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타타대우상용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타타대우상용차㈜'''<!--타타대우상용차, 타타대우 상용차, 타타 대우 상용차-->(Tata Daewoo Commercial Vehicle)는 한국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인도의 다국적 자동차 기업인 [[타타자동차]](Tata Motors) 소유의 회사이다. 개별, 기업, 국가 및 기관 사용자를 위한 화물운송, 건설, 특수목적에 필요한 상용차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김방신]]'''이다.
 
'''타타대우상용차㈜'''<!--타타대우상용차, 타타대우 상용차, 타타 대우 상용차-->(Tata Daewoo Commercial Vehicle)는 한국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인도의 다국적 자동차 기업인 [[타타자동차]](Tata Motors) 소유의 회사이다. 개별, 기업, 국가 및 기관 사용자를 위한 화물운송, 건설, 특수목적에 필요한 상용차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김방신]]'''이다.
  
 +
==개요==
  
 +
타타대우상용차는 대우자동차의 트럭 제조 부문이었지만 현재는 인도 타타그룹 산하의 트럭 제조 회사이다. 대우자동차가 부도날 때 회사가 분리매각되어 승용차 부문은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가 인수해 한국GM이 되었고 버스 부문은 영안모자가 인수해 자일대우상용차가 되었으며, 트럭 부문은 2002년에 대우상용차라는 별도의 독립법인으로 있다가 2004년 7월 인도 최대의 대기업인 타타그룹에서 인수해 현재의 타타대우상용차가 되었다.[ 당시 인수금액은 1500억원. 
  
 +
대우 트럭은 라이벌인 현대보다는 국내 시장에서 열세이긴 하지만 특유의 디자인과 괜찮은 성능 덕분에 꾸준히 팔리고 있다. 차세대트럭의 부분 변경 모델인 노부스와 비교적 최근에 나온 프리마[3]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2006년에 노부스의 중형모델을 출시하면서 국내 중형 트럭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타타대우였다. 현재는 트럭 점유율 35% 안팎을 기록하고 있기에 현대보다 밀린다고 해도 압도적으로 밀린 것이 아니며[4] 노부스 중형모델이 국내 화물차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음을 알수있다.
 +
 +
1990년대까지만 해도 국산차 5개메이커 모두가 대형트럭을 생산했지만, 1998년에는 쌍용자동차가 SY트럭을 단종시킨데 이어 2000년에는 삼성상용차가 파산하는 흑역사가 있었고, 2001년에는 최후의 보루였던 기아자동차가 그랜토까지 단종시켜서 지금은 현대자동차와 타타대우만 대형트럭을 생산하고 있다.
 +
 +
그리고 타타대우는 애초부터 트럭만 생산하는 업체였지만, 버스의 생산은 내수용이 전부 자일대우상용차가 차지하게 되어있을 정도로 버스는 주로 수출용으로만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계약은 미미하다. 2015년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내역에는 Tata Motors Limited에 1,815백만원, Tata Motors Thailand Ltd.에 3,671백만원 매출실적을 공시한 바가 있다.
 
