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의견.png

베이징자동차그룹

해시넷
martinyj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0월 16일 (금) 12:17 판 (그린에너지 자동차)
이동: 둘러보기, 검색
베이징자동차그룹(北汽集团)
베이징자동차그룹(北汽集团)

베이징자동차그룹(北汽集团, běi qì jí tuán, Beijing Automotive Group, 영문약칭:BAIC)은 중국의 5대 자동차그룹 중의 하나이다. 2000년부터 베이징자동차산업홀딩스(北京汽车工业控股有限责任公司, Beijing Automotive Industry Holding Co., Ltd.,)라는 상호를 사용하다가 2010년 11월에 베이징자동차그룹유한공사(北京汽车集团有限公司)라는 상호로 변경하였다. 1958년에 설립되었으며 베이징에 본부를 두고 있다. 수십년간의 발전을 거쳐 베이징자동차그룹은 자동차와 부품의 개발과 제조, 중고차사업, 종합교통서비스, 금융과 투자, 일반 항공(General Aviation))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국유 대형 기업그룹으로 되었으며 2020년에는 포춘매거진(Fortune)이 평가한 글로벌 500대 기업 리스트에서 134 번째 순위의 기업으로 되어 있었다. 베이징자동차그룹의 현직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대표이사, 이사장은 지앙데이(姜德义, jiāng dé yì)이며 2020년 7월 31일부터 역할을 하고 있다.[1]

개요

베이징자동차그룹은 베이징을 중심으로 중국 10여 개 성(省)과 도시에 분포하는 자체 브랜드 승용차 기지, 자체 브랜드 상무용 완성차 기지, 대체에너지 완성차 기지, 합작 브랜드 승용차 기지, 범용 항공 산업 기지를 건설하였으며 연구 개발센터는 5개 나라에 설립되어 있다. 베이징자동차그룹은 "전동화, 지능화, 네트워크화, 공유화"의 혁신 발전 이념을 견지하여 자원 최적화 통합과 핵심 능력 재건을 강력히 추진하고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을 앞서 배치하며 스마트 데이터 공유,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 연구와 산업화 탐구를 적극적으로 전개하여 자체 브랜드의 핵심 경쟁력을 창조하여 자동차 시장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2]

베이징자동차그룹은 새로운 시대의 요구와 날로 업그레이드되는 소비 수요에 따라 시종 업종의 변화 선두에 서서 "혁신, 조화, 녹색, 개방, 공유"의 발전 이념을 견지하고 전략적 전환을 심도 있게 추진하며 첨단 제품, 대체에너지 창신, 특색 있는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며 브랜드 개념, 첨단화, 규모화, 글로벌화, 저 탄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조 서비스 기업과 창신형 기업이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베이징자동차그룹은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자동차 제조 업체와 서비스 제공, 고품질 이동 서비스의 선두 기업이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주요인물

쉬허이

쉬허이(徐和谊) 베이징자동차 전임 이사장, 전임 공산당위원회 서기

쉬허이(徐和谊)는 베이징자동차그룹의 전임 공산당위원회 서기이자 이사장이며 현직 베이징자동차유한주식회사의 공산당위원회 서기이자 이사장이다. 중국자동차산업협회 부회장이며 중국기업개혁과발전연구회 부회장이고 베이징산업경제연합회회장이다.

1957년 11월에 출생하였으며 1978년에 베이징강철학원(北京钢铁学院)에 진학하여 강철야금학과를 전공하고 1982년에 졸업하였다. 1996년부터 선후로 중-유럽 국제경영학원(中欧国际工商学院, China Europe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 화중과기대에서 수업하고 경영학 석사와 관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2년에 대학교를 졸업한 뒤 서우강그룹(首钢集团, Shougang Group Co., Ltd.,)에 배치 받았으며 1993년까지 서우강설계원에서 연구원, 실장, 원장을 역임한 뒤 1993년부터 그룹본부에서 선후로 총괄보, 부총괄 등 직을 맡아가면서 1997년까지 역할하였다. 1997년부터 정계에 진입하여 베이징시 경제위원회 공산당위원회 부서기 겸 부주임으로 역할하다가 2001년에 베이징시 공산당위원회 산업사무관리위원회 부서기 겸 베이징시 경제위원회 부주임으로 임직하였으며 2002년에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北京汽车工业控股有限责任公司, Beijing Automotive Industry Holding Co., Ltd.,영문약칭:BAIHC) 공산당위원회 부서기 겸 부이사장, 베이징현대자동차 공산당위원회 서기 겸 이사장으로 임명을 받았다.

