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순환버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각주}} ==같이 보기== {{자동차 분류|검토 필요}})
 
1번째 줄: 1번째 줄:
 +
'''순환버스'''는 도심 및 부도심 안의 일정한 지역을 순환하여 운행하면서 다양한 통행 수요에 대처하기 위하여 운행되는 버스이다. 대개 업무나 쇼핑 이용객이 많은 도심 지역이나 관광 명소, 도보로 이동하기 어려운 넓은 시설 등지에서 운행되며, 교통 소외지역이나 교통 연계성 부족을 해소할 목적으로 운행되기도 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6805&cid=40942&categoryId=34709 순환버스]〉, 《네이버 지식백과》</ref>
 +
 +
==지역별 순환버스==
 +
===서울===
 +
2004년 7월 1일 서울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체계지만 이 순환버스라는 등급은 개편 1년 전인 2003년에 01, 02번이 신설되면서 가장 먼저 확립되었다. 바탕색은 노란색이며 측면과 뒷면에 영어 YELLOW 의 머릿글자 'Y'가 새겨져 있다. 측편 행선지판은 4개였으나, 떼어졌다. 2003년 7월 1일 청계천 복원공사와 청계고가 철거 등으로 교통 혼잡이 우려되어, 교통 보조 수단의 목적으로 신설된 셔틀버스가 시초이다. 다른 등급의 버스들과는 달리 사대문안과 그 주변의 서울 원도심에서만 운행하기 때문에, 많이 탔던 경우이거나 버스 동호인이 아니라면 알기 힘든 버스이기도 하다. 청계천, 남산, 서울 도심, 여의도, 강남역 등의 지역에서 운행했으나, 2020년 1월 29일 이후로는 녹색순환버스 4개 노선만이 남게 되었다. 남산 노선의 경우 2010년쯤에 대부분 차량이 전기버스로 대체되었는데, 도색이 기존 노란색 바탕이 아닌 연한 초록색과 하얀색을 혼합한 형태이다. 한때 제대로 된 노란색 도색을 한 순환버스는 단 2대였는데, 2017년 11월에 하자로 유명한 그 프리머스 전기차 9대가 모두 교체되면서 노란색 버스는 11대로 늘어났다. 심지어 프리머스 CNG 차량도 관리상의 이유로 노랗게 칠해버리면서 다시 환원되었다. 하지만 01A, 01B, 02, 03, 04번 버스 전 차량 전기버스로 바뀌었는데, 연두색으로 도색을 했다. 하지만 서울시도 순환버스 등급을 버려놓은 듯. 110번, 5522번, 6640번은 완벽한 순환식 노선으로 운행하나, 등급이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로 되어 있다. 이는 개편 전의 도심순환버스를 기계적으로 순환버스로 계승시키는 바람에 생긴 착오이다. 원래 지선버스가 마을버스를 계승한 것이긴 한데, 지선버스의 경우도 순환/마을버스 요금을 받는 지선버스(차등요금)가 또 따로 있다. 마을버스와 순환버스, 지선버스를 잘 분류했어야 하나 그러지 못한 것이다. 다만 경기도의 버스 도색은 기능적으로 서울과 동일하게 되어 있어, 경기도의 마을버스는 노란색으로 정해졌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지 순환버스도 마찬가지인데 그 근원이 바로 이 서울의 순환버스다. 그러나 2020년부터 미세먼지 절감 정책 등의 일환으로 도심지역 녹색순환버스 운행 계획을 발표하면서, 4개 노선을 신설하는 것이 확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요금체계도 변경되었다.<ref>〈[https://namu.wiki/w/%EC%88%9C%ED%99%98%EB%B2%84%EC%8A%A4(%EC%84%9C%EC%9A%B8) 순환버스(서울)]〉, 《나무위키》</ref>
 +
 +
===버스 노선===
 +
:{|class=wikitable width=800
 +
!align=center|번호
 +
!align=center|기점
 +
!align=center|종점
 +
!align=center|배차
 +
|-
 +
|align=center|01
 +
|align=center|서울역
 +
|align=center|서울역
 +
|align=center|12~20분
 +
|-
 +
|align=center|02
 +
|align=center rowspan=2|남산예장주차장
 +
|align=center rowspan=2|남산예장주차장
 +
|align=center|7~12분
 +
|-
 +
|align=center|04
 +
|align=center|11~13분
 +
|}
 +
 +
 +
===경기===
 +
