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개요)
잔글 (개요)
8번째 줄: 8번째 줄:
 
2009년 기준으로 45명의 연구진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2011년 8월 기준으로 60명 수준의 연구진을 보유하였다. 2011년 당시 연구소 내부 조직으로는 시장연구팀, 혁신전략1팀, 혁신전략 2팀, 정보서비스팀, 미래트랜드연구소 등 7개 팀을 갖고 있었으며 산업 정책, 경영 연구, 마케팅, 미래 트렌드 등의 연구를 추진하였다.   
 
2009년 기준으로 45명의 연구진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2011년 8월 기준으로 60명 수준의 연구진을 보유하였다. 2011년 당시 연구소 내부 조직으로는 시장연구팀, 혁신전략1팀, 혁신전략 2팀, 정보서비스팀, 미래트랜드연구소 등 7개 팀을 갖고 있었으며 산업 정책, 경영 연구, 마케팅, 미래 트렌드 등의 연구를 추진하였다.   
  
2016년 7월에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20년 12월에 현대차그룹내 연구와 인재 개발조직을 통합하면서 'HMG경영연구원'에 편입되었다. HMG경영연구원의 총괄관리자는 원 기아차 감사실 실장을 맡고 있던 김견 부사장이 선임되었다.
+
2016년 7월에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20년 12월에 현대차그룹내 연구와 인재 개발조직이 통합되면서 'HMG경영연구원'에 편입되었다. HMG경영연구원의 총괄관리자는 원 기아차 감사실 실장을 맡고 있던 김견 부사장이 선임되었다.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 말대 소장은 이보성 상무였다.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 말대 소장은 이보성 상무였다.

2021년 6월 2일 (수) 10:34 판

현대자동차그룹(Hyundai Motor Group)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현대자동차그룹 산하의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가 2016년 7월 12일에 상호를 변경하면서 출현하였다.[1]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는 1999년에 설립되었으며 서울시 서초구 헌륭로 12호에 본부를 두고 있다. 말대 연구소장은 이보성(李普聖) 상무가 맡았다. 2020년 12월 17일에 현대차그룹에서 그룹 내 연구와 인재개발 조직을 통합하면서 산업연구조직이던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와 연수원 역할을 담당했던 인재개발원(원장 송미영 상무)을 합병하여 HMG경영연구원으로 만들었으며 신 조직의 총괄로 기아차 감사실장 김견 부사장을 선임하였다. 이러한 변경을 통하여 현대차그룹의 싱크탱크는 기존의 상무급 조직에서 부사장급 조직으로 위상이 올랐다.

개요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는 기존의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가 2016년 7월에 상호변경을 추진하면서 출현된 연구기관이며 현대자동차그룹에서 경제/경영/산업연구 기능을 수행하였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KARI)는 1999년에 현대자동차가 자동차업체의 글로벌화 등에 따른 국내외 자동차산업 연구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설립한 부설연구소이고 2000년 9월에 현대자동차가 현대그룹에서 계열 분리를 추진 할 때 현대경제연구원이 현재의 현대그룹에 남게 되면서 현대차그룹의 전문 연구소로 확대 개편되었다.

2009년 기준으로 45명의 연구진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2011년 8월 기준으로 60명 수준의 연구진을 보유하였다. 2011년 당시 연구소 내부 조직으로는 시장연구팀, 혁신전략1팀, 혁신전략 2팀, 정보서비스팀, 미래트랜드연구소 등 7개 팀을 갖고 있었으며 산업 정책, 경영 연구, 마케팅, 미래 트렌드 등의 연구를 추진하였다.

2016년 7월에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20년 12월에 현대차그룹내 연구와 인재 개발조직이 통합되면서 'HMG경영연구원'에 편입되었다. HMG경영연구원의 총괄관리자는 원 기아차 감사실 실장을 맡고 있던 김견 부사장이 선임되었다.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 말대 소장은 이보성 상무였다.

연혁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는 자동차업체의 글로벌화 등에 따른 국내외 자동차산업 연구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1999년에 설립된 현대자동차 부설 연구소였다. 2000년 9월에 현대자동차가 현대그룹에서 계열 분리를 추진 할 때 현대경제연구원이 현재의 현대그룹에 남게 되면서 현대차그룹의 전문 연구소로 확대 개편되었으며 2011년 8월에 경제상황의 정확한 예측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이의 기능을 종합경제연구소로 확대 강화하였다.

2016년 7월에 기존 명칭이 국가 기관, 기술 연구소 등 타 연구소 명칭과 혼란의 소지가 있다는 사유로 상호변경을 추진하여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로 되었으며 2020년 12월에 그룹내 연구와 인재 개발조직을 통합하면서 산업연구조직인 글로벌경영연구소와 연수원 조직인 인재개발원이 합병되어 HMG경영연구원으로 출범하였다. HMG경영연구원 총괄로는 원 기아자동차 감사실장이었던 김견 부사장이 선임되었다.

주요인물

□ 이보성

이보성 상무는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 소장이다.

2017년 2월 6일에 이사로 승진하였으며 2020년 4월 25일에 상무이사로 승진하였다.[2][3]

연구분야와 업무 소개

□ 연구부문

  • 경제분야 - 각 나라 경제분야의 운영계획과 정책, 각 나라 환율 정보, 원자재/원유, 국가간 통상정책 등의 정보수집과 분석한다. 업무추진 시 해외경제와 국내경제를 구분한다.
  • 자동차분야 - 선진시장, 내수시장, 신흥시장을 분류하여 정보수집과 분석을 추진하고 경쟁업체, 상품/브랜드의 정보수집과 분석을 추진하며 부품산업의 정보수집과 분석을 추진한다.
  • 신성장분야 - 전동화, 자율주행, 커낵티비티, 인공지능, 미래기술 관련 정보수집과 분석을 추진한다.
  • 보고서 - 주간 브리프, CEO 리포트, 경영환경전망, 정책이슈 및 기타 보고서를 발행하며 일일경제동향, BRICs 브리프, 환율동향, 자동차판매동향, 자동차경제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BRICs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을 가리킨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자료, 도서관)

각주

  1. 박재원 기자,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로 명칭 변경〉, 《서울경제》, 2016-07-12
  2. 포마블, 〈2020년 현대자동차 임원 명단〉, 《네이버 블로그》, 2020-04-25
  3. 최석환 기자, 〈현대차그룹 정기임원 인사 승진자 명단〉, 《머니투데이》, 2017-02-06

참고자료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가 필요합니다.  

  의견.png 이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 문서는 자동차 회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