BAIHC에 임직한 뒤 쉬허이는 현대자동차와의 합작프로젝트에 전력을 기울여 2002년에 계약체결, 회사설립, 양산개시 등을 추진완료하였으며 3년안에 30만대 생산능력을 구축하여 양호한 경영실적을 달성하였다. 2005년에 메르세데스 벤츠와의 합작프로젝트의 주도자로 역할을 하여 베이징벤츠를 설립하였으며 베이징벤츠는 2006년 12월에 벤츠 E280, E200K 모델을 출시하였다. 2006년 10월에 BAIHC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이사장으로 승진하였으며 그 뒤에 자동차부품회사 베이징하이나츠완자동차부품주식회사(北京海纳川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Beijing Hainachuan Automotive Parts Co., Ltd.)의 설립, 2009년 사브(Saab)기술의 도입, 2010년 베이징자동차유한주식회사의 설립, 2013년부터 자주 브랜드 세노바(Senova) 시리즈 승용차 개발, 그린에너지자동차 프로젝트, 2014년 홍콩연합거래소 주식상장 등의 프로젝트 총괄관리자로 역할하였다.

2020년 7월 31일에 베이징자동차그룹의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이사장 직위를 후임자 원 베이징 진위그룹(北京金隅集团, BBMG Corporation Ltd.)의 이사장인 지앙데이(姜德义)한테로 넘겼다.[3][4][5][6]

지앙데이

지앙데이(姜德义) 베이징자동차그룹 현직 공산당위원회 서기, 이사장

지앙데이(姜德义, jiāng dé yì)는 현직 베이징자동차그룹의 공산당위원회서기이고 이사장이며 베이징 진위그룹(北京金隅集团, BBMG Corporation Ltd.) 공산당위원회 서기이고 베이징자동차그룹 블루파크 뉴에너지 테크놀로지(北汽蓝谷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Baic Bluepark New Energy Technology Co.,Ltd.)[7]의 대표이사이자 이사장이다.

1964년에 출생하였으며 2009년에 베이징과기대(北京科技大学,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Beijing) 강철야금학과를 졸업하였다.

1986년에 베이징시 류리허세멘트공장(北京市琉璃河水泥厂, Beijing Liulihe Cement Factory)에 취직하여 1994년까지 기술과 간부로 근무하였으며 그 뒤 2002년 11월까지 공장장보, 부총괄엔지니어 겸 과기처 처장, 부공장장을 역임하였다. 2002년 11월부터 베이징 진위그룹의 부총괄엔지니어와 류리허세멘트공장의 공장장으로 역할하였으며 2005년 12월부터 진위그룹 세멘트 사업부 부장, 세멘트지사 총괄, 진위 그룹 부총괄, 국유2급기업 허베이타이항화신건축재료유한공사(河北太行华信建材有限责任公司) 총괄, 허베이타이항세멘트유한주식회사(河北太行水泥股份有限公司) 총괄과 이사장 등 직을 역임하면서 2009년 9월까지 역할하였다. 그 뒤에 베이징진위그룹의 상무이사와 총괄, 허베이타이항세멘트유한주식회사 이사장, 베이징진위그룹 공산당위원회 상임위원으로 2015년 7월까지 역할하였으며 8월부터 베이징진위그룹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이사장, 베이징진위유한주식회사 이사장,총괄로 2020년 7월 30일까지 임직하였다.