기존의 경기도 면허 직행좌석버스는 경기도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노선이 압도적으로 많아 경기도 도시간 이동은 많이 불편하였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에 위치한 요금소에 버스 정류장을 설치하여 경기도 지역으로 이동할 시 환승을 용이하게 하여 대중교통 수요를 늘린다는 목적에서 시작된 노선이다. 당시, 경기도 도지사였던 김문수가 국토부와 협의하였고, 2010년 3월 24일에 국토부에서 '외곽순환버스'라는 가칭으로 관련 보도자료를 낸 뒤 입찰을 진행했다. 2010년 7월 7일에 5개 노선 및 운행사가 확정되고 2010년 8월 23일부터 '경기순환버스'라는 명칭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운행방식은 기종점 지역 정류장에 4개 정도 정차한 뒤 고속도로 요금소에 설치된 환승 정류장에 정차한다. 2018년 이재명이 도지사로 취임한 이후 계획 당시 명칭인 외곽순환버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경기도청 민원을 바탕으로 2020년 7월부터 '경기순환버스' 명칭을 다시 사용하고 있다. 경기순환버스는 간선급행버스와 같은 노선번호 체계(8000번대)를 활용하지만, 두 노선의 성격과 운임체계가 다른 관계로 경기도 자체적으로는 별도의 등급으로 분류한다. 기본요금은 초기에는 직행좌석버스와 동일했으나, 2011년 11월 26일부터 2,200원으로 인상되었으며, 거리비례제가 적용되며 30km 초과시 5km마다 100원씩 요금이 늘어난다. 2019년 9월부터 기본요금이 3,050원으로 올랐다. 또한 각 노선에 투입되는 버스는 차내에 차량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LED 표시기를 장착하고, Wi-Fi 공유기와 공기청정기를 설치해야 한다. 추가로 알려진 바로는 도색은 직행좌석버스와 같은 G버스 도색이고, 광역급행버스처럼 잔여좌석 표시기를 설치해야 한다.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은 FX II 116을, 용남고속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를 투입하였다. 나중에 참여한 경원여객 역시 FX II 116을 투입하면서 경기순환버스는 모두 자일대우상용차가 운행되고 있다. 그러나 2016년에 경원여객이 노후차 대차분으로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를 투입하면서 전 차량 자일대우상용차 기록이 깨졌다. 경기도에서는 현재 경기순환버스를 추가로 더 신설하고자 하나, 현재 운행되는 노선들도 적자인데다 추가로 경기순환버스 입찰에 참여하려는 업체가 전무하다. 고속도로 요금소를 경유하는 점으로 말미암아 버스 운영 비용이 많은 편이며 KD 운송그룹이 아니면 운영하겠다는 회사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으며 운영사들도 다른 노선을 통해 경기순환버스를 운영하면서 생기는 적지 않은 적자를 메우고 있는 편이다. 타 노선들보다 고속도로를 길게 이용하고, 8106을 제외한 모든 노선들이 톨비가 비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북부 구간을 운행하는 점도 적자에 일조한다. 요금도 일반 직행좌석버스보다 더 높지만, 그래도 적자를 메꾸기에는 역부족이다.<ref>〈[https://namu.wiki/w/%EA%B2%BD%EA%B8%B0%EC%88%9C%ED%99%98%EB%B2%84%EC%8A%A4 경기순환버스]〉, 《나무위키》</ref>
 +
 +
===버스 노선===
 +
:{|class=wikitable width=800
 +
!align=center|노선번호
 +
!align=center|기점
 +
!align=center|종점
 +
!align=center|배차간격
 +
!align=center|운수회사
 +
|-
 +
|align=center|8106
 +
|align=center|오리역
 +
|align=center|상동역
 +
|align=center|10~20분
 +
|align=center rowspan=4|경기고속
 +
|-
 +
|align=center|8109
 +
|align=center|오리역
 +
|align=center|킨텍스
 +
|align=center|70~120분
 +
|-
 +
|align=center|8401
 +
|align=center|송산동
 +
|align=center|수원역
 +
|align=center|평일 6회
 +
휴일 2회
 +
|-
 +
|align=center|8409
 +
|align=center|송산동
 +
|align=center|수원역
 +
|align=center|30~60분
 +
|-
 +
|align=center|8906
 +
|align=center|덕정역
 +
|align=center|범계역
 +
|align=center|40~60분
 +
|align=center|진명여객
 +
|}
 +
 
