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의견.png

"베이징자동차그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951년~1973년)
잔글 (베이징자동차공업공사 단계(1973년-2000년))
23번째 줄: 23번째 줄:
  
 
===베이징자동차공업공사 단계(1973년-2000년)===
 
===베이징자동차공업공사 단계(1973년-2000년)===
 +
1980년 12월에 베이징시 자동차산업의 발전에 비추어 베이징시자동차공업공사는 베이징자동차공업본사(北京汽车工业总公司)로 회사변경을 추진하였다. 개혁개방의 추진에 따라 각 구와 현 소속으로 되어 있던 33개 기업들을 전부 베이징시자동차공업본사의 소속으로 통합하여 자동차부품본공장(汽车配件总厂)과 엔진부품본공장(内燃机配件总厂)에 귀속시켰으며 1990년대 초반에 년간 생산량을 10만대 이상까지 올렸다. 이는 그 때 중국 자동차 총생산량의 16%를 차지하였다. 이 단계는 베이징시 자동차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던 단계였다.
  
1980년대에 국제상황은 거대한 변화가 있었으며 중국의 기업들도 개혁개방의 붐을 타고 외국기업들과의 합작을 추진하였다. 베이징자동차공장도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외국기업과의 합작을 추진하였으며 1983년에 아메리칸모터스(American Motors Corporation 약칭:AMC)<ref>"[https://en.wikipedia.org/wiki/American_Motors_Corporation American Motors Corporation]", ''Wikipedia''</ref>와 합자회사 베이징지프의 설립계약을 체결하고 1984년 1월에 정식으로 베이징지프(北京吉普汽车有限公司, Beijing Jeep Corporation)을 설립하였다. 이는 중국자동차업계에서 처음으로 설립 된 중외합자기업이다. 베이징지프는 AMC가 1987년에 크라이슬러(Chrysler)에 인수된 뒤에서 지속 운영되였으며 1998년에 독일의 다임러벤츠(Daimler-Benz AG)가 크라이슬러를 인수하면서 2005년에 파트너십을 종료하였다.<ref>"[https://en.wikipedia.org/wiki/Beijing_Benz#American_Motors Beijing Benz]", ''Wikipedia''</ref>베이징지프를 설립하면서 베이징자동차는 BJ212 지프와 관련 된 건물, 인력, 시설을 합자회사에 넘겼으며 그런 뒤에 베이징자동차 본신은 제품, 공장, 인력 등 면에서 아무도 없는 난국에 처했다. 후에 BJ121 경형트럭을 개발하여 과도기 제품으로 하였으며 1984년 4,000대를 생산하고 1987년에 17,000대를 생산하였다. 1987년에 베이징모터사이클제조공장과 합병하여 베이징자동차모터사이클연합제조회사(北京汽车摩托车联合制造公司, Automobile and Motorcycle United Company,약칭:BAM)를 설립하였으며 계속 경형 CUV 사업을 추진하였다. 1994년에 산둥성주청시(山东省诸城市)트럭제조공장을 인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1996년 8월에 100개 기업과 공동으로 베이치푸텐(北汽福田, BAIC Foton Motor)을 설립하였다. 1998년 6월 2일에 베이치푸텐은 상하이증권거래소(上海证券交易所, Shanghai Stock Exchange)에 상장하였다. 2000년 9월에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北京汽车工业控股有限责任公司, Beijing Automotive Industry Holding Co., Ltd.,영문약칭:BAIHC)를 설립하였다.  
+
1980년대 중반에 중국의 계획경제가 시장경제로 전환하면서 베이징시 정부도 중앙의 지시에 따라 행정조직이었던 베이징자동차공업본사를 자주 경영형 베이징자동차연합공사(北京汽车工业联合公司)로 변경을 하였으며 경영관리 방식을 이사회의 관리하에 기업총괄, 부총괄이 기업운영을 책임지는 방식으로 결정하였다. 연합공사 특징이 연합에 있기에 소속 기업을 대상한 통제력이 부족하였으며 이로서 베이징시 자동차 산업은 치열했던 경쟁에서 밀리게 되었으며 중간에 파란만장을 겪다가 결국 2010년에 그룹화로 가게 되었다.  
  
