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쉐보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쉐보레 로고.png|썸네일|300픽셀|'''쉐보레(Chevrolet)''']]
+
[[파일:쉐보레 로고.png|썸네일|300픽셀|'''쉐보레'''(Chevrolet)]]
[[파일:쉐보레 글자.png|썸네일|300픽셀|'''쉐보레(Chevrolet)''']]
+
[[파일:쉐보레 글자.png|썸네일|300픽셀|'''쉐보레'''(Chevrolet)]]
  
 
'''쉐보레'''(Chevrolet)는  1911년부터 출시된 미국 [[제너럴모터스]]의 자동차 상표 중의 하나이다. 제너럴모터스 브랜드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브랜드로 인정받고 있다. '셰비'(Chevy)라는 애칭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옛 [[대우자동차]]의 승용차 부문이 제너럴모터스에 매각된 이후 흡수되어 현재 [[한국지엠]]을 통하여 브랜드가 진출되었다. 쉐보레는 20가지 이상의 자동차를 판매하고 다양한 버전의 모델을 자국 시장에 판매하고 있고, 승용차와 중형 트럭 시장에서 유명하다. 대표적인 픽업 트럭으로는 실버라도가 있다.
 
'''쉐보레'''(Chevrolet)는  1911년부터 출시된 미국 [[제너럴모터스]]의 자동차 상표 중의 하나이다. 제너럴모터스 브랜드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브랜드로 인정받고 있다. '셰비'(Chevy)라는 애칭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옛 [[대우자동차]]의 승용차 부문이 제너럴모터스에 매각된 이후 흡수되어 현재 [[한국지엠]]을 통하여 브랜드가 진출되었다. 쉐보레는 20가지 이상의 자동차를 판매하고 다양한 버전의 모델을 자국 시장에 판매하고 있고, 승용차와 중형 트럭 시장에서 유명하다. 대표적인 픽업 트럭으로는 실버라도가 있다.
  
 
== 개요 ==
 
== 개요 ==
 +
쉐보레는 1911년 11월 디트로이트에서 지엠의 설립자였던 윌리엄 듀런트(William Durant)와 경주차 레이서 루이스 쉐보레(Louis Chevrolet)에 의해 설립되었다. 회사의 이름을 '쉐보레(Chevrolet Motor Car Company)'로 지은 것은 당시 루이 쉐보레가 레이서로서 명성이 높았고, 쉐보레라는 발음이 듣기 좋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1914년, 쉐보레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파란색의 '보타이(BOWTIE)' 로고가 최초로 등장했다. 보타이 로고는 1930년대 후반 여러가지 다양한 모양의 보타이 엠블렘이 개발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다.<ref> 브랜드 스토리 쉐보레 공식 블로그 - https://blog.gm-korea.co.kr/696</ref> 설립 초기부터 쉐보레는 일반적으로 고가의 차량에만 적용되던 기술과 사양들을 합리적인 가격대의 차량과 트럭들에 적용해 왔다. 최초의 쉐보레 모델인 '시리즈 C 클래스 식스(six)' 모델에는 전기 시동 장치와 헤드램프를 탑재했는데, 이 기능들은 당시 최고급 차량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사양이었다. 그 이후 수십년간 세이프티 글래스, 연료 분사식 엔진, ABS, 그리고 전자식 차체 안정화 시스템처럼 고가의 차량에만 적용되던 혁신적 기술들이 쉐보레의 대중적 모델들에 적용되었다.<ref> 브랜드 히스토리 쉐보레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hevrolet.co.kr/chevy/brand-history.gm</ref> 쉐보레 브랜드 차량은 전 세계 대부분의 자동차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2005년 쉐보레는 한국 지엠대우가 만든 자동차를 주로 유럽에서 재출시했는데, 이는 제너럴모터스가 쉐보레(Chevrolet)를 중심으로 글로벌 브랜드를 구축하려는 시도에 뿌리를 둔 움직임이었다. 유럽에 쉐보레가 재도입되면서 지엠은 쉐보레를 주류 가치 브랜드로 삼고, 지엠의 전통적인 유럽 표준 비어인 독일의 오펠과 영국의 보크홀은 시장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엠은 2013년 말 카마로와 코르벳을 제외한 브랜드가 2016년부터 유럽에서 철수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이러한 움직임을 뒤집었다. 쉐보레 차량은 러시아를 포함한 독립국가연합(CIS) 주에서 계속 시판될 예정이었다. 제너럴모터스가 2011년 지엠대우를 완전 인수해 한국지엠을 만든 뒤, 대우차 브랜드의 마지막 사용처가 본고장 한국에서 중단되고 쉐보레가 뒤를 이었다. 북미에서 쉐보레는 준중형 승용차부터 중형 상용 트럭까지 다양한 차량을 생산해 판매한다. 제너럴 모터스의 글로벌 마커 중 하나로 쉐보레가 유명하고 이름을 인정받았기 때문에, 쉐보레, 셰비는 제너럴 모터스나 그 제품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ref name="위키피디아">Chevrolet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hevrolet </ref>     
  