2020년 7월 31일에 베이징자동차그룹 공산당서기와 이사장으로 임명되었다.[8][9][10]

연혁

1951년~1973년

1953년 7월에 지린성 창춘(吉林省长春市)에서 추진 된 중국제일자동차제조공장(第一汽车制造厂)의 건설과 더불어 부품공급의 차원에서 중국정부는 1951년에 설립된 중국인민해방군제6자동차수리공장[11]을 기반으로 1953년에 베이징에 베이징제일자동차부품공장(北京第一汽车附件厂)을 설립하고 카뷰레터(carburetor), 오일펌프, 헤드라이트를 비롯한 17종의 자동차부품을 생산하였다. 부품공장의 설립은 기업의 자동차수리부터 단일 부품의 소규모 생산, 다품목 대규모생산으로의 진화를 추진하고 기술인력들을 육성하여 추후 완성차제조분야에 진출할수 있는 기본 토대의 구축에 상당한 의미가 있었다. 그 당시 중국에는 자동차제조기업으로 유일하게 제일자동차제조공장이 있었으며 그 의 생산실력으로는 중국내 자동차소요를 만족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으며 중국 중앙정부도 제일자동차제조공장을 설립한 뒤에 재원의 부족으로 신규 자동차공장을 설립할 여력이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중앙정부는 대안으로 각 지방정부에서 지역상황을 스스로 판단하여 자동차산업을 건설하였으면 하는 제안을 내놓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베이징제일자동차부품공장은 완성차제조능력이 없는 상황을 불구하고 폭스바겐의 비틀(Volkswagen Beetle)을 모델로 징강산(井冈山, jǐng gāng shān)브랜드의 승용차의 시험제작을 추진하였으며 이에 성공하였다. 이를 토대로 1958년 6월 20일에 베이징자동차제조공장(北京汽车制造厂)으로 공장이름을 변경하고 완성차제조분야로 진출하였다. 후에 베이징브랜드(北京牌) 고급승용차, 둥팡훙(东方红) 소형승용차, BJ750 소형승용차, BJ752 소형승용차, BJ210C, BJ212 경형CUV 등의 시험제작과 양산을 추진하였다.

1960년대 전까지 중국의 군용지휘차는 구쏘련의 고리키자동차제조공장(Gorky Automobile Factory)에서 생산한 GAZ-69 4륜구동 경형차[12]를 사용하였으며 1960년에 중국과 쏘련관계가 무너진 후 군용지휘차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되었다. 극히 불리한 상황에서 베이징자동차제조공장은 정부의 개발지시에 따라 군용지휘차 개발에 진입하였으며 창안자동차(长安汽车)의 전신인 충칭병기공장(重庆兵工厂)에서 생산한 창강 브랜드(长江牌) '46' 지프[13], 쏘련 고리키자동차제조공장의 GAZ269, 미국 월리스 오버랜드(Willys-Overland)의 월리스MB지프(Willys MB)[14]를 참조모델로 1969년 1월에 4륜구동 4-도어 군용지휘용차 BJ211, BJ212모델의 개발을 완성하였다. 후에 BJ212 모델이 양산인가를 받았으며 생산한 차량은 군용장비로 공급되었고 베이징자동차의 주력 생산제품으로 되었다. 1970년대 초반에 베이징자동차공장은 어느정도의 규모를 가진 자동차생산기지로 되었으며 년간 1.5만대 생산능력을 확보하였다. BJ212 모델은 현재까지도 중국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다.

1964년 5월에 중국정부의 제일기계공업부(中华人民共和国第一机械工业部, First Ministry of Machine Industry of the PRC)는 중국국가경제무역위원회(中华人民共和国国家经济贸易委员会, The State Economy & Trade Commission of the PRC)에 "자동차공업공사 시험운영 신청서"를 제출하였으며 같은 해 10월에 국무원의 승인을 받고 중국자동차공업공사(中国汽车工业公司)를 설립하였다. 11월에 제일기계공업부는 베이징지역의 산하 기업들인 베이징자동차, 베이징기어공장(北京齿轮厂), 탕산기어공장(唐山齿轮厂), 베이징제일자동차부품공장(北京第一汽车附件厂), 베이징제2자동차부품공장(北京第二汽车附件厂) 등 기업들을 통합하여 신규로 설립된 중국자동차공업공사 베이징지사에 귀속시켰다. 1960년대 말에 베이징시 자동차산업은 BJ212 지프, BJ130 경형트럭, BM021모터사이클 등 3종의 차종과 492Q 가솔린엔진, 4115디젤엔진 등 제품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년간 만대이상의 제조실력으로 중국내 자동차업계에서 제일자동차 다음으로 평가를 받고 있었다. 중국내 자동차 제품의 소요에 비추어 베이징시 정부는 생산능력을 확장하고자 관련 기업들의 협업을 추진하는 사업전략을 수립하였으며 1973년 7월 30일에 관리조직으로 베이징자동차그룹의 전신인 베이징시자동차공업공사(北京市汽车工业公司)를 설립하였다. 베이징시 각 부처소속으로 되어 있던 10개 주요기업과 베이징시산하 각 구, 각 현 소속으로 되어 있던 80개 부품업체들을 자동차공업공사에 통합하였으며 협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부품의 80%이상을 현지에서 조달가능하게 하였다.[15]1980년에 베이징자동차의 생산실적은 2.8만대를 기록하였으며 베이징시자동차공업공사 설립초기 대비 한 배이상 증가되었다.

