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폰티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 개요 ==
 
== 개요 ==
폰티악은 [[미국]]의 자동차 제조 기업인 [[제너럴모터스]]의 자회사로, 스포츠성을 강조한 고성능 자동차를 생산하는 브랜드였다. 폰티악은 1926년에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1909년에 인수된 제너럴모터스의 프리미엄 브랜드였던 [[오클랜드]](Oakland)의 주니어 브랜드였으나, 이후 폰티악의 인기가 오클랜드를 넘어서며 1931년에 오클랜드가 폐쇄되었고, 1933년에 폰티악이 제너럴모터스의 사업부로 대체되었다. 폰티악은 주로 북미에서 판매되는 내수용 브랜드였으며, 초기에는 고급 자동차로 포지셔닝 하였으나, 1960년대에 스포츠성을 강조한 고성능 모델을 적절한 가격으로 판매하며 젊은층 중심 브랜드로 전환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폰티악의 라디에이터 그릴이 [[비엠더블유]](BMW)의 키드니 그릴과 비슷하였기 때문에 가난한자의 비엠더블유라고 불리기도 하면서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었다. 본국인 미국보다도 [[캐나다]]에서 더 높은 인기를 끌며 판매량 1위를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1980년대부터 판매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2009년 4월 27일 제너럴모터스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구조조정을 실시하였고, 약 10조 원 이상의 부채를 갖고 있던 폰티악 브랜드의 폐쇄가 결정되어 2009년 12월에 마지막 폰티악의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을 끝으로 2010년 10월 31일에 [[새턴]](Saturn)과 함께 브랜드가 해체되었다.<ref name="나무폰티악"> 〈[https://namu.wiki/w/%ED%8F%B0%ED%8B%B0%EC%95%85 폰티악]〉, 《나무위키》 </ref><ref name="위키폰티액"> 〈[https://ko.wikipedia.org/wiki/%ED%8F%B0%ED%8B%B0%EC%95%A1 폰티액]〉, 《위키백과》 </ref><ref name="폰티악외국"> 〈[https://en.wikipedia.org/wiki/Pontiac_(automobile) Pontiac (automobile)]〉, 《Wikipedia》 </ref> 대한민국에는 1988년부터 1993년까지 폰티악의 [[르망]](Lemans)에 르망 고유의 로고를 부착한 뱃지 엔지니어링 버전의 모델인 [[지엠대우]](GM Daewoo)의 [[대우 르망]]이 판매되기도 하였다.<ref name="나무 폰티악르망"> 〈[https://namu.wiki/w/%ED%8F%B0%ED%8B%B0%EC%95%85%20%EB%A5%B4%EB%A7%9D 폰티악 르망]〉, 《나무위키》 </ref><ref name="나무 대우르망"> 〈[https://namu.wiki/w/%EB%8C%80%EC%9A%B0%20%EB%A5%B4%EB%A7%9D 대우 르망]〉, 《나무위키》 </ref>
+
폰티악은 [[미국]]의 자동차 제조 기업인 [[제너럴모터스]]의 자회사로, 스포츠성을 강조한 고성능 자동차를 생산하는 브랜드였다. 폰티악은 1926년에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1909년에 인수된 제너럴모터스의 프리미엄 브랜드였던 [[오클랜드]](Oakland)의 주니어 브랜드였으나, 이후 폰티악의 인기가 오클랜드를 넘어서며 1931년에 오클랜드가 폐쇄되었고, 1933년에 폰티악이 제너럴모터스의 사업부로 대체되었다. 폰티악은 주로 북미에서 판매되는 내수용 브랜드였으며, 초기에는 고급 자동차로 포지셔닝 하였으나, 1960년대에 스포츠성을 강조한 고성능 모델을 적절한 가격으로 판매하며 젊은층 중심 브랜드로 전환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폰티악의 라디에이터 그릴이 [[비엠더블유]](BMW)의 키드니 그릴과 비슷하였기 때문에 가난한자의 비엠더블유라고 불리기도 하면서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었다. 본국인 미국보다도 [[캐나다]]에서 더 높은 인기를 끌며 판매량 1위를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판매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2009년 4월 27일 제너럴모터스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구조조정을 실시하였고, 약 10조 원 이상의 부채를 갖고 있던 폰티악 브랜드의 폐쇄가 결정되어 2009년 12월에 마지막 폰티악의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을 끝으로 2010년 10월 31일에 [[새턴]](Saturn)과 함께 브랜드가 해체되었다.<ref name="나무폰티악"> 〈[https://namu.wiki/w/%ED%8F%B0%ED%8B%B0%EC%95%85 폰티악]〉, 《나무위키》 </ref><ref name="위키폰티액"> 〈[https://ko.wikipedia.org/wiki/%ED%8F%B0%ED%8B%B0%EC%95%A1 폰티액]〉, 《위키백과》 </ref><ref name="폰티악외국"> 〈[https://en.wikipedia.org/wiki/Pontiac_(automobile) Pontiac (automobile)]〉, 《Wikipedia》 </ref> 대한민국에는 1988년부터 1993년까지 폰티악의 [[르망]](Lemans)에 르망 고유의 로고를 부착한 뱃지 엔지니어링 버전의 모델인 [[지엠대우]](GM Daewoo)의 [[대우 르망]]이 판매되기도 하였다.<ref name="나무 폰티악르망"> 〈[https://namu.wiki/w/%ED%8F%B0%ED%8B%B0%EC%95%85%20%EB%A5%B4%EB%A7%9D 폰티악 르망]〉, 《나무위키》 </ref><ref name="나무 대우르망"> 〈[https://namu.wiki/w/%EB%8C%80%EC%9A%B0%20%EB%A5%B4%EB%A7%9D 대우 르망]〉, 《나무위키》 </ref>
  
