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의견.png

"군용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민수차량)
46번째 줄: 46번째 줄:
 
===민수차량===
 
===민수차량===
 
표준차량들은 오로지 군용으로만 나오기 때문에 군용 기준에 맞추다보니 비싸고 표준차량 자체의 성능도 떨어진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다. 이에 국방부에서는 굳이 표준차량을 투입할 필요가 없는 부대나 특장차, 버스를 민수차량으로 도입하고 있다.
 
표준차량들은 오로지 군용으로만 나오기 때문에 군용 기준에 맞추다보니 비싸고 표준차량 자체의 성능도 떨어진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다. 이에 국방부에서는 굳이 표준차량을 투입할 필요가 없는 부대나 특장차, 버스를 민수차량으로 도입하고 있다.
:{|class=wikitable width=7000
+
:{|class=wikitable width=700
 
|+<big>'''민수차량'''</big>
 
|+<big>'''민수차량'''</big>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BBBBBB" rowspan=3|<big>FS시리즈</big>
+
|align=center rowspan="3"|트럭
 +
|align=center |소형자동차
 +
|align=left|포터, 봉고3
 +
|-
 +
|align=center style|준중형 트럭
 +
|align=left|e-마이티 더블캡 및 냉동탑차, 올 뉴 마이티 더블캡 및 냉동탑차
 +
|-
 +
|align=center|중형트럭
 +
|align=left|메가트럭, 노부스
 +
|}
  
 
===군면허===
 
===군면허===

2021년 8월 12일 (목) 16:41 판

군용차(軍用車, Military Vehicle)는 군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특수하게 제작된 차량을 의미한다. 여기서 차량이란 흔히 생각하는 타이어 달린 자동차 혀앹부터 전차나 장갑차 같은 육중한 궤도식 장비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적인 의미이다.

개요

법적으로는 군 소속이기만 하면 군용차다. 예컨대, '육'자 번호판을 단 모닝은 민수차임과 동시에 군용차인 것이다. 이는 사회면허와 군면허가 호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드러난다. 밖에서 제 아무리 덤프트럭을 몰다 왔든, 카레이서였든, 수송교육연대에서 소형이나 중형이나 대형으로 군면허를 따지 않으면 위장도색을 한 레토나는 탈수없다 뭔가 이상하고 모순적이지만 그게 법이다. 물론 그래도 한쪽 면허가 있다면 다른 쪽 면허로의 전환이 조금 더 쉽긴 하다. 몇몇 성질 급한 간부들은 자기가 직접 운전하려고 수송교육연대에서 면허를 따오기도 한다. 훈련, 작전 등의 이유로 "작전차량"으로 지정된 군용차의 경우 긴급자동차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런 차량에 대해서는 추월 등의 진로 방해를 할 수 없으며, 적발 시 도로교통법 제20조에 의거해 처벌받는다. 이런 이유로 작전차량으로 지정된 군용차 측후방에 눈에 잘 띄게 흰색 바탕에 "작전차량 추월금지(도로교통법 제20조)"라고 써붙인 것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군용차는 운전병이 운전하지만 크레인, 참모총장 관용차[5] 등 특수차량은 간부가 운전하는 경우도 있다. 아래 목록의 모든 차량은 도로상에서는 도로교통법상의 자동차(소프트웨어적 의미)로 분류가 가능하다. 대법원 94도1519 다만, 기계적 특징 면(하드웨어적 의미)에서는 자동차관리법이 아닌 군수품관리법의 적용을 받는다. 즉 군용차는 하드웨어로서의 자동차는 아니지만 소프트웨어로서의 자동차임이 명백하여 도로교통법 준수의무가 있다. 또한, 민간 승용차들처럼 군용차 역시 자동차 보험에 든다. 현재 대한민국 국군의 군용차들은 DB손해보험의 군용차 보험에 가입되어 있다.