 +
1980년대에 국제상황은 거대한 변화들이 발생하였으며 중국의 기업들도 개혁개방의 붐을 타고 외국기업들과의 합작을 추진하였다. 베이징자동차공장도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외국기업과의 합작을 추진하였으며 1983년에 아메리칸모터스(American Motors Corporation 약칭:AMC)<ref>"[https://en.wikipedia.org/wiki/American_Motors_Corporation American Motors Corporation]", ''Wikipedia''</ref>와 합자회사 베이징지프의 설립계약을 체결하고 1984년 1월에 정식으로 베이징지프(北京吉普汽车有限公司, Beijing Jeep Corporation)을 설립하였다. 이는 중국자동차업계에서 처음으로 설립 된 중외합자기업이다. 베이징지프는 AMC가 1987년에 크라이슬러(Chrysler)에 인수된 뒤에서 지속 운영되였으며 1998년에 독일의 다임러벤츠(Daimler-Benz AG)가 크라이슬러를 인수하면서 2005년에 파트너십을 종료하였다.<ref>"[https://en.wikipedia.org/wiki/Beijing_Benz#American_Motors Beijing Benz]", ''Wikipedia''</ref>베이징지프를 설립하면서 베이징자동차는 BJ212 지프와 관련 된 건물, 인력, 시설을 합자회사에 넘겼으며 그런 뒤에 베이징자동차 본신은 제품, 공장, 인력 등 면에서 아무도 없는 난국에 처했다. 후에 BJ121 경형트럭을 개발하여 과도기 제품으로 하였으며 1984년 4,000대를 생산하고 1987년에 17,000대를 생산하였다. 1987년에 베이징모터사이클제조공장과 합병하여 베이징자동차모터사이클연합제조회사(北京汽车摩托车联合制造公司, Automobile and Motorcycle United Company,약칭:BAM)를 설립하였으며 계속 경형 CUV 사업을 추진하였다. 1994년에 산둥성주청시(山东省诸城市)트럭제조공장을 인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1996년 8월에 100개 기업과 공동으로 베이치푸텐(北汽福田, BAIC Foton Motor)을 설립하였다. 1998년 6월 2일에 베이치푸텐은 상하이증권거래소(上海证券交易所, Shanghai Stock Exchange)에 상장하였다. 2000년 9월에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北京汽车工业控股有限责任公司, Beijing Automotive Industry Holding Co., Ltd.,영문약칭:BAIHC)를 설립하였다.
 +
 +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2000년-2010년)===
 
* 2002년 10월 : 베이징 [[현대]] 자동차 유한회사 설립.
 
* 2002년 10월 : 베이징 [[현대]] 자동차 유한회사 설립.
 
* 2002년 12월 : 현대 쏘나타 생산 성공.
 
* 2002년 12월 : 현대 쏘나타 생산 성공.

2020년 10월 14일 (수) 14:53 판

베이징자동차그룹(北汽集团)
베이징자동차그룹(北汽集团)

베이징자동차그룹(北汽集团, běi qì jí tuán, Beijing Automotive Group, 영문약칭:BAIC)은 중국의 5대 자동차그룹 중의 하나이다. 2000년부터 베이징자동차산업홀딩스(北京汽车工业控股有限责任公司, Beijing Automotive Industry Holding Co., Ltd.,)라는 상호를 사용하다가 2010년 11월에 베이징자동차그룹유한공사(北京汽车集团有限公司)라는 상호로 변경하였다. 1958년에 설립되었으며 베이징에 본부를 두고 있다. 수십년간의 발전을 거쳐 베이징자동차그룹은 자동차와 부품의 개발과 제조, 중고차사업, 종합교통서비스, 금융과 투자, 일반 항공(General Aviation))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국유 대형 기업그룹으로 되었으며 2020년에는 포춘매거진(Fortune)이 평가한 글로벌 500대 기업 리스트에서 134 번째 순위의 기업으로 되어 있었다. 베이징자동차그룹의 현직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대표이사, 이사장은 지앙더이(姜德义, jiāng dé yì)이며 2020년 7월 31일부터 역할을 하고 있다.[1]