==역사==
 
==역사==
 
1972년 지엠코리아의 트럭부문을 설립하였으며 [[이스즈 자동차]](いすゞ自動車)와 [[쉐보레]](Chevrolet)의 부품을 도입하여 GMK, 이스즈, 쉐보레 상표의 트럭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1973년 처음으로 대형트럭 생산 개시하였고 10년 후 대우자동차-독일 MAN사 기술제휴하면서 본격적으로 310마력 MAN엔진 탑재한 대우15톤 덤프트럭 출시하였다. 점차적으로 대우자동차와 스웨덴 볼보트럭 기술제휴를 맺어 1989년 20.5톤 덤프 출시를 계기로 대우중공업(주)의 사업부문으로 대우상용차를 설립했다. 1999년에는 대우중공업 산하 상용차사업부가 대우차로 돌아왔지만 그 시기 대우차가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트럭사업부는 2002년에 대우상용차라는 별도의 독립법인으로 있다가 2004년 7월 인도 최대의 대기업인 타타그룹에서 현재의 타타대우상용차가 되었다. 경영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은 급감하고있으며 영업/순이익 적자에 부채비율이 280%에 달하는 자일대우상용차에 비해 타타대우의 매출은 꾸준히 성장 중이고 안정적으로 이익을 얻고 있으며, 부채비율도 100% 아래로 재무구조 또한 매우 우수하다. 2015년 기준으로 매출은 8,796억원, 영업이익은 527억원, 당기순이익은 466억원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군납품용 등등의 특수용도로만 판매되던 AWD(4x4, 6x6) 모델의 민간판매를 개시하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그 후 2018년에 2.5톤급 준중형트럭시장에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1톤 트럭 시장으로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며, 르노삼성자동차도 1톤 트럭을 내놓을 계획에 있지만 1톤 트럭은 현대기아차 독주 시대를 막을 수 있는 또 하나의 관문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르노삼성과 타타대우도 1톤 트럭 시장에 끼이게 하면 과거 대형트럭의 경합 시대와 비슷한 부흥기가 올지도 모른다.
 
1972년 지엠코리아의 트럭부문을 설립하였으며 [[이스즈 자동차]](いすゞ自動車)와 [[쉐보레]](Chevrolet)의 부품을 도입하여 GMK, 이스즈, 쉐보레 상표의 트럭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1973년 처음으로 대형트럭 생산 개시하였고 10년 후 대우자동차-독일 MAN사 기술제휴하면서 본격적으로 310마력 MAN엔진 탑재한 대우15톤 덤프트럭 출시하였다. 점차적으로 대우자동차와 스웨덴 볼보트럭 기술제휴를 맺어 1989년 20.5톤 덤프 출시를 계기로 대우중공업(주)의 사업부문으로 대우상용차를 설립했다. 1999년에는 대우중공업 산하 상용차사업부가 대우차로 돌아왔지만 그 시기 대우차가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트럭사업부는 2002년에 대우상용차라는 별도의 독립법인으로 있다가 2004년 7월 인도 최대의 대기업인 타타그룹에서 현재의 타타대우상용차가 되었다. 경영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은 급감하고있으며 영업/순이익 적자에 부채비율이 280%에 달하는 자일대우상용차에 비해 타타대우의 매출은 꾸준히 성장 중이고 안정적으로 이익을 얻고 있으며, 부채비율도 100% 아래로 재무구조 또한 매우 우수하다. 2015년 기준으로 매출은 8,796억원, 영업이익은 527억원, 당기순이익은 466억원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군납품용 등등의 특수용도로만 판매되던 AWD(4x4, 6x6) 모델의 민간판매를 개시하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그 후 2018년에 2.5톤급 준중형트럭시장에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1톤 트럭 시장으로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며, 르노삼성자동차도 1톤 트럭을 내놓을 계획에 있지만 1톤 트럭은 현대기아차 독주 시대를 막을 수 있는 또 하나의 관문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르노삼성과 타타대우도 1톤 트럭 시장에 끼이게 하면 과거 대형트럭의 경합 시대와 비슷한 부흥기가 올지도 모른다.

2020년 9월 11일 (금) 16:26 판

타타대우상용차㈜(Tata Daewoo Commercial Vehicle)
타타대우상용차㈜(Tata Daewoo Commercial Vehicle)

타타대우상용차㈜(Tata Daewoo Commercial Vehicle)는 한국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인도의 다국적 자동차 기업인 타타자동차(Tata Motors) 소유의 회사이다. 개별, 기업, 국가 및 기관 사용자를 위한 화물운송, 건설, 특수목적에 필요한 상용차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김방신이다.