 
== 역사 ==
 
== 역사 ==
폰티악의 기원은 1907년에 설립된 [[미국]] 미시간주 폰티악 지역에서 마차 제조업체였던 [[오클랜드]]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9년에 오클랜드가 [[제너럴모터스]]에 인수되어 고급 자동차를 생산하는 제너럴모터스의 산하 브랜드가 되었고, 1926년에 오클랜드의 주니어 브랜드 격인 폰티악이 설립되었다. 최초의 폰티악 모델은 1916년에 출시되었던 [[오클랜드 식스]](Oakland Six)의 저렴한 버전인 [[폰티악 식스]](Pontiac Six)로, 6기통 엔진을 장착하였다. 해당 모델을 통해 시니어 브랜드인 오클랜드보다 폰티악이 더 인기를 끌었고, 1929년에 발생한 월스트리트 대폭락으로 인해 1931년에 오클랜드 브랜드의 폐쇄가 결정되었고, 그대신 1933년에 더 저렴한 모델을 생산하는 폰티악이 제너럴모터스의 자체 사업부로 대체되었다.  
+
=== 1926년 ~ 1945년 ===
 +
폰티악의 기원은 1907년에 설립된 [[미국]] 미시간주 폰티악 지역에서 마차 제조업체였던 [[오클랜드]]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9년에 오클랜드가 [[제너럴모터스]]에 인수되어 고급 자동차를 생산하는 제너럴모터스의 산하 브랜드가 되었고, 1926년에 오클랜드의 주니어 브랜드 격인 폰티악이 설립되었다. 최초의 폰티악 모델은 1916년에 출시되었던 [[오클랜드 식스]](Oakland Six)의 저렴한 버전인 [[폰티악 식스]](Pontiac Six)로 개명한 폰티악 6-27이며, 6기통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 속도 80km/h의 성능을 발휘하였다. 해당 모델로 인해 시니어 브랜드인 오클랜드보다 폰티악이 더 인기를 끌게 되었고, 1929년에 발생한 월스트리트 대폭락으로 인해 1931년에 오클랜드 브랜드의 폐쇄가 결정되었다. 이후 1933년에 더 저렴한 모델을 생산하는 폰티악이 오클랜드를 대신하여 제너럴모터스의 자체 사업부가 되었다. 이후 폰티악은 1940년 부터 1924년까지 [[토르페도]](Torpedo)를 생산하였으나, 1939년에 2차 세계대전이 발생하여 1945년까지 자동차 생산을 중단하고 군수품을 만들다가 1946년부터 다시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
=== 1946년 ~ 1954년 ===
 +
1946년부터 1948년까지 생산된 폰티악의 자동차들은 1942년에 생산되었던 모델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1949년부터 새로운 모델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49년에 제너럴모터스의 산하 브랜드인 [[올즈모빌]](Oldsmobile)과 [[뷰익]](Buick)과 공유하는 B-바디 플랫폼을 적용한 [[치프틴]](Chieftain) 라인을 생산하였고, 이후 치프틴 라인은 1950년에 하드톱 [[쿠페]]인 [[카탈리나]](Catalina)로 대체되었고, 1952년에는 [[쉐보레]](Chevrolet)와 공유하는 A-바디 플랫폼을 적용한 스타 치프(Star Chief)라인업이 추가되어 1954년까지 생산되었다.
 +
=== 1955년 ~ 19  년 ===
 +
 
 +
 
 +
 
 +
1960년대만 해도 미국 내 판매 3위 브랜드에 오를 정도로 절정의 인기를 누렸으며, 1973년에는 100만대 가까운 판매고를 올리기도 했다. 폰티악은 출시 이후 2009년까지 총 4000만대가 판매됐다.<ref name="폰티악판매"> 김기훈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043846593161456&mediaCodeNo=257 84년 역사 폰티악 브랜드 `아듀`]〉, 《이데일리》, 2010-11-01 </ref>
  
 
== 주요모델 ==
 
== 주요모델 ==

2021년 9월 23일 (목) 13:53 판

폰티악(Pontiac)
폰티악(Pontiac)
제너럴모터스(GM)
제너럴모터스(GM)