개요

베이징자동차그룹은 베이징을 중심으로 중국 10여 개 성(省)과 도시에 분포하는 자체 브랜드 승용차 기지, 자체 브랜드 상무용 완성차 기지, 대체에너지 완성차 기지, 합작 브랜드 승용차 기지, 범용 항공 산업 기지를 건설하였으며 연구 개발센터는 5개 나라에 설립되어 있다. 베이징자동차그룹은 "전동화, 지능화, 네트워크화, 공유화"의 혁신 발전 이념을 견지하여 자원 최적화 통합과 핵심 능력 재건을 강력히 추진하고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을 앞서 배치하며 스마트 데이터 공유,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 연구와 산업화 탐구를 적극적으로 전개하여 자체 브랜드의 핵심 경쟁력을 창조하여 자동차 시장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2]

베이징자동차그룹은 새로운 시대의 요구와 날로 업그레이드되는 소비 수요에 따라 시종 업종의 변화 선두에 서서 "혁신, 조화, 녹색, 개방, 공유"의 발전 이념을 견지하고 전략적 전환을 심도 있게 추진하며 첨단 제품, 대체에너지 창신, 특색 있는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며 브랜드 개념, 첨단화, 규모화, 글로벌화, 저 탄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조 서비스 기업과 창신형 기업이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베이징자동차그룹은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자동차 제조 업체와 서비스 제공, 고품질 이동 서비스의 선두 기업이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룹 구성

  • 베이징 자동차 주식 유한회사(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 베이징 수도 강철 주식 유한회사(北京首钢股份有限公司)
  • 베이징 국유 자원 경영 유한회사(北京市国有资产经营有限责任公司)
  • 현대 창신 홀딩스 유한회사(现代创新控股有限公司)
  • 베이징 국유자산 경경 관리 센터(北京国有资产经营管理中心)
  • 베이징 에너지 투자 그룹 (北京能源投资集团有限公司)

연혁

1951년~1973년

1953년 7월에 지린성 창춘(吉林省长春市)에서 추진 된 중국제일자동차제조공장(第一汽车制造厂)의 건설과 더불어 부품공급의 차원에서 중국정부는 1951년에 설립된 중국인민해방군제6자동차수리공장[3]을 기반으로 1953년에 베이징에 베이징제일자동차부품공장(北京第一汽车附件厂)을 설립하였으며 카뷰레터(carburetor), 오일펌프, 헤드라이트를 비롯한 17종의 자동차부품을 생산하였다. 부품공장의 설립은 자동차수리부터 단일 부품의 소규모 생산, 다품목 대규모생산으로의 진화를 추진하는 토대를 닦았으며 그 뒤 완성차제조에 필요한 기술인력들을 육성할수 있게 하였다. 그 당시 중국의 자동차제조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제일자동차제조공장뿐이 였으며 중국내 자동차소요를 만족시킬수가 없었다. 제일자동차제조공장을 설립한 뒤에 중국 중앙정부도 재원의 부족으로 신규 자동차공장을 설립할 여력이 안 되었으며 대안으로 각 지방정부에서 지역상황에 따라 자동차기업을 설립하게 하였다. 베이징제일자동차부품공장은 완성차제조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폭스바겐의 비틀(Volkswagen Beetle)을 모델로 징강산(井冈山, jǐng gāng shān)브랜드의 승용차 시제작을 완료하였다. 1958년 6월 20일에 베이징제일자동차부품공장은 베이징자동차제조공장(北京汽车制造厂)으로 공장명칭을 변경하였으며 완성차제조분야로 진출하였다. 1960년대 전까지 중국의 군용지휘차는 구쏘련의 고리키자동차제조공장(Gorky Automobile Factory)에서 생산한 GAZ-69 4륜구동 경형차[4]를 사용하였으며 1960년에 중국과 쏘련관계가 파괴된 후 군용지휘차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극히 불리한 상황에서 베이징자동차제조공장은 대체 차종의 개발지시에 따라 개발에 진입하였으며 창안자동차(长安汽车)의 전신인 충칭병기공장(重庆兵工厂)에서 생산한 창강 브랜드(长江牌) '46' 지프[5], 쏘련 고리키자동차제조공장의 GAZ269, 미국 월리스 오버랜드(Willys-Overland)의 월리스MB지프(Willys MB)[6]를 참조모델로 1969년 1월에 4륜구동 4-도어 군용지휘용차 BJ211, BJ212모델을 개발하였다. 후에 BJ212 모델이 양산인가를 받았으며 군수장비로 적용되었고 베이징자동차의 주력제품으로 되었다. 1970년대초반에 베이징자동차공장은 약간한 규모의 자동차생산거점으로 되었으며 년 생산능력을 1.5만대까지 구축하였다. BJ212는 현재까지도 중국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 1964년 5월에 중국정부의 제일기계공업부(中华人民共和国第一机械工业部, First Ministry of Machine Industry of the PRC)는 중국국가경제무역위원회(中华人民共和国国家经济贸易委员会, The State Economy & Trade Commission of the PRC)에 '자동차공업공사 시험운영 신청서'를 제출하였으며 같은 해 10월에 국무원의 득허로 중국자동차공업공사(中国汽车工业公司)를 설립하였다. 11월에 베이징지역의 제일기계공업부 산하 기업들인 베이징자동차, 베이징기어공장, 탕산기어공장, 베이징제일자동차부품공장(北京第一汽车附件厂), 베이징제2자동차부품공장(北京第二汽车附件厂) 등 기업들을 통합하여 중국자동차공업공사 베이징지사를 설립하였다. 1960년대 후반에 진입하여 베이징시 자동차공업은 중국내 자동차업계에서 제일자동차 다음으로 실력을 가지게 되었으며 BJ212 CUV, BJ130 경형트럭, BM021모터사이클, 492Q 가솔린엔진, 4115디젤엔진을 가진 년 만대이상의 생산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중국내 상기 제품의 소요에 비추어 베이징시 정부는 생산능력을 확장하고 관련 기업들의 협업을 추진하는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1973년 7월 30일에 베이징자동차그룹의 전신인 베이징시자동차공업공사(北京市汽车工业公司)를 설립하였다. 베이징시 각 부처소속으로 되어 있던 10개 주요기업과 베이징시산하 각 구, 각 현 소속으로 되어 있는 80개 부품업체들을 자동차공업공사에 통합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협업을 추진하고 부품의 80%이상을 현지에서 조달가능하게 하였다.[7]1980년에 베이징자동차의 생산실적은 2.8만대를 기록하였으며 베이징시자동차공업공사 설립초기 대비 한 배이상 향상되었다.