{{각주}}
 
{{각주}}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 [[순환]]
 +
* [[버스]]
  
 
{{자동차 분류|검토 필요}}
 
{{자동차 분류|검토 필요}}

2021년 8월 27일 (금) 17:05 판

순환버스는 도심 및 부도심 안의 일정한 지역을 순환하여 운행하면서 다양한 통행 수요에 대처하기 위하여 운행되는 버스이다. 대개 업무나 쇼핑 이용객이 많은 도심 지역이나 관광 명소, 도보로 이동하기 어려운 넓은 시설 등지에서 운행되며, 교통 소외지역이나 교통 연계성 부족을 해소할 목적으로 운행되기도 한다.[1]

지역별 순환버스

서울

2004년 7월 1일 서울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체계지만 이 순환버스라는 등급은 개편 1년 전인 2003년에 01, 02번이 신설되면서 가장 먼저 확립되었다. 바탕색은 노란색이며 측면과 뒷면에 영어 YELLOW 의 머릿글자 'Y'가 새겨져 있다. 측편 행선지판은 4개였으나, 떼어졌다. 2003년 7월 1일 청계천 복원공사와 청계고가 철거 등으로 교통 혼잡이 우려되어, 교통 보조 수단의 목적으로 신설된 셔틀버스가 시초이다. 다른 등급의 버스들과는 달리 사대문안과 그 주변의 서울 원도심에서만 운행하기 때문에, 많이 탔던 경우이거나 버스 동호인이 아니라면 알기 힘든 버스이기도 하다. 청계천, 남산, 서울 도심, 여의도, 강남역 등의 지역에서 운행했으나, 2020년 1월 29일 이후로는 녹색순환버스 4개 노선만이 남게 되었다. 남산 노선의 경우 2010년쯤에 대부분 차량이 전기버스로 대체되었는데, 도색이 기존 노란색 바탕이 아닌 연한 초록색과 하얀색을 혼합한 형태이다. 한때 제대로 된 노란색 도색을 한 순환버스는 단 2대였는데, 2017년 11월에 하자로 유명한 그 프리머스 전기차 9대가 모두 교체되면서 노란색 버스는 11대로 늘어났다. 심지어 프리머스 CNG 차량도 관리상의 이유로 노랗게 칠해버리면서 다시 환원되었다. 하지만 01A, 01B, 02, 03, 04번 버스 전 차량 전기버스로 바뀌었는데, 연두색으로 도색을 했다. 하지만 서울시도 순환버스 등급을 버려놓은 듯. 110번, 5522번, 6640번은 완벽한 순환식 노선으로 운행하나, 등급이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로 되어 있다. 이는 개편 전의 도심순환버스를 기계적으로 순환버스로 계승시키는 바람에 생긴 착오이다. 원래 지선버스가 마을버스를 계승한 것이긴 한데, 지선버스의 경우도 순환/마을버스 요금을 받는 지선버스(차등요금)가 또 따로 있다. 마을버스와 순환버스, 지선버스를 잘 분류했어야 하나 그러지 못한 것이다. 다만 경기도의 버스 도색은 기능적으로 서울과 동일하게 되어 있어, 경기도의 마을버스는 노란색으로 정해졌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지 순환버스도 마찬가지인데 그 근원이 바로 이 서울의 순환버스다. 그러나 2020년부터 미세먼지 절감 정책 등의 일환으로 도심지역 녹색순환버스 운행 계획을 발표하면서, 4개 노선을 신설하는 것이 확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요금체계도 변경되었다.[2]

