 SCM435 강도가 필요한 일반 기계 부품

예: 나사

담금질 템퍼링: 930N/mm² 이상

경도 HB269~331 이상

고 탄소 크롬강 SUJ2 내마모성이 필요한 부품

예: 샤프트·베어링

고주파 담금질로 경도 58HRC 이상
열간 압연 강판 SPHC 일반 기계 구조용 부품 통칭 판금. 고온 상태에서 압연된 재료로 판 두께가 1.2~14.0mm. 표면에는 산화물 스케일이 부착되어 검다. 일반적인 사용 판 두께는 6mm 이하
냉간 압연 강판 SPCC 커버, 케이스 등 통칭 판금. SPHC를 상온에 가까운 온도에서 압연 제조. 표준 판 두께는 0.4~3.2mm. 치수 정밀도가 높고 표면이 깔끔하다. 굽힘, 조임, 절단 등 가공성 양호. 용접성도 양호
스테인리스강

오스테나이트계

SUS303 방청이 필요한 기계 부품

예: 볼트, 너트 등

SUS304보다 절삭성이 양호하지만 내식성은 약간 떨어진다. 자성 없음
SUS304 방청이 필요한 기계 부품

예: 식품 설비, 일반 과학 설비 등

가장 대표적인 스테인리스. 일반 내식 강, 내열강으로 사용된다. 자성 없음
SUS316 방청이 필요한 기계 부품

예: 식품 설비, 일반 과학 설비 등

SUS304에 몰리브덴을 첨가한 스테인리스강. SUS304보다 내식성, 내산성, 내해수성 등이 뛰어나다. 자성 없음
스테인리스강

마르텐사이트계

SUS440C 방청이 필요한 기계 부품 내식성은 오스테나이트계에 비해 떨어진다. 담금질 가능. 자성 있음

비철 금속 재료

알루미늄
  • 알루미늄특징
  • 비중이 작다(2.7g/cm³ 철의 약 35%). 도전성, 열전도성이 높다.
  • 해수·산·알칼리 등에 악영향을 받기 쉽다. 공기 중이나 수중에서는 얇은 산화 피막이 생성되어 부식을 방지.
  • 주조성과 가공성 등이 뛰어나 상온이나 고온에서 압연, 와이어 드로잉, 프레스 등이 가능.
종류 재료 기호 용도 특징
Al-Cu 계 합금 A2017 일반용 강력재

예: 항공기 재료, 각종 구조재, 제작 기계 부품

두랄루민. 열처리 합금으로 강도가 강하고 절삭 가공성도 양호. 용접성은 떨어짐
Al-Mg 계 합금 A5052 일반용 강력재

예: 선박, 차량, 건축재, 음료캔, 기계 부품

중간 정도의 강도를 가진 대표적인 합금. 내식성, 정형성, 용접성, 내해수성 등이 양호
Al-Mg-Si 계 합금 A6061 일반 기계 부품 열처리형인 내식 합금. T6 처리로 상당히 높은 내력을 얻을 수 있음
A6063 일반 기계 부품 구조용재

예: 강도가 필요하지 않은 기계 부품 및 플레이트

압출재로 다용. A6061보다 강도가 낮지만 압출성, 복잡한 단면 형상을 형성 가능. 내식성, 표면 처리도 양호
  • 특징
  • 도전성, 열도전성 등이 높고 반자성. 전연성이 있지만 가공 경화한다.
  • 철보다 내식성이 뛰어남(공기 중에 습기나 탄산 가스가 있으면 녹청이 발생한다)
  • 맑은 물에는 악영향을 받지 않지만 해수에는 약하다. 수축률이 커서 주조하기 어렵다.
종류 재료 기호 용도 특징
무산소 동 C1020 높은 성능이 요구되는 전선, 방열판 등 시판되는 동 중에 최고 순도. 고온으로 가열했을 때에도 물러지지 않는다
터프 피치 동 C1100 도전 재료, 건축, 증류 솥, 개스킷 등 가장 범용적인 구리로 도전성, 열전도성 등이 우수하다
놋쇠판 C2801 구멍을 뚫거나, 접고 구부려서 사용하는 배선 기구 부품, 네임 플레이트, 계기반 등 동 합금 중에서 강도가 높고 전연성이 있다
쾌삭 황동 C3604 밸브 부품 등 절삭이 필요한 가공 부품 납과 아연이 함유된 합금. 납을 첨가하여 놋쇠의 피삭성을 개량한 것. 인장 강도가 높고 전연성이 양호

동영상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금속재료 문서는 소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