베이징자동차공업공사 단계(1973년-2000년)

1980년 12월에 베이징시 자동차산업의 발전에 비추어 베이징시자동차공업공사는 베이징자동차공업본사(北京汽车工业总公司)로 회사변경을 추진하였다. 개혁개방의 추진에 따라 각 구와 현 소속으로 되어 있던 33개 기업들을 전부 베이징시자동차공업본사의 소속으로 통합하여 자동차부품본공장(汽车配件总厂)과 엔진부품본공장(内燃机配件总厂)에 귀속시켰으며 1990년대 초반에 년간 생산량을 10만대 이상까지 올렸다. 이는 그 때 중국 자동차 총생산량의 16%를 차지하였다. 이 단계는 베이징시 자동차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던 단계였다.

1980년대 중반에 중국의 계획경제가 시장경제로 전환하면서 베이징시 정부도 중앙의 지시에 따라 행정조직이었던 베이징자동차공업본사를 자주 경영형 베이징자동차연합공사(北京汽车工业联合公司)로 변경을 하였으며 경영관리 방식을 이사회의 관리하에 기업총괄, 부총괄이 기업운영을 책임지는 방식으로 결정하였다. 연합공사 특징이 연합에 있기에 소속 기업을 대상한 통제력이 부족하였으며 이로서 베이징시 자동차 산업은 치열했던 경쟁에서 밀리게 되었으며 중간에 파란만장을 겪다가 결국 2010년에 그룹화로 가게 되었다.

