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맞춤버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요==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자동차 분류|토막글}})
 
1번째 줄: 1번째 줄:
 +
'''맞춤버스'''<!--맞춤 버스-->란 특정한 시간동안 특정 목적으로 일정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이다.
 
==개요==
 
==개요==
 +
시간적으로 버스가 지나지 않는 심야에 운행하는 올빼미버스, 서울에선 출퇴근시간에 빠르게 짦은 운행을 반복운행하는 다람쥐버스, 봄꽃축제를 위한 시내버스인 봄꽃맞춤버스, 주요관광지를 경유하는 관광맞춤버스 등이 있으며 주로 불편한 교통시간대나 지역의 편의를 고려하여 맞춤버스를 운행함으로 교통복지를 실현한다. 일반버스업체들이 노선을 두지않는 곳을 한시적으로 운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익성이 낮다.<ref> 정명숙 기자,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6242 (사설)교통복지와 주차난 해소 위해 ‘맞춤버스’ 다양화해야]〉, 《경상일보》, 2016-02-25 </ref> 
 +
==분류==
 +
===올빼미버스===
 +
올빼미버스는 대중교통이 끊긴 밤 12시 이후부터 새벽 5시까지 서울에서 운행하는 버스로 심야시간 편리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간선버스, 지선버스와는 달리 주로 거점,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특징도 있다.<ref> 스마트리뷰, 〈[https://memoryplanner.tistory.com/39 올빼미버스 노선 / 가격 서울 곳곳을 심야버스로 다녀요]〉, 《티스토리》, 2021-01-21 </ref> 2013년서울 시장은 시민의 편의를 위하여 5월부터 2개의 노선을 만들어 운영해 보고, 시민들의 움직임을 객관적으로 파악한 빅데이터에 주목하여 노선을 추가하겠다고 하였다. 4월 10일 구체적인 운영계획이 발표되고 약 3개월간 시범운영이 되며, 시범운영되는 2개의 노선은 N26번, N37번으로 각각 6대의 배차에 35~40분 배차간격을 가지며 첫차를 자정으로 막차는 3시 10분 출발로 운영되었다. 요금은 시범기간 한에서 간선노선과 동일한 교통카드 기준 1,050원이였다. 밤 늦은 시간 에 통화하거나 문자를 보내는 콜데이터와 예상 이동방향 알고리즘을 통하여 2013년 8월에 서울시 심야버스는 9개의 노선이 최종 선정되었다. 정식으로 운행하게 되어 광역버스 요금인 1,850원으로 운행되었고,  2015년 6월 심야버스요금이 인상됨에 따라 2,250원으로 운행하고 있다. 2016년 개화역과 서울 시흥동을 잇는 노선인 N65번이 추가로 개통하고, 기존 심야버스 노선들도 2대씩 증편되었다.<ref> 〈[https://namu.wiki/w/%EC%8B%AC%EC%95%BC%EB%B2%84%EC%8A%A4(%EC%84%9C%EC%9A%B8)#s-2.3 심야버스(서울)]〉, 《나무위키》 </ref>
 +
:{|class=wikitable width=700
 +
|+올빼미 버스 노선<ref> 〈[https://news.seoul.go.kr/traffic/archives/27974 심야 전용 시내버스(올빼미버스) 운행]〉, 《서울특별시》 </ref>
 +
!align=center rowspan="2"|노선번호
 +
!align=center colspan="2"|운행구간
 +
!align=center rowspan="2"|운행대수
 +
!align=center rowspan="2"|배차간격
 +
!align=center rowspan="2"|운행업체
 +
!align=center colspan="2"|운행시간
 +
|-
 +
!align=center|기점
 +
!align=center|종점
 +
!align=center|첫차
 +
!align=center|막차
 +
|-
 +
|align=center|N13
 +
|align=center|상계동
 +
|align=center|장지동
 +
|align=center|8대
 +
|align=center|25~30분
 +
|align=center|흥안운수, 한국BRT
 +
|align=center|00:00
 +
|align=center|03:30
 +
|-
 +
|align=center|N15
 +
|align=center|우이동
 +
|align=center|사당역
 +
|align=center|8대
 +
|align=center|25~35분
 +
|align=center|동아운수, 우신운수
 +
|align=center|00:00
 +
|align=center|03:20
 +
|-
 +
|align=center|N16
 +
|align=center|도봉산
 +
|align=center|온수동
 +
|align=center|8대
 +
|align=center|25~30분
 +
|align=center|25~30분
 +
|align=center|00:20(온수동), 00:10(도봉산)
 +
|align=center|03:45(온수동), 03:35(도봉산)
 +
|-
 +
|align=center|N13
 +
|align=center|상계동
 +
|align=center|장지동
 +
|align=center|8대
 +
|align=center|25~30분
 +
|align=center|흥안운수, 한국BRT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align=center|N13
 +
|align=center|상계동
 +
|align=center|장지동
 +
|align=center|8대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다람쥐버스===
 +
===봄꽃맞춤버스===
 +
===농어촌맞춤버스===
 +
===주말맞춤버스===
  