특징

군용차의 가장 큰 특징은 효율성이 아닌 전술 목적에 부합하는 기능성이 설계에 있어서 최우선적으로 고려된다는 점이다. 즉 민간 차량은 연비같은 기본적인 효율성부터 차량 외관 디자인, 속력이나 안락한 승차감 등 철저하게 탑승자 위주의 설계를 적용하는 반면, 군용차는 해당 차량이 요구하는 작전 성능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가장 중요하며, 연비나 승차감같은 탑승자 편의성은 후순위로 밀리는 경향이 강하다. 기본적으로 고급 장성들에게 제공되는 의전용 세단같은 극히 일부의 차량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군용차는 야지에서 적군의 시야에 쉽게 발각되지 않도록 위장패턴을 도색하며, 불필요한 반사광을 방지하고자 무광 도색이 기본이다. 또한 높은 배기량의 엔진을 사용하더라도 민간 차량과 다르게 롱스트로크를 선호하여 연비는 극도로 떨어지는 반면 토크는 매우 높아 야지 기동성이 우수하다. 또한 야전에서 제대로 된 도로를 달리지 않는 상황을 가정하여 모든 타이어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AWD를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차량의 전고가 높고, 마찰력이 강하고 파손에 강한 투박한 형태의 타이어가 장착된다. 적군의 소구경 개인화기 정도는 방어해야 하므로 간단한 수송 차량이더라도 두꺼운 철판을 두른 차량들이 많고, 아예 방탄판으로 도배를 한 중장갑 차량도 볼 수 있다. 물론 외피가 이렇게 무거우니 연비가 더욱 처참하게 떨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 군용 차량은 소정의 운전교육을 이수한 운전병 혹은 군수 계열 수송 주특기를 부여받은 인원들이 운전을 담당한다. 궤도식 차량은 전문적인 후반기 교육(이를테면 육군기계화학교같은)을 이수한 인원들이 운전을 담당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운전병 혹은 정비병이 차량 정비를 수행하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폐차하고도 남았을 20년 가까이 흐른 차량들이 쌩쌩하게 굴러다니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물론 정비를 자주 받는다 하더라도 운행환경이 가혹한 군용 차량 특성상 일정 주기마다 새로운 차량으로 교체한다. 전차나 장갑차같은 궤도 장비들은 야지 기동성을 극대화한 장비로 볼 수 있으며, 단단한 장갑판을 갖추고 적군의 공격을 전면에서 견디면서 전투를 치른다. 포병 장비인 자주포나 다연장 로켓포 등도 야지에서 진지변환을 하는 일이 다반사라 궤도식으로 제작된 물건들이 많다.

종류

표준차량

대한민국 국군에서 사용하는 군용차 중, 일반 민수용 자동차를 군용으로 납품받은 것이 아닌 오로지 군용 목적으로 만들어진 자동차를 묶어서 지칭하는 말이다. 일반 자동차에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장갑차와 전차는 그냥 무기로 취급되고 표준차량의 범주에 들지 않는다. 하지만 장갑차, 전차, 표준차량 모두 일반도로로 나가면 도로교통법이 적용되는 자동차가 된다.

표준차량
종류 설명
¼톤 트럭 K-100, K-111, ,K-115 K-131, K-151 레토나라고 불리는 차량으로, K-111은 거의 다 도태되고 K-131, K-151 등으로 대체되었다. 6명 이하의 인원이나 소량의 물자 및 장비를 수송하기 위한 차량이며, 대전차미사일이나 무반동총 등을 탑재하는 파생형 차량이 있다.
1¼톤 트럭 K-300/K301, K311, K351 닷지 또는 쿼터, 사오톤(4분의5톤) 이라고 불리는 차량으로, K-311이 표준장비이며 10명 내외의 인원이나 2톤 정도의 짐을 수송하기 위한 차량이다. 또는 통신쉘터 등을 탑재한 여러 파생형 차량이 있다.
2½톤 트럭 K-511, K-513, K-514 카고 또는 두돈반, 육공 등으로 불리는 차량으로, K-511이 표준장비이며 15~20명의 병력이나 5톤 정도의 짐을 수송하기 위한 차량이다. 역시 통신쉘터를 탑재하거나 유조차 등 여러 파생형 차량이 있다.
5톤 트럭 K-711, K-711A1, K-712, K-713, K-715 오돈이라고 불리지만 두돈반 이하의 차량이 흔한 것에 비해 이 차량은 꽤나 드물기 때문에 군필자들 중에도 잘 모르는 사람이 꽤 있다. 또한, 외형상 2½톤 트럭과 거의 흡사해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헷갈린다. K-711이 표준장비지만 병력수송보다는 포병대대 등에서 견인포의 운용이나 탄약수송 등에 주로 사용된다.
K-811 K-811 5톤 트럭보다 더욱 드문 차량으로, M115의 견인차였지만 M115가 모두 퇴역되어 현재 운용되고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K-911 K-911, K-912, K-915, K-916, K-917, K918 기아자동차에서 2001년부터 제작한 대형 군용차량으로, 10톤 이상의 트럭이며 구난차, 트랙터 등 파생형이 많다. 사실상 K-811의 후계차량으로 운용하는 중이다.