베이징자동차공업공사 단계(1973년-2000년)

1980년 12월에 베이징시자동차공업공사는 베이징시 자동차산업의 발전상황을 감안하여 통합관리 전략을 수립하고 조직명을 베이징자동차공업본사(北京汽车工业总公司)로 변경하였다. 각 구와 현 소속으로 되어 있던 33개 관련 기업들을 전부 베이징시자동차공업본사로 통합하였으며 자동차부품본공장(汽车配件总厂)과 엔진부품본공장(内燃机配件总厂)에 귀속시켜 협업을 추진하고 생산의 효율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노력으로 1990년대 초반에 년간 자동차 생산량은 10만대 이상까지 가능하였으며 이는 그 때 중국 자동차 총 생산수량의 16%를 점유하는 수준이었다. 1980년대는 베이징시 자동차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던 단계였다.

1980년대 중반에 계획경제시스템이 시장경제시스템으로 전환하면서 베이징시 정부도 중앙의 지시에 따라 관리조직이었던 베이징자동차공업본사를 자주 경영형 베이징자동차연합공사(北京汽车工业联合公司)로 변경하고 경영관리 방식을 이사회의 관리하에 기업총괄, 부총괄이 경영책임을 가지는걸로 하였다. 베이징자동차연합공사에 귀속되는 기업들이 말 그대로 연합의 성격을 가지면서 본부의 통제력은 잃어지기 시작하였으며 그 당시 치열했던 경쟁에서 베이징시 자동차산업은 밀려나가게 되었고 중간에 파란만장을 겪다가 2010년에 다시 그룹화로 운영방향을 바꾸었다.

1980년대에 중국의 기업들은 개혁개방의 붐을 타고 외국기업들과의 합작을 추진하였으며 베이징자동차공장도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외국기업과의 합작을 추진하였다. 1983년에 아메리칸모터스(American Motors Corporation 약칭:AMC)[16]와 합자회사 베이징지프의 설립계약을 체결하고 1984년 1월에 정식으로 베이징지프(北京吉普汽车有限公司, Beijing Jeep Corporation)을 설립하였다. 이는 중국자동차업계에서 처음으로 설립 된 중외합자기업이 었으며 아메리칸모터스의 "지프 체로키"(Jeep Cherokee)를 생산하였다. 베이징지프는 AMC가 1987년에 크라이슬러(Chrysler)에 인수된 뒤에도 지속적으로 운영이 되다가 1998년에 독일의 다임러벤츠(Daimler-Benz AG)가 크라이슬러를 인수하면서 2005년에 파트너십을 종료하고 베이징벤츠-다임러크라이슬러에 흡수되었다.[17]

베이징지프를 설립하면서 베이징자동차는 BJ212 지프와 관련 된 건물, 인력, 시설을 합자회사에 넘겼으며 넘긴 뒤에 베이징자동차 본신은 제품, 공장, 인력 등 면에서 자원이 없는 난국에 처했다. 어려운 상황에서 다시 창업을 한다는 이념을 가지고 BJ121 경형트럭을 개발하여 1984년에 4,000대를 생산하고 1987년에 17,000대를 생산하였다. 1987년에 베이징모터사이클제조공장과 인수합병을 추진하여 베이징자동차모터사이클연합제조회사(北京汽车摩托车联合制造公司, Automobile and Motorcycle United Company,약칭:BAM)를 설립하였으며 사업내역은 경형트럭의 생산과 CUV 개발제조로 하였다. 1994년에 산둥성주청시(山东省诸城市)트럭제조공장을 인수하고 이를 기반으로 1996년 8월에 100개 기업과 공동으로 베이치푸텐(北汽福田, BAIC Foton Motor)을 설립하였으며 1998년 6월 2일에 베이치푸텐은 상하이증권거래소(上海证券交易所, Shanghai Stock Exchange)에 상장하였다.