 
{{각주}}
 
{{각주}}
  
==참고자료==
+
==참고자료==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 [[순환버스]]
 +
  
 
{{자동차 분류|토막글}}
 
{{자동차 분류|토막글}}

2021년 10월 5일 (화) 17:57 판

맞춤버스란 특정한 시간동안 특정 목적으로 일정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이다.

개요

시간적으로 버스가 지나지 않는 심야에 운행하는 올빼미버스, 서울에선 출퇴근시간에 빠르게 짦은 운행을 반복운행하는 다람쥐버스, 봄꽃축제를 위한 시내버스인 봄꽃맞춤버스, 주요관광지를 경유하는 관광맞춤버스 등이 있으며 주로 불편한 교통시간대나 지역의 편의를 고려하여 맞춤버스를 운행함으로 교통복지를 실현한다. 일반버스업체들이 노선을 두지않는 곳을 한시적으로 운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익성이 낮다.[1]

분류

올빼미버스

올빼미버스는 대중교통이 끊긴 밤 12시 이후부터 새벽 5시까지 서울에서 운행하는 버스로 심야시간 편리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간선버스, 지선버스와는 달리 주로 거점,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특징도 있다.[2] 2013년서울 시장은 시민의 편의를 위하여 5월부터 2개의 노선을 만들어 운영해 보고, 시민들의 움직임을 객관적으로 파악한 빅데이터에 주목하여 노선을 추가하겠다고 하였다. 4월 10일 구체적인 운영계획이 발표되고 약 3개월간 시범운영이 되며, 시범운영되는 2개의 노선은 N26번, N37번으로 각각 6대의 배차에 35~40분 배차간격을 가지며 첫차를 자정으로 막차는 3시 10분 출발로 운영되었다. 요금은 시범기간 한에서 간선노선과 동일한 교통카드 기준 1,050원이였다. 밤 늦은 시간 에 통화하거나 문자를 보내는 콜데이터와 예상 이동방향 알고리즘을 통하여 2013년 8월에 서울시 심야버스는 9개의 노선이 최종 선정되었다. 정식으로 운행하게 되어 광역버스 요금인 1,850원으로 운행되었고, 2015년 6월 심야버스요금이 인상됨에 따라 2,250원으로 운행하고 있다. 2016년 개화역과 서울 시흥동을 잇는 노선인 N65번이 추가로 개통하고, 기존 심야버스 노선들도 2대씩 증편되었다.[3]

올빼미 버스 노선[4]
노선번호 운행구간 운행대수 배차간격 운행업체 운행시간
기점 종점 첫차 막차
N13 상계동 장지동 8대 25~30분 흥안운수, 한국BRT 00:00 03:30
N15 우이동 사당역 8대 25~35분 동아운수, 우신운수 00:00 03:20
N16 도봉산 온수동 8대 25~30분 25~30분 00:20(온수동), 00:10(도봉산) 03:45(온수동), 03:35(도봉산)
N13 상계동 장지동 8대 25~30분 흥안운수, 한국BRT
N13 상계동 장지동 8대

다람쥐버스

봄꽃맞춤버스

농어촌맞춤버스

주말맞춤버스

각주

  1. 정명숙 기자, 〈(사설)교통복지와 주차난 해소 위해 ‘맞춤버스’ 다양화해야〉, 《경상일보》, 2016-02-25
  2. 스마트리뷰, 〈올빼미버스 노선 / 가격 서울 곳곳을 심야버스로 다녀요〉, 《티스토리》, 2021-01-21
  3. 심야버스(서울)〉, 《나무위키》
  4. 심야 전용 시내버스(올빼미버스) 운행〉, 《서울특별시》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맞춤버스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