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모범택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요==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자동차 분류|토막글}})
 
1번째 줄: 1번째 줄:
 
+
'''모범택시'''(deluxe taxi)란 법인택시와 개인택시보다 고급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시로 주로 검정색 대형 승용차로 운행이 된다.
 
==개요==
 
==개요==
 
+
일반택시운송사업 혹은 개인택시운송사업 자동차 중 지자체(특별시, 광역시,도 단위)로부터 모범택시로 운행인가를 받아 운영하는 택시이다. 통상적으로 공항이나 기차역, 터미널 및 주요 관광지 등을 중심으로 해서 모범택시 운행이 요구된다고 판단되는 구역에 운행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모범택시이다. 즉, 택시들 중 특별 허가를 받은 택시가 모범택시이며 나라 혹은 구역 단위 이미지에 좋은 영향력을 위하여 배치하는 특별 택시로 해석할 수 있다.<ref> @#$, 〈[https://honeytipagit.tistory.com/entry/%EB%AA%A8%EB%B2%94%ED%83%9D%EC%8B%9C%EC%99%80-%EC%9D%BC%EB%B0%98%ED%83%9D%EC%8B%9C%EC%9D%98-%EC%B0%A8%EC%9D%B4 모범택시와 일반택시의 차이]〉, 《꿀팁 아지트》, 2020-08-07 </ref> 모범택시의 전용 서비스가 점차 일반화되어 가고, 2015년 모범택시의 상위격인 고급택시가 등장함에 따라 모범택시의 입지가 불안정한 모습이다.
 +
==비교==
 +
===요금===
 +
모범택시의 요금인 일반택시에 비해 비싸다. 요금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2019년 서울시 택시요금 체계를 기준으로 했을 때 모범택시의 기초요금은 3km기준 6,500원이며 200원 당 151미터 혹은 36초로 계산하여서 요금값이 책정될 수 있다. 일반택시의 요금으로 4500원으로 갈 수 있는 거리의 가격이다.<ref name="나무위키"> 〈[https://namu.wiki/w/%EB%AA%A8%EB%B2%94%ED%83%9D%EC%8B%9C 모범택시]〉, 《나무위키》 </ref> 단, 모범택시는 기본요금이 비싼 반면 심야시간이나 시외지역이라 하더라고 할증요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심야시간대에는 모범택시를 이용하는 사람이 늘어난다. 서울과 인천의 기본요금은 6,500원 이고, 대구, 충북, 전북은 기본요금이 4천원대를 형성하고 있다. 제일 가격이 낮은 곳은 광주로 3900원으 기본요금을 형성하고 있다.
 +
===차량===
 +
모범택시하면 검정색 차량이 대표적이다. 이는 법으로도 정해져있는데 건설교통부 훈력 제69호에 따르면 모범택시의 외부는 검정색으로 하고 태극무늬가 들어간 황금띠를 두르도록하여 일반택시의 색깔과 차별화를 하여 고객이 택시를 구분할 수 있게 함에 있어서이다.<ref> 〈[https://review-by-jay.tistory.com/101 모범택시와 일반택시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티스토리》, 2017-06-04 </ref> 모범택시의 차량은 1900cc이상으로 5인승 이하의 승용차를 사용하여 운행해야 하며 주로 3000cc 이상으로 준대형에서 대형 세단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량은 그랜저, 오피러스, 체어맨, G80, K7, K8, SM7, K9 등을 사용하며 일부는 G90을 사용한다. 간혹 수입차도 보이는데 A8, 컨티넨탈, S클레스, 7시리즈, 토러스와 같은 차량도 모범택시로 사용되고 있다.<ref name="나무위키"/> 대체적으로 고급차를 사용하므로써 일반 택시와는 승차감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여 차별점을 보여준다.
 +
===서비스===
 +
모범택시기사가 되기 위해서는 개인택시를 5년 이사 무사고로 운전해야 하는데,과거에는 일반택시 자격이 무사고 10년이여야하고 추가로 모범택시의 운전자격을 위해서는 10년의 무사고경력이 있어야한다. 즉, 무사고 경력이 20년 이상이여야 모범택시가 운전이 가능했었다. 진입장벽이 지나치게 높다는 의견이 많아져 5년으로 줄어들게 된것이다. 택시기사가 매일매일 하루종일 운전하면서 5년 무사고를 달성하기란 결코 쉬운일이 아니기에 모범택시를 운행함에 있어서는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운행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각주}}
 
{{각주}}
  

2021년 9월 24일 (금) 11:51 판

모범택시(deluxe taxi)란 법인택시와 개인택시보다 고급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시로 주로 검정색 대형 승용차로 운행이 된다.