버스 노선

번호 기점 종점 배차
01 서울역 서울역 12~20분
02 남산예장주차장 남산예장주차장 7~12분
04 11~13분


경기

기존의 경기도 면허 직행좌석버스는 경기도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노선이 압도적으로 많아 경기도 도시간 이동은 많이 불편하였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에 위치한 요금소에 버스 정류장을 설치하여 경기도 지역으로 이동할 시 환승을 용이하게 하여 대중교통 수요를 늘린다는 목적에서 시작된 노선이다. 당시, 경기도 도지사였던 김문수가 국토부와 협의하였고, 2010년 3월 24일에 국토부에서 '외곽순환버스'라는 가칭으로 관련 보도자료를 낸 뒤 입찰을 진행했다. 2010년 7월 7일에 5개 노선 및 운행사가 확정되고 2010년 8월 23일부터 '경기순환버스'라는 명칭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운행방식은 기종점 지역 정류장에 4개 정도 정차한 뒤 고속도로 요금소에 설치된 환승 정류장에 정차한다. 2018년 이재명이 도지사로 취임한 이후 계획 당시 명칭인 외곽순환버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경기도청 민원을 바탕으로 2020년 7월부터 '경기순환버스' 명칭을 다시 사용하고 있다. 경기순환버스는 간선급행버스와 같은 노선번호 체계(8000번대)를 활용하지만, 두 노선의 성격과 운임체계가 다른 관계로 경기도 자체적으로는 별도의 등급으로 분류한다. 기본요금은 초기에는 직행좌석버스와 동일했으나, 2011년 11월 26일부터 2,200원으로 인상되었으며, 거리비례제가 적용되며 30km 초과시 5km마다 100원씩 요금이 늘어난다. 2019년 9월부터 기본요금이 3,050원으로 올랐다. 또한 각 노선에 투입되는 버스는 차내에 차량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LED 표시기를 장착하고, Wi-Fi 공유기와 공기청정기를 설치해야 한다. 추가로 알려진 바로는 도색은 직행좌석버스와 같은 G버스 도색이고, 광역급행버스처럼 잔여좌석 표시기를 설치해야 한다.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은 FX II 116을, 용남고속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를 투입하였다. 나중에 참여한 경원여객 역시 FX II 116을 투입하면서 경기순환버스는 모두 자일대우상용차가 운행되고 있다. 그러나 2016년에 경원여객이 노후차 대차분으로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를 투입하면서 전 차량 자일대우상용차 기록이 깨졌다. 경기도에서는 현재 경기순환버스를 추가로 더 신설하고자 하나, 현재 운행되는 노선들도 적자인데다 추가로 경기순환버스 입찰에 참여하려는 업체가 전무하다. 고속도로 요금소를 경유하는 점으로 말미암아 버스 운영 비용이 많은 편이며 KD 운송그룹이 아니면 운영하겠다는 회사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으며 운영사들도 다른 노선을 통해 경기순환버스를 운영하면서 생기는 적지 않은 적자를 메우고 있는 편이다. 타 노선들보다 고속도로를 길게 이용하고, 8106을 제외한 모든 노선들이 톨비가 비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북부 구간을 운행하는 점도 적자에 일조한다. 요금도 일반 직행좌석버스보다 더 높지만, 그래도 적자를 메꾸기에는 역부족이다.[3]

버스 노선

노선번호 기점 종점 배차간격 운수회사
8106 오리역 상동역 10~20분 경기고속
8109 오리역 킨텍스 70~120분
8401 송산동 수원역 평일 6회

휴일 2회

8409 송산동 수원역 30~60분
8906 덕정역 범계역 40~60분 진명여객

각주

  1. 순환버스〉, 《네이버 지식백과》
  2. 순환버스(서울)〉, 《나무위키》
  3. 경기순환버스〉, 《나무위키》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순환버스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