개요

타타대우상용차는 대우자동차의 트럭 제조 부문이었지만 현재는 인도 타타그룹 산하의 트럭 제조 회사이다. 대우자동차가 부도날 때 회사가 분리매각되어 승용차 부문은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가 인수해 한국GM이 되었고 버스 부문은 영안모자가 인수해 자일대우상용차가 되었으며, 트럭 부문은 2002년에 대우상용차라는 별도의 독립법인으로 있다가 2004년 7월 인도 최대의 대기업인 타타그룹에서 인수해 현재의 타타대우상용차가 되었다.[ 당시 인수금액은 1500억원. 

대우 트럭은 라이벌인 현대보다는 국내 시장에서 열세이긴 하지만 특유의 디자인과 괜찮은 성능 덕분에 꾸준히 팔리고 있다. 차세대트럭의 부분 변경 모델인 노부스와 비교적 최근에 나온 프리마[3]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2006년에 노부스의 중형모델을 출시하면서 국내 중형 트럭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타타대우였다. 현재는 트럭 점유율 35% 안팎을 기록하고 있기에 현대보다 밀린다고 해도 압도적으로 밀린 것이 아니며[4] 노부스 중형모델이 국내 화물차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음을 알수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국산차 5개메이커 모두가 대형트럭을 생산했지만, 1998년에는 쌍용자동차가 SY트럭을 단종시킨데 이어 2000년에는 삼성상용차가 파산하는 흑역사가 있었고, 2001년에는 최후의 보루였던 기아자동차가 그랜토까지 단종시켜서 지금은 현대자동차와 타타대우만 대형트럭을 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타타대우는 애초부터 트럭만 생산하는 업체였지만, 버스의 생산은 내수용이 전부 자일대우상용차가 차지하게 되어있을 정도로 버스는 주로 수출용으로만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계약은 미미하다. 2015년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내역에는 Tata Motors Limited에 1,815백만원, Tata Motors Thailand Ltd.에 3,671백만원 매출실적을 공시한 바가 있다.

역사

1972년 지엠코리아의 트럭부문을 설립하였으며 이스즈 자동차(いすゞ自動車)와 쉐보레(Chevrolet)의 부품을 도입하여 GMK, 이스즈, 쉐보레 상표의 트럭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1973년 처음으로 대형트럭 생산 개시하였고 10년 후 대우자동차-독일 MAN사 기술제휴하면서 본격적으로 310마력 MAN엔진 탑재한 대우15톤 덤프트럭 출시하였다. 점차적으로 대우자동차와 스웨덴 볼보트럭 기술제휴를 맺어 1989년 20.5톤 덤프 출시를 계기로 대우중공업(주)의 사업부문으로 대우상용차를 설립했다. 1999년에는 대우중공업 산하 상용차사업부가 대우차로 돌아왔지만 그 시기 대우차가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트럭사업부는 2002년에 대우상용차라는 별도의 독립법인으로 있다가 2004년 7월 인도 최대의 대기업인 타타그룹에서 현재의 타타대우상용차가 되었다. 경영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은 급감하고있으며 영업/순이익 적자에 부채비율이 280%에 달하는 자일대우상용차에 비해 타타대우의 매출은 꾸준히 성장 중이고 안정적으로 이익을 얻고 있으며, 부채비율도 100% 아래로 재무구조 또한 매우 우수하다. 2015년 기준으로 매출은 8,796억원, 영업이익은 527억원, 당기순이익은 466억원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군납품용 등등의 특수용도로만 판매되던 AWD(4x4, 6x6) 모델의 민간판매를 개시하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그 후 2018년에 2.5톤급 준중형트럭시장에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1톤 트럭 시장으로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며, 르노삼성자동차도 1톤 트럭을 내놓을 계획에 있지만 1톤 트럭은 현대기아차 독주 시대를 막을 수 있는 또 하나의 관문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르노삼성과 타타대우도 1톤 트럭 시장에 끼이게 하면 과거 대형트럭의 경합 시대와 비슷한 부흥기가 올지도 모른다.




같이 보기


  의견.png 이 타타대우상용차㈜ 문서는 자동차 회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