1980년대에 국제상황은 거대한 변화들이 발생하였으며 중국의 기업들도 개혁개방의 붐을 타고 외국기업들과의 합작을 추진하였다. 베이징자동차공장도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외국기업과의 합작을 추진하였으며 1983년에 아메리칸모터스(American Motors Corporation 약칭:AMC)[8]와 합자회사 베이징지프의 설립계약을 체결하고 1984년 1월에 정식으로 베이징지프(北京吉普汽车有限公司, Beijing Jeep Corporation)을 설립하였다. 이는 중국자동차업계에서 처음으로 설립 된 중외합자기업이다. 베이징지프는 AMC가 1987년에 크라이슬러(Chrysler)에 인수된 뒤에서 지속 운영되였으며 1998년에 독일의 다임러벤츠(Daimler-Benz AG)가 크라이슬러를 인수하면서 2005년에 파트너십을 종료하였다.[9]베이징지프를 설립하면서 베이징자동차는 BJ212 지프와 관련 된 건물, 인력, 시설을 합자회사에 넘겼으며 그런 뒤에 베이징자동차 본신은 제품, 공장, 인력 등 면에서 아무도 없는 난국에 처했다. 후에 BJ121 경형트럭을 개발하여 과도기 제품으로 하였으며 1984년 4,000대를 생산하고 1987년에 17,000대를 생산하였다. 1987년에 베이징모터사이클제조공장과 합병하여 베이징자동차모터사이클연합제조회사(北京汽车摩托车联合制造公司, Automobile and Motorcycle United Company,약칭:BAM)를 설립하였으며 계속 경형 CUV 사업을 추진하였다. 1994년에 산둥성주청시(山东省诸城市)트럭제조공장을 인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1996년 8월에 100개 기업과 공동으로 베이치푸텐(北汽福田, BAIC Foton Motor)을 설립하였다. 1998년 6월 2일에 베이치푸텐은 상하이증권거래소(上海证券交易所, Shanghai Stock Exchange)에 상장하였다. 2000년 9월에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北京汽车工业控股有限责任公司, Beijing Automotive Industry Holding Co., Ltd.,영문약칭:BAIHC)를 설립하였다.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2000년-2010년)

  • 2002년 10월 : 베이징 현대 자동차 유한회사 설립.
  • 2002년 12월 : 현대 쏘나타 생산 성공.
  • 2004년 12월 : 벤츠 공장 건설 시작.
  • 2006년 12월 : 베이징 자동차 연구원 유한회사 정식 설립.
  • 2009년 11월 : 베이징 대체에너지 자동차 유한회사 설립.
  • 2010년 09월 : 베이징 자동차 집단 유한회사로 개명.
  • 2013년 11월 : 창허자동차(北汽昌河)설립.
  • 2014년 11월 : 베이징 판 태평양 항공 테크놀로지(北京泛太平洋航空有限公司) 설립.
  • 2014년 12월 : 홍콩증권거래소 상장 주식코드 : 01958.[10]

회사 브랜드

  • 세노바(北汽绅宝, běi qì shēn bǎo) : 2012년 3월에 출시한 자체 브랜드.
  • 베이징(北京牌, běi jīng pái) : 자체로 출시한 브랜드 "베이징" 지프차(越野车).
  • 벤츠(北京奔驰, běi jīng bēn chí) : 2005년 8월에 다임러(Daimler AG)와 설립한 합자회사.
  • 현대(北京现代, běi jīng xiàn dài) : 2002년 10월에 현대와 설립한 합자회사.
  • 포톤(北汽福田, běi qì fú tián) : 1996년 8월에 설립한 자체 브랜드 회사.
  • 벤츠(福建奔驰, fú jiàn bēn chí) : 2007년 6월에 홍콩 다임러와 설립한 합자회사.
  • 창허(北汽昌河, běi qì chāng hé) : 베이징자동차그룹에서 70%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브랜드.
  • 환수(北汽幻速, běi qì huàn sù) : 2014년 3월에 출시한 자체 브랜드.
  • 신능왠(北汽新能源, běi qì xīn néng yuán) : 2009년 10월에 설립한 대체에너지, 전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브랜드.
  • 웨이왕(北汽威旺, běi qì wēi wàng) : 2011년 3월에 설립한 자체 브랜드.[11]

각주

  1. 北京汽车集团有限公司〉, 《北汽集团》
  2. 北京汽车集团有限公司〉, 《北汽集团》
  3. 汽车之家, 〈中国汽车工业70年变革——1969-1979〉, 《知乎》
  4. "GAZ-69", Wikipedia
  5. 莫佳勇, 〈世纪长安丨长安人的责任与执着,铸造中国第一辆吉普车〉, 《腾讯网》, 2019-10-14
  6. "Willys MB", Wikipedia
  7. 郑焕明, 〈我所知道的北京汽车工业〉, 《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8. "American Motors Corporation", Wikipedia
  9. "Beijing Benz", Wikipedia
  10. 北汽集团〉, 《百度百科》
  11. 车主指南, 〈北汽集团旗下九个品牌〉, 《车主指南》, 2018-12-26

참고 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의견.png 이 베이징자동차그룹 문서는 자동차 회사에 관한 글로서 내용 추가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