1988년에 원 베이징제2자동차공장(北京第二汽车制造厂), 중국중신그룹(中国中信集团有限公司, CITIC Group), SHORTRIDGE (HONG KONG)LIMITED.이 합작하여 베이징 경형트럭유한공사(北京轻型汽车有限公司)를 설립하였으며 일본 이스즈(Isuzu) 기술의 경형트럭 BJ1041를 생산하였다[18]

2000년 9월에 베이징시정부의 국유자산관리전략에 따라 베이징자동차연합공사는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北京汽车工业控股有限责任公司, Beijing Automotive Industry Holding Co., Ltd.,영문약칭:BAIHC)로 기업명칭을 변경하였으며 정부를 대신하여 국유자산의 관리업무를 맡았다.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2000년-2010년)

2001년에 베이징자동차모터사이클연합제조회사는 1994년에 설립된 민간기업 베이징자동차조립공장과 인수합병을 추진하여 베이징자동차유한공사(北京汽车制造厂有限公司, Beijing Automotive Works)로 되었으며 베이징자동차조립공장이 대주주로 되었다. 2007년 9월에 베이징자동차모터사이클연합제조회사는 보유중인 베이징푸텐과 베이징자동차유한공사의 지분을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에 넘겼으며 2008년에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는 추가투자를 추진하여 보유지분을 늘이는 방식으로 베이징자동차유한공사의 대주주로 되었다. 2007년 8월에 베이징자동차유한공사는 2세대 '베이징용사'(北京勇士) 군용지휘차를 런칭하였다.[19][20]

2001년 10월부터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는 베이징경형트럭유한공사의 4.8억 위안가치의 설비와 공장건물을 가지고 현대자동차와의 합작을 추진하였으며 2002년 4월에 전략제휴관계 구축에 합의를 보고 10월에 회사설립을 완료하였으며 12월에 첫 대의 소나타 승용차를 출하시켰다.

2003년 5월에 년간 생산능력 6만대를 목표로 12.44억 위안을 투자한 베이징푸텐의 상용차 아우만(Auman)트럭 생산기지 구축을 완료하였으며 2006년 10월에 미국 커민스엔진(Cummins Engine)과 베이징푸텐커민스엔진(北京福田康明斯发动机有限公司, Beijing Foton Cummins Engine Co.,Ltd.) 설립계약을 체결하였다. 베이징푸텐커민스엔진은 년 40만대 생산능력으로 기획하였으며 2009년 6월에 생산을 개시하였다. 2003년 9월에 베이징지프를 기반으로 다임러크라이슬러와 전략 제휴관계를 구축하였으며 2004년 12월에 베이징 벤츠 다임러크라이슬러 생산공장 구축을 개시하였다. 2005년에 베이징 벤츠-다임러크라이슬러유한공사(北京奔驰 - 戴姆勒·克莱斯勒汽车有限公司)를 설립하였으며 2006년 12월에 벤츠 E280, E200K모델을 출시시켰다.

2006년 12월에 베이징자동차연구원(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을 설립하고 자주 자동차브랜드 개발에 진입하였으며 2007년 4월에 베이징시국유자산경영회사 및 기타 법인조직과 공동으로 베이징자동차투자회사를 설립하여 베이징자동차산업의 발전에 제약을 주던 자금문제의 개선에 나섰고 2007년 8월에 베이징국유자산경영회사(北京市国有资产经营有限责任公司)와 공동으로 10억 위안을 투자하여 자동차부품회사 베이징하이나츠완자동차부품주식회사(北京海纳川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Beijing Hainachuan Automotive Parts Co., Ltd.)를 설립하기로 하였으며 2007년 11월에 회사설립을 완료하였다.[21] 2007년 10월 26일에는 미국 델파이와의 첫 번째 합자회사 베이징 델파이 자동차안전제품유한공사(北京德尔福汽车安全产品有限公司, Beijing Delphi Automotive Safety Products Co., Ltd.) 생산가동에 진입하였다.