폰티악(Pontiac)은 미국의 자동차 제조 기업인 제너럴모터스(General Motors Corporation) 산하의 고급 자동차 브랜드로, 1926년에 설립되어 스포츠성을 강조한 고성능 자동차를 적절한 가격으로 제공하여 젊은층에게 인기를 끌었었으며, 폰티액이라고도 불렸다. 그러나 2009년에 제너럴모터스의 경영위기로 인해 구조조정에 들어가 폰티악의 생산이 중단되었고, 2010년에 브랜드가 폐쇄되어 현재는 사라진 브랜드이다. 폰티악의 브랜드명은 유명한 오타와 추장의 이름을 딴 지역인 미시간주 폰티악 지역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폰티악 지역은 해당 브랜드의 자동차가 생산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개요

폰티악은 미국의 자동차 제조 기업인 제너럴모터스의 자회사로, 스포츠성을 강조한 고성능 자동차를 생산하는 브랜드였다. 폰티악은 1926년에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1909년에 인수된 제너럴모터스의 프리미엄 브랜드였던 오클랜드(Oakland)의 주니어 브랜드였으나, 이후 폰티악의 인기가 오클랜드를 넘어서며 1931년에 오클랜드가 폐쇄되었고, 1933년에 폰티악이 제너럴모터스의 사업부로 대체되었다. 폰티악은 주로 북미에서 판매되는 내수용 브랜드였으며, 초기에는 고급 자동차로 포지셔닝 하였으나, 1960년대에 스포츠성을 강조한 고성능 모델을 적절한 가격으로 판매하며 젊은층 중심 브랜드로 전환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폰티악의 라디에이터 그릴이 비엠더블유(BMW)의 키드니 그릴과 비슷하였기 때문에 가난한자의 비엠더블유라고 불리기도 하면서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었다. 본국인 미국보다도 캐나다에서 더 높은 인기를 끌며 판매량 1위를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판매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2009년 4월 27일 제너럴모터스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구조조정을 실시하였고, 약 10조 원 이상의 부채를 갖고 있던 폰티악 브랜드의 폐쇄가 결정되어 2009년 12월에 마지막 폰티악의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을 끝으로 2010년 10월 31일에 새턴(Saturn)과 함께 브랜드가 해체되었다.[1][2][3] 대한민국에는 1988년부터 1993년까지 폰티악의 르망(Lemans)에 르망 고유의 로고를 부착한 뱃지 엔지니어링 버전의 모델인 지엠대우(GM Daewoo)의 대우 르망이 판매되기도 하였다.[4][5]

역사

1926년 ~ 1945년

폰티악의 기원은 1907년에 설립된 미국 미시간주 폰티악 지역에서 마차 제조업체였던 오클랜드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9년에 오클랜드가 제너럴모터스에 인수되어 고급 자동차를 생산하는 제너럴모터스의 산하 브랜드가 되었고, 1926년에 오클랜드의 주니어 브랜드 격인 폰티악이 설립되었다. 최초의 폰티악 모델은 1916년에 출시되었던 오클랜드 식스(Oakland Six)의 저렴한 버전인 폰티악 식스(Pontiac Six)로 개명한 폰티악 6-27이며, 6기통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 속도 80km/h의 성능을 발휘하였다. 해당 모델로 인해 시니어 브랜드인 오클랜드보다 폰티악이 더 인기를 끌게 되었고, 1929년에 발생한 월스트리트 대폭락으로 인해 1931년에 오클랜드 브랜드의 폐쇄가 결정되었다. 이후 1933년에 더 저렴한 모델을 생산하는 폰티악이 오클랜드를 대신하여 제너럴모터스의 자체 사업부가 되었다. 이후 폰티악은 1940년 부터 1924년까지 토르페도(Torpedo)를 생산하였으나, 1939년에 2차 세계대전이 발생하여 1945년까지 자동차 생산을 중단하고 군수품을 만들다가 1946년부터 다시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46년 ~ 1954년

1946년부터 1948년까지 생산된 폰티악의 자동차들은 1942년에 생산되었던 모델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1949년부터 새로운 모델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49년에 제너럴모터스의 산하 브랜드인 올즈모빌(Oldsmobile)과 뷰익(Buick)과 공유하는 B-바디 플랫폼을 적용한 치프틴(Chieftain) 라인을 생산하였고, 이후 치프틴 라인은 1950년에 하드톱 쿠페카탈리나(Catalina)로 대체되었고, 1952년에는 쉐보레(Chevrolet)와 공유하는 A-바디 플랫폼을 적용한 스타 치프(Star Chief)라인업이 추가되어 1954년까지 생산되었다.

1955년 ~ 19 년

1960년대만 해도 미국 내 판매 3위 브랜드에 오를 정도로 절정의 인기를 누렸으며, 1973년에는 100만대 가까운 판매고를 올리기도 했다. 폰티악은 출시 이후 2009년까지 총 4000만대가 판매됐다.[6]

주요모델

현황

각주

  1. 폰티악〉, 《나무위키》
  2. 폰티액〉, 《위키백과》
  3. Pontiac (automobile)〉, 《Wikipedia》
  4. 폰티악 르망〉, 《나무위키》
  5. 대우 르망〉, 《나무위키》
  6. 김기훈 기자, 〈84년 역사 폰티악 브랜드 `아듀`〉, 《이데일리》, 2010-11-01

참고자료

같이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폰티악 문서는 자동차 회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