 
{{각주}}
 
{{각주}}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
+
* 브랜드 히스토리 쉐보레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hevrolet.co.kr/chevy/brand-history.gm
 +
* 브랜드 스토리 쉐보레 공식 블로그 - https://blog.gm-korea.co.kr/696
 +
* Chevrolet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hevrolet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제너럴모터스]]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2020년 9월 7일 (월) 15:36 판

쉐보레(Chevrolet)
쉐보레(Chevrolet)

쉐보레(Chevrolet)는 1911년부터 출시된 미국 제너럴모터스의 자동차 상표 중의 하나이다. 제너럴모터스 브랜드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브랜드로 인정받고 있다. '셰비'(Chevy)라는 애칭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옛 대우자동차의 승용차 부문이 제너럴모터스에 매각된 이후 흡수되어 현재 한국지엠을 통하여 브랜드가 진출되었다. 쉐보레는 20가지 이상의 자동차를 판매하고 다양한 버전의 모델을 자국 시장에 판매하고 있고, 승용차와 중형 트럭 시장에서 유명하다. 대표적인 픽업 트럭으로는 실버라도가 있다.

개요

쉐보레는 1911년 11월 디트로이트에서 지엠의 설립자였던 윌리엄 듀런트(William Durant)와 경주차 레이서 루이스 쉐보레(Louis Chevrolet)에 의해 설립되었다. 회사의 이름을 '쉐보레(Chevrolet Motor Car Company)'로 지은 것은 당시 루이 쉐보레가 레이서로서 명성이 높았고, 쉐보레라는 발음이 듣기 좋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1914년, 쉐보레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파란색의 '보타이(BOWTIE)' 로고가 최초로 등장했다. 보타이 로고는 1930년대 후반 여러가지 다양한 모양의 보타이 엠블렘이 개발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다.[1] 설립 초기부터 쉐보레는 일반적으로 고가의 차량에만 적용되던 기술과 사양들을 합리적인 가격대의 차량과 트럭들에 적용해 왔다. 최초의 쉐보레 모델인 '시리즈 C 클래스 식스(six)' 모델에는 전기 시동 장치와 헤드램프를 탑재했는데, 이 기능들은 당시 최고급 차량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사양이었다. 그 이후 수십년간 세이프티 글래스, 연료 분사식 엔진, ABS, 그리고 전자식 차체 안정화 시스템처럼 고가의 차량에만 적용되던 혁신적 기술들이 쉐보레의 대중적 모델들에 적용되었다.[2] 쉐보레 브랜드 차량은 전 세계 대부분의 자동차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2005년 쉐보레는 한국 지엠대우가 만든 자동차를 주로 유럽에서 재출시했는데, 이는 제너럴모터스가 쉐보레(Chevrolet)를 중심으로 글로벌 브랜드를 구축하려는 시도에 뿌리를 둔 움직임이었다. 유럽에 쉐보레가 재도입되면서 지엠은 쉐보레를 주류 가치 브랜드로 삼고, 지엠의 전통적인 유럽 표준 비어인 독일의 오펠과 영국의 보크홀은 시장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엠은 2013년 말 카마로와 코르벳을 제외한 브랜드가 2016년부터 유럽에서 철수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이러한 움직임을 뒤집었다. 쉐보레 차량은 러시아를 포함한 독립국가연합(CIS) 주에서 계속 시판될 예정이었다. 제너럴모터스가 2011년 지엠대우를 완전 인수해 한국지엠을 만든 뒤, 대우차 브랜드의 마지막 사용처가 본고장 한국에서 중단되고 쉐보레가 뒤를 이었다. 북미에서 쉐보레는 준중형 승용차부터 중형 상용 트럭까지 다양한 차량을 생산해 판매한다. 제너럴 모터스의 글로벌 마커 중 하나로 쉐보레가 유명하고 이름을 인정받았기 때문에, 쉐보레, 셰비는 제너럴 모터스나 그 제품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3]

각주

  1. 브랜드 스토리 쉐보레 공식 블로그 - https://blog.gm-korea.co.kr/696
  2. 브랜드 히스토리 쉐보레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hevrolet.co.kr/chevy/brand-history.gm
  3. Chevrolet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hevrolet

참고 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쉐보레 문서는 자동차 회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