2008년 4월에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는 베이징에서 개최된 제10기 국제모터쇼에서 베이징브랜드 로고와 3종 컨셉카, 6개 자주개발 모델을 전시하였으며 베이징푸텐의 유로5기준(Euro 5 emission standard) 연료전지 대형 승합차도 전시하였다.[22] 2008년 8월에 후난성 주저우(湖南省株洲市) 생산기지 기공식을 진행하였으며 11월에 52.98억 위안을 투자하여 베이징그린에너지자동차주식유한회사(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Beijing Electric Vehicle Co.,Ltd.)[23]를 설립하고 12월에 농업기계 전문회사인 베이징싱둥팡실업(北京兴东方实业有限责任公司)을 인수하였으며 2009년 2월에 베이징자동차산업 연구개발기지와 국가자동차시험센터를 구축하였다.[24] 2009년 12월에 사브(Saab)사와 지식재산권 인수관련 협의를 완료하였다고 발표하였으며 2010년 1월 20일에 자동차 통합서비스플랫폼 베이치펑룽(北汽鹏龙汽车服务贸易股份有限公司, Beijing Beiqi Penglong Auto Service Trading Holding Co.,Ltd.)을 설립하고 9월에 베이징자동차공업홀딩스를 베이징자동차그룹(北京汽车集团有限公司, Beijing Automotive Group Co.,Ltd)으로 상호변경을 추진하였으며 12월에 사브 터보차지 2.3t 엔진 현지화 개발을 완료하였다. 2010년 9월에 베이징시 정부의 "베이징시 힘을 합쳐 자동차산업의 발전을 촉진하여 중국 일류의 자동차 개발과 제조도시를 구축하자"는 산업건설 전략 기획에 따라 2009년에 도입한 사브의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의 베이징자동차유한공사, 베이징자동차연구본부(北京汽车研究总院, Beijing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베이징자동차그린에너지자동차사업부(北汽新能源事业部),베이징자동차파워트레인사업부(北汽动力总成事业部)를 통합하여 베이징자동차유한주식회사(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Baic Motor Corporation Ltd.)를 설립하였다. 베이징자동차유한주식회사의 자산관리범위에는 베이징현대자동차, 베이징벤츠자동차의 중국측 보유지분도 포함되어 있다. 2014년에 베이징그린에너지자동차사업부는 독립하여 단독으로 5년간 운영하였으며 2019년에 다시 베이징자동차유한주식과 합병하였다.[25]

베이징자동차그룹(2011년~현재)

2011년 7월에 베이징하이나츠완자동차부품회사는 세계 2위의 자동차 루프시스템 제조회사 네덜란드의 인알파루프시스템즈(Inalfa Roof Systems)를 인수완료하였으며[26] 2013년 5월에 사브의 기술을 도입하여 개발한 자주 브랜드 중급승용차 세노바를 런칭하였다. 2013년 6월에 베이징자동차그룹의 해외수출 전담사 베이징자동차국제발전유한공사(北京汽车国际发展有限公司, BAIC International Development Co.,Ltd.)[27]를 설립하였으며 11월에 장시성정부와(江西省政府)와 전략적 제휴관계를 구축하기로 하고 창허자동차(昌河汽车, Changhe Automobile Co., Ltd.) 70%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창허자동차 구조조정을 추진하였다.

2014년 11월에 뉴질랜드 퍼시픽에어로스페이스(Pacific Aerospace)[28]의 일부 지분을 인수하고 베이징제너럴 애비에이션(北京通用航空有限公司, Beijing General Aviation(Group)Co.,Ltd.)[29]의 명의로 퍼시픽에어로스페이스와 합자회사 베이징팬퍼시픽 애비에이션 테크놀로지(北京泛太平洋航空技术有限公司, Beijing Pan Pacific Aviation Technology Co., Ltd.)[30]를 설립하였으며 2014년 12월 19일에 홍콩연합거래소(香港联合交易所, The Stock Exchange of Hong Kong Ltd.) 주식상장을 추진완료하였다.