개요

일반택시운송사업 혹은 개인택시운송사업 자동차 중 지자체(특별시, 광역시,도 단위)로부터 모범택시로 운행인가를 받아 운영하는 택시이다. 통상적으로 공항이나 기차역, 터미널 및 주요 관광지 등을 중심으로 해서 모범택시 운행이 요구된다고 판단되는 구역에 운행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모범택시이다. 즉, 택시들 중 특별 허가를 받은 택시가 모범택시이며 나라 혹은 구역 단위 이미지에 좋은 영향력을 위하여 배치하는 특별 택시로 해석할 수 있다.[1] 모범택시의 전용 서비스가 점차 일반화되어 가고, 2015년 모범택시의 상위격인 고급택시가 등장함에 따라 모범택시의 입지가 불안정한 모습이다.

비교

요금

모범택시의 요금인 일반택시에 비해 비싸다. 요금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2019년 서울시 택시요금 체계를 기준으로 했을 때 모범택시의 기초요금은 3km기준 6,500원이며 200원 당 151미터 혹은 36초로 계산하여서 요금값이 책정될 수 있다. 일반택시의 요금으로 4500원으로 갈 수 있는 거리의 가격이다.[2] 단, 모범택시는 기본요금이 비싼 반면 심야시간이나 시외지역이라 하더라고 할증요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심야시간대에는 모범택시를 이용하는 사람이 늘어난다. 서울과 인천의 기본요금은 6,500원 이고, 대구, 충북, 전북은 기본요금이 4천원대를 형성하고 있다. 제일 가격이 낮은 곳은 광주로 3900원으 기본요금을 형성하고 있다.

차량

모범택시하면 검정색 차량이 대표적이다. 이는 법으로도 정해져있는데 건설교통부 훈력 제69호에 따르면 모범택시의 외부는 검정색으로 하고 태극무늬가 들어간 황금띠를 두르도록하여 일반택시의 색깔과 차별화를 하여 고객이 택시를 구분할 수 있게 함에 있어서이다.[3] 모범택시의 차량은 1900cc이상으로 5인승 이하의 승용차를 사용하여 운행해야 하며 주로 3000cc 이상으로 준대형에서 대형 세단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량은 그랜저, 오피러스, 체어맨, G80, K7, K8, SM7, K9 등을 사용하며 일부는 G90을 사용한다. 간혹 수입차도 보이는데 A8, 컨티넨탈, S클레스, 7시리즈, 토러스와 같은 차량도 모범택시로 사용되고 있다.[2] 대체적으로 고급차를 사용하므로써 일반 택시와는 승차감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여 차별점을 보여준다.

서비스

모범택시기사가 되기 위해서는 개인택시를 5년 이사 무사고로 운전해야 하는데,과거에는 일반택시 자격이 무사고 10년이여야하고 추가로 모범택시의 운전자격을 위해서는 10년의 무사고경력이 있어야한다. 즉, 무사고 경력이 20년 이상이여야 모범택시가 운전이 가능했었다. 진입장벽이 지나치게 높다는 의견이 많아져 5년으로 줄어들게 된것이다. 택시기사가 매일매일 하루종일 운전하면서 5년 무사고를 달성하기란 결코 쉬운일이 아니기에 모범택시를 운행함에 있어서는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운행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각주

  1. @#$, 〈모범택시와 일반택시의 차이〉, 《꿀팁 아지트》, 2020-08-07
  2. 2.0 2.1 모범택시〉, 《나무위키》
  3. 모범택시와 일반택시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티스토리》, 2017-06-04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모범택시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