군용 지프와 트럭에는 히터는 있지만 에어컨은 없다. 사실 히터는 엔진의 배기열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없지만 에어컨은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보니 기름이 아까워서라는 얘기도 있다, 더우면 창문을 열면 되지만 추운 것은 어쩔 수 없기 때문이라는 얘기도 있다. 물론 최근에 도입되는 차량에는 에어컨이 달려 나오기도 하며 앞으로 도입될 최신형 차량들부터는 전부 자동변속기에 냉난방설비가 완비되어서 나온다. 표준차량은 내구성이 군용 기준에 부합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환경일 경우 비싸고 성능이 떨어진다. 2013년 기준 15~28%의 트럭이 노후화된 상태에서 돈을 낭비할 여유가 없다. 그리고 표준차량은 수동변속기라서 자동변속기에 익숙한 장병들이 사고를 내기도 쉽다. 이에 국방부에서는 2005년부터 굳이 표준차량을 투입할 필요가 없는 부대에서 상용트럭 활용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민수차량

표준차량들은 오로지 군용으로만 나오기 때문에 군용 기준에 맞추다보니 비싸고 표준차량 자체의 성능도 떨어진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다. 이에 국방부에서는 굳이 표준차량을 투입할 필요가 없는 부대나 특장차, 버스를 민수차량으로 도입하고 있다.

민수차량
트럭 소형자동차 포터, 봉고3
준중형 트럭 e-마이티 더블캡 및 냉동탑차, 올 뉴 마이티 더블캡 및 냉동탑차
중형트럭 메가트럭, 노부스

군면허

세부적으로 소형차량/중형차량/대형차량/구난차량/특수차량 등으로 나뉜다. 이 중 특수차량은 교육도 따로 받는다. 일반차량은 수송교육연대, 특수차량은 종군교에서 획득 할 수 있다 . 사회 운전면허로 보자면 소형은 2종 보통, 중형은 1종 보통, 대형은 1종 대형, 구난은 1종 특수에 상응한다고 보면 얼추 맞다.각 면허별로 몰수 있는 차량을 자세히 적자면 다음과 같다. 큰 차량에는 그보다 작은 차량도 포함된다.

군면허별 운전 가능 차량
소형 군 ¼톤 트럭(K-131계열), 승용차(세단 등), 승합차(9인승 이하), 상용 4톤 이하 트럭(현대 포터, 기아 봉고 등)
중형 군 1¼톤 트럭(K-311계열), 2½톤 트럭(K-511계열), 상용 5톤 트럭, 승합차(12인승 이하 ex)그랜드 스타렉스), 상용 AMB(9인승 미만), 소형면허로 운행할 수 있는 모든 차량
대형 군 5톤 트럭(K-711계열), 상용 14톤 이하 트럭, 버스,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자일대우 BS106, 유조차, 상용 AMB(9인승 이상), 중형면허로 운행할 수 있는 모든 차량
구난 구난 5톤 레커(K-912구난), 트레일러

이에 따라 설령 같은 차량에서 파생된 차종이라도 운행에 필요한 면허가 달라질 수 있다. 9인승 카니발/스타렉스나 현대 포터, 기아 봉고 트럭은 소형면허로 운전할 수 있지만, 11인승 카니발이나 12인승 스타렉스는 중형면허가 필요하며 포터나 봉고에 유조탱크를 실은 유조차는 대형면허가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마이티는 소형면허로 운전할 수 있지만 같은 뼈대로 만든 카운티는 대형면허가 필요하다. 화물의 중요도나 위험도에 따라 차등한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등화관제등

등화관제란 전시 적의 공습으로부터 도시를 방어하기 위해 야간에 도시의 모든 불빛을 차단하는 행동을 말한다. 등화관제가 이뤄지더라도 차량은 작전이나 후송 등을 이유로 이동해야하므로 야간의 시야를 밝혀줄 최소한의 불이 필요한데 이것이 등화관제등이다. 등화관제등은 상대방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거리에 따라 불빛의 모양이 달리 보여지도록 광학 설계가 되어 있고 전조등 상부에 커버를 달아 공중에서 차량의 불빛을 식별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모든 군용차 및 전차, 자주포 등 군사용 장비에는 등화관제등이 부착되어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74년부터 1999년 5월까지 민간 SUV를 대한민국 국군이 징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등화관제등 설치가 의무였다.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의견.png 이 군용차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내용 추가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