2015년 12월에 남아공IDC(Industrial Development Corporation)와 년간 5만대 규모의 베이징자동차그룹 남아공공장 설립에 관한 MOU를 체결하였으며 2016년 8월에 프로젝트를 런칭하고 2018년 7월에 첫 대의 승용차를 출하하였다.[31] 2017년 5월에 다임러크라이슬러와 공동으로 50억 위안을 투자하여 메르세데스 벤츠 브랜드의 전기자동차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7월에 베이징현대자동차 충칭공장 준공식을 올렸고 2017년 7월에 611.30억 달러의 영업수익으로 다섯 번째로 포춘매거진이 평가한 글로벌 500대기업에 들어갔으며 137순위로 2016년대비 23위 향상되었다.

회사 브랜드

  • 세노바(北汽绅宝, běi qì shēn bǎo) : 2012년 3월에 출시한 자체 브랜드.
  • 베이징(北京牌, běi jīng pái) : 자체로 출시한 브랜드 "베이징" 지프차(越野车).
  • 벤츠(北京奔驰, běi jīng bēn chí) : 2005년 8월에 다임러(Daimler AG)와 설립한 합자회사.
  • 현대(北京现代, běi jīng xiàn dài) : 2002년 10월에 현대와 설립한 합자회사.
  • 포톤(北汽福田, běi qì fú tián) : 1996년 8월에 설립한 자체 브랜드 회사.
  • 벤츠(福建奔驰, fú jiàn bēn chí) : 2007년 6월에 홍콩 다임러와 설립한 합자회사.
  • 창허(北汽昌河, běi qì chāng hé) : 베이징자동차그룹에서 70%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브랜드.
  • 환수(北汽幻速, běi qì huàn sù) : 2014년 3월에 출시한 자체 브랜드.
  • 신능왠(北汽新能源, běi qì xīn néng yuán) : 2009년 10월에 설립한 대체에너지, 전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브랜드.
  • 웨이왕(北汽威旺, běi qì wēi wàng) : 2011년 3월에 설립한 자체 브랜드.[32]

자동차산업 레이아웃

그린에너지 자동차

베이징자동차그룹의 그린에너지 자동차 사업은 베이징그린에너지자동차유한주식회사(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Beijing Electric Vehicle Co.,Ltd)[33]가 담당하고 있다. 베이징그린에너지자동차는 2009년 10월에 설립되었으며 베이징경제개발구에 본부를 두고 있고 현직 대표이사는 지앙데이(姜德义)가 맡고 있다. 주로 전기승합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그린에너지 승용차, 파워트레인 시스템의 개발, 제조 판매를 추진한다.[34][35][36][37][38]

산하에 12개 완전 소유의 자회사, 3개 지배회사, 5개 공동투자 회사를 두고 있으며 완전소유의 12개 회사에는 베이징, 푸저우(福州), 광저우, 허페이(合肥), 선전, 샤먼, 칭다오에 설립한 7개 자동차판매회사와 배터리팩 제조회사, 카풀사업회사, 윈난쿤밍(云南昆明)과 장쑤창저우(江苏常州)에 설립한 그린에너지자동차 지사 및 컨설팅 회사가 들어있다. 3개 지배회사에는 그린에너지산업투자회사, 그린에너지자동차렌트카, 마그나 인터내셔널(Magna International Autolaunch Ireland Ltd)과의 합자회사[39]가 들어있고 5개 공동투자회사들에는 베이징자동차다양전기(北汽大洋电机, Beiqi Broad-Ocean Motor Technology), 베이징지멘스파워트레인시스템(北京西门子汽车电驱动系统(常州)有限公司, Beijing Siemens Automotive E-Drive System Co.,Ltd. Changzhou) 배터리팩충전설비업체 베이징란구 스마트에너지(蓝谷智慧(北京)能源科技有限公司, Bluepark Smart Energy), 디디추싱(滴滴出行)과 합작한 카풀사업회사 징지에그린에너지자동차(京桔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베이징시그린에너지자동차기술혁신센터(北京市新能源汽车技术创新中心) 등이 들어있다.

2014년 5월에 독립하여 자주 판매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5년 뒤인 2019년에 다시 베이징자동차와 합병되어 베이징 브랜드를 사용하였다.

보유하고 있는 전기차 모델군으로는 주로 EC 시리즈, EU 시리즈, EX 시리즈가 있으며 이 중에서 EU5 모델이 가장 인기가 있으며 2019년 15.06만대 판매량중에서 9만대 이상의 판매실적을 달성하였다.

연료 자동차

상용차

각주

  1. 北京汽车集团有限公司〉, 《北汽集团》
  2. 北京汽车集团有限公司〉, 《北汽集团》
  3. 刘晓林, 〈掌舵北汽14年徐和谊卸任:徐式“铁腕”与未解谜团〉, 《经济观察网》, 2020-07-31
  4. 中新经纬, 〈北汽新局:徐和谊“荣退”,姜德义接棒,自主大戏未完待续〉, 《中国网》, 2020-08-05
  5. 徐和谊〉, 《百度百科》
  6. 张劲文, 〈人民画报-徐和谊,在改革开放中成长起来的中国汽车人〉, 《人民画报》, 2018-11-27
  7. 北汽蓝谷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天眼查》
  8. 中车网, 〈金隅集团姜德义将任北汽集团党委书记、董事长〉, 《搜狐新闻》, 2020-07-31
  9. 新浪财经综合, 〈北汽挥别“徐和谊时代” 金隅集团董事长姜德义接任〉, 《新浪财经》, 2020-08-07
  10. 姜德义[北京汽车集团有限公司党委书记、董事长]〉, 《头条百科》
  11. 汽车之家, 〈中国汽车工业70年变革——1969-1979〉, 《知乎》
  12. "GAZ-69", Wikipedia
  13. 莫佳勇, 〈世纪长安丨长安人的责任与执着,铸造中国第一辆吉普车〉, 《腾讯网》, 2019-10-14
  14. "Willys MB", Wikipedia
  15. 郑焕明, 〈我所知道的北京汽车工业〉, 《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16. "American Motors Corporation", Wikipedia
  17. "Beijing Benz", Wikipedia
  18. 北京汽车工业控股有限责任公司30年成果巡礼〉, 《企业信用网》, 2019-04-03
  19. 我军二代轻型越野车"勇士"8月2日下线〉, 《爱卡汽车》, 2007-08-02
  20. 第一财经日报, 〈北汽控股重组收官 北汽有限将成自主越野车基地〉, 《新浪汽车》, 2009-01-05
  21. 车讯通信录, 〈解析我国第三大供应商--北京海纳川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易车》, 2020-05-07
  22. 梁晋, 〈福田欧V燃料电池客车亮相北京车展〉, 《中国客车网》, 2008-04-10
  23.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天眼查》,
  24. 新浪汽车综合, 〈北汽控股公司发展历程及重大成就〉, 《新浪汽车》, 2009-11-10
  25. 电动汽车观察家, 〈独立营销5年后,北汽新能源再与燃油车合并营销 - 〉, 《OFweek新能源汽车网》, 2019-10-17
  26. "Beijing Hainachuan Automotive Parts Acquires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Mergr, 2011-04-27
  27. 北京汽车国际发展有限公司〉, 《天眼查》
  28. "Pacific Aerospace", Wikipedia
  29. 北京通用航空有限公司〉, 《天眼查》,
  30. 北京泛太平洋航空技术有限公司〉, 《启信宝》
  31. Yurou, "Chinese automaker rolls first car off production line from S. Africa plant", Xinhua news, 2018-07-25
  32. 车主指南, 〈北汽集团旗下九个品牌〉, 《车主指南》, 2018-12-26
  33.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天眼查》
  34. 央广网, 〈北汽新能源历经十年谋变创新,从新能源行业的“拓荒者”成长为“领军者”〉, 《能源界》, 2020-07-09
  35. 雪球综合, 〈北京汽车与北汽新能源合并,剑指何方?〉, 《手机新浪网》, 2019-08-07
  36. 电动汽车观察家, 〈独立营销5年后,北汽新能源再与燃油车合并营销〉, 《OFweek新能源汽车网》, 2019-10-17
  37. SST前锋:收购报告书(2018-06-06)_北汽蓝谷(600733)个股公告〉, 《金融界》, 2018-06-06
  38. 赵建琳 朱耘,〈北汽新能源,独立如何“自主”〉, 《商学院杂志》,2020-06-19
  39. 北汽新能源与麦格纳达成合作 欲开发高端电动车〉, 《搜狐汽》, 2019-03-25

참고 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의견.png 이 베이징자동차그룹 문서는 자동차 회사에 관한 글